question
stringlengths 2
401
| answer
int64 1
4
| A
stringlengths 1
247
| B
stringlengths 1
238
| C
stringlengths 1
252
| D
stringlengths 1
258
| Category
stringclasses 45
values | Human Accuracy
float64 0
1
⌀ | instruction
stringlengths 2
401
| input
stringlengths 19
807
| output
stringclasses 4
values |
---|---|---|---|---|---|---|---|---|---|---|
바빌로프(Vavilov)의 유전자 중심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 | 농작물의 발생 중심지에선 변이가 다수 축적되어있다. | 농작물의 발생 중심지에는 유전적으로 우성 형질을 보유하는 형이 많다. | 지리적 진화과정을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우성형질이 점점 탈락하는 형식을 취한다. | 2차 중심지에는 우성형질을 보유하는 형이 많이 존재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586 | 바빌로프(Vavilov)의 유전자 중심설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농작물의 발생 중심지에선 변이가 다수 축적되어있다.
B. 농작물의 발생 중심지에는 유전적으로 우성 형질을 보유하는 형이 많다.
C. 지리적 진화과정을 중심지에서 멀어질수록 우성형질이 점점 탈락하는 형식을 취한다.
D. 2차 중심지에는 우성형질을 보유하는 형이 많이 존재한다. | D |
작물육종에서 기본식물을 유지하는 곳은? | 4 | 국립종자원 | 농업기술센터 | 종자보급기관 | 육종가 또는 육종기관 | Agricultural Sciences | 0.8448 | 작물육종에서 기본식물을 유지하는 곳은? | A. 국립종자원
B. 농업기술센터
C. 종자보급기관
D. 육종가 또는 육종기관 | D |
피자식물의 중복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 | 난행이 두 번 수정되는 것 | 난핵이 2개의 정핵과 수정되는 것 | 난핵과 조세포의 수정이 동시에 되는 것 | 난핵의 수정과 극핵의 수정이 동시에 되는 것 | Agricultural Sciences | 0.7966 | 피자식물의 중복수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 난행이 두 번 수정되는 것
B. 난핵이 2개의 정핵과 수정되는 것
C. 난핵과 조세포의 수정이 동시에 되는 것
D. 난핵의 수정과 극핵의 수정이 동시에 되는 것 | D |
배젖(배유)에 아비의 영향이 직접 당대에 나타나는 현상은? | 2 | 아포믹스 | 크세니아 | 키아즈마 | 헤테로시스 | Agricultural Sciences | 0.7679 | 배젖(배유)에 아비의 영향이 직접 당대에 나타나는 현상은? | A. 아포믹스
B. 크세니아
C. 키아즈마
D. 헤테로시스 | B |
채종 재배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 3 | 포장은 교잡의 우려가 없는 곳이어야 한다. | 우량 모본을 양성하고 불량주를 도태한다. | 병충해 방제는 가급적 피한다. | 정식할 때는 작물이 상하지 않도록 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833 | 채종 재배시 주의사항이 아닌 것은? | A. 포장은 교잡의 우려가 없는 곳이어야 한다.
B. 우량 모본을 양성하고 불량주를 도태한다.
C. 병충해 방제는 가급적 피한다.
D. 정식할 때는 작물이 상하지 않도록 한다. | C |
물속에서 가장 발아가 잘되는 것은? | 4 | 콩 | 보리 | 옥수수 | 벼 | Agricultural Sciences | 0.9464 | 물속에서 가장 발아가 잘되는 것은? | A. 콩
B. 보리
C. 옥수수
D. 벼 | D |
생력재배의 가장 큰 효과는? | 1 | 생산비의 절감 | 품직의 향상 | 병해충 경감 | 수확량의 증대 | Agricultural Sciences | 0.661 | 생력재배의 가장 큰 효과는? | A. 생산비의 절감
B. 품직의 향상
C. 병해충 경감
D. 수확량의 증대 | A |
이어짓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작물은? | 3 | 벼 | 옥수수 | 인삼 | 고구마 | Agricultural Sciences | 0.875 | 이어짓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은 작물은? | A. 벼
B. 옥수수
C. 인삼
D. 고구마 | C |
뿌리혹박테리아의 생육 및 활동에 필요한 토양환경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 3 | 온도가 25~30 ℃ 정도 | pH가 6.5 ~ 7.2 정도 | 질소성분을 다량 함유할 때 | 토양수분 함량이 넉넉할 때 | Agricultural Sciences | 0.6786 | 뿌리혹박테리아의 생육 및 활동에 필요한 토양환경 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 A. 온도가 25~30 ℃ 정도
B. pH가 6.5 ~ 7.2 정도
C. 질소성분을 다량 함유할 때
D. 토양수분 함량이 넉넉할 때 | C |
벼 품종의 내도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 | 심는 간격 | 수확 시기 | 질소 시비량 | 유전적 소질 | Agricultural Sciences | 0.5439 | 벼 품종의 내도복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A. 심는 간격
B. 수확 시기
C. 질소 시비량
D. 유전적 소질 | B |
중세 유럽의 3포식 농업은 어떤 재배법에 속하는가? | 2 | 이어짓기 | 돌려짓기 | 섞어짓기 | 사이짓기 | Agricultural Sciences | 0.7368 | 중세 유럽의 3포식 농업은 어떤 재배법에 속하는가? | A. 이어짓기
B. 돌려짓기
C. 섞어짓기
D. 사이짓기 | B |
벼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 3 | 쌀바구미 | 보리나방 | 벼물바구미 | 화랑곡나방 | Agricultural Sciences | 0.6842 | 벼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 A. 쌀바구미
B. 보리나방
C. 벼물바구미
D. 화랑곡나방 | C |
콩과 사료작물은? | 3 | 티머시 | 오리드그라스 | 알팔파 | 귀리 | Agricultural Sciences | 0.8036 | 콩과 사료작물은? | A. 티머시
B. 오리드그라스
C. 알팔파
D. 귀리 | C |
붕소의 결핍시 나타나는 증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3 | 기공개폐 작용이 불량해진다. | 잎이 노란색으로 변한다. | 수정과 결실이 나쁘다. | 마그네슘과 철의 흡수가 저해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5172 | 붕소의 결핍시 나타나는 증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기공개폐 작용이 불량해진다.
B. 잎이 노란색으로 변한다.
C. 수정과 결실이 나쁘다.
D. 마그네슘과 철의 흡수가 저해된다. | C |
벼의 수확적기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출수 후 며칠인가? | 3 | 20 ~ 30 일 | 30 ~ 35 일 | 40 ~ 45 일 | 50 ~ 60 일 | Agricultural Sciences | 0.7719 | 벼의 수확적기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출수 후 며칠인가? | A. 20 ~ 30 일
B. 30 ~ 35 일
C. 40 ~ 45 일
D. 50 ~ 60 일 | C |
작물 재배에 적당한 모래참흙(사양토)의 정토함량(%)은? (단, 세토 중의 점토함량으로 한다.) | 2 | 12.5 이하 | 12.5 ~ 25.0 | 25.0 ~ 37.5 | 37.5 ~ 50.0 | Agricultural Sciences | 0.8214 | 작물 재배에 적당한 모래참흙(사양토)의 정토함량(%)은? (단, 세토 중의 점토함량으로 한다.) | A. 12.5 이하
B. 12.5 ~ 25.0
C. 25.0 ~ 37.5
D. 37.5 ~ 50.0 | B |
단일성 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 | 낮의 길이가 14시간 이상일 때에 꽃눈의 분화가 촉진되는 작물이다. | 보리, 밀, 시금치는 단일성 작물이다. | 단일 상태에서는 꽃눈이 형성되지 않는 작물을 말한다. | 낮의 길이가 12시간 이하일 때에 꽃눈의 분화가 촉진되는 작물이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148 | 단일성 작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낮의 길이가 14시간 이상일 때에 꽃눈의 분화가 촉진되는 작물이다.
B. 보리, 밀, 시금치는 단일성 작물이다.
C. 단일 상태에서는 꽃눈이 형성되지 않는 작물을 말한다.
D. 낮의 길이가 12시간 이하일 때에 꽃눈의 분화가 촉진되는 작물이다. | D |
옥수수의 생육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 | 단일성 식물이다. |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한다. | 생육에 알맞은 온도는 32 ~ 38 ℃ 정도 이다. | 수꽃이 암꽃보다 4 ~ 5일 먼저 핀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276 | 옥수수의 생육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단일성 식물이다.
B. 자가수정을 원칙으로 한다.
C. 생육에 알맞은 온도는 32 ~ 38 ℃ 정도 이다.
D. 수꽃이 암꽃보다 4 ~ 5일 먼저 핀다. | B |
작물이 자라는 두둑을 멀칭 재배하면 나타나는 작용은? | 3 | 지온의 저하 | 수분 증발 증가 | 토양 유실 방지 | 잡초 발생의 증가 | Agricultural Sciences | 0.8448 | 작물이 자라는 두둑을 멀칭 재배하면 나타나는 작용은? | A. 지온의 저하
B. 수분 증발 증가
C. 토양 유실 방지
D. 잡초 발생의 증가 | C |
작물의 온도 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 | 작물이 자랄 수 있는 범위의 온도를 유효 온도라 한다. | 적산온도란 작물의 정식에서부터 개화까지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를 말한다. | 겨울철에 작물의 조직이 얼어서 받는 피해를 동해라 한다. | 여름작물의 경우 시기 여하에 불구하고 생육 적온 이하의 온도에 처할 때 생기는 장해를 냉해라 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6316 | 작물의 온도 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작물이 자랄 수 있는 범위의 온도를 유효 온도라 한다.
B. 적산온도란 작물의 정식에서부터 개화까지의 일평균기온을 합산한 온도를 말한다.
C. 겨울철에 작물의 조직이 얼어서 받는 피해를 동해라 한다.
D. 여름작물의 경우 시기 여하에 불구하고 생육 적온 이하의 온도에 처할 때 생기는 장해를 냉해라 한다. | B |
벼에 이화명나방이 발생하였을 때 살포하는 농약의 종류는? | 2 | 살균제 | 살충제 | 살서제 | 살비제 | Agricultural Sciences | 0.9138 | 벼에 이화명나방이 발생하였을 때 살포하는 농약의 종류는? | A. 살균제
B. 살충제
C. 살서제
D. 살비제 | B |
종자를 전분종자와 지방종자로 구분할 때 지방 종자에 해당되는 것은? | 3 | 밀 | 조 | 유채 | 옥수수 | Agricultural Sciences | 0.8421 | 종자를 전분종자와 지방종자로 구분할 때 지방 종자에 해당되는 것은? | A. 밀
B. 조
C. 유채
D. 옥수수 | C |
식용부위가 덩이뿌리인 작물은? | 2 | 감자 | 고구마 | 옥수수 | 조 | Agricultural Sciences | 0.7586 | 식용부위가 덩이뿌리인 작물은? | A. 감자
B. 고구마
C. 옥수수
D. 조 | B |
종자의 습윤저온층적(濕潤低溫層積) 저장을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 2 | 습한 자루에 3 ~ 6℃에서 1 ~ 2주 처리 | 습한 모래에 1 ~ 10℃에서 3 ~ 4주 처리 | 습한 진흙에 2 ~ 9℃에서 2 ~ 3주 처리 | 습한 짚 속에서 6 ~ 10℃에서 1 ~ 2주 처리 | Agricultural Sciences | 0.8681 | 종자의 습윤저온층적(濕潤低溫層積) 저장을 가장 알맞게 설명한 것은? | A. 습한 자루에 3 ~ 6℃에서 1 ~ 2주 처리
B. 습한 모래에 1 ~ 10℃에서 3 ~ 4주 처리
C. 습한 진흙에 2 ~ 9℃에서 2 ~ 3주 처리
D. 습한 짚 속에서 6 ~ 10℃에서 1 ~ 2주 처리 | B |
휴면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 2 | 기계적 종피 파상 | 청색광 처리 | 층적저장 | 화확제 처리 | Agricultural Sciences | 0.8049 | 휴면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 A. 기계적 종피 파상
B. 청색광 처리
C. 층적저장
D. 화확제 처리 | B |
직접발아시험을 하지 않고도 종자의 발아력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사 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 3 | 유모판별검사법 | 저온발아검사법 | 테트라졸리움법 | 글루코스대사 검사법 | Agricultural Sciences | 0.9529 | 직접발아시험을 하지 않고도 종자의 발아력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검사 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 A. 유모판별검사법
B. 저온발아검사법
C. 테트라졸리움법
D. 글루코스대사 검사법 | C |
종자 저장 포장 재료에 이용되고 있는 방습질류(防濕質類) 에 속하는 것은? | 3 | 황포포대 | 종이포대 | 알루미늄 포대 | 무명포대 | Agricultural Sciences | 0.7176 | 종자 저장 포장 재료에 이용되고 있는 방습질류(防濕質類) 에 속하는 것은? | A. 황포포대
B. 종이포대
C. 알루미늄 포대
D. 무명포대 | C |
일대잡종 품종의 종자를 농가에 보급하는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 | 양친의 종자를 농가에 공급한다. | 재배할 농가가 직접 채종하여 다시 재배한다. | 보급된 일대잡종 종자를 채종하여 다시 재배한다. | 양친을 교배하여 얻어진 종자를 농가에 보급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805 | 일대잡종 품종의 종자를 농가에 보급하는 절차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양친의 종자를 농가에 공급한다.
B. 재배할 농가가 직접 채종하여 다시 재배한다.
C. 보급된 일대잡종 종자를 채종하여 다시 재배한다.
D. 양친을 교배하여 얻어진 종자를 농가에 보급한다. | D |
종자를 정선한 후 실시하는 종자처리(種子處理)로 거리가 먼 것은? | 3 | 종자전염병균이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종자소독 | 토양 또는 공기를 통화여 전염하는 병균이나 해충으로부터 유식물(幼植物)을 보호하기 위한처리 | 적정한 온도처리를 통해 저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처리 | 종자의 발아속도 및 균일성 향상을 위한 특수처리 | Agricultural Sciences | 0.5882 | 종자를 정선한 후 실시하는 종자처리(種子處理)로 거리가 먼 것은? | A. 종자전염병균이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한 종자소독
B. 토양 또는 공기를 통화여 전염하는 병균이나 해충으로부터 유식물(幼植物)을 보호하기 위한처리
C. 적정한 온도처리를 통해 저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처리
D. 종자의 발아속도 및 균일성 향상을 위한 특수처리 | C |
종자 검사상 발아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 3 | 흡습 후 대사 작용을 시작하여 신장에 들어가는 단계 | 종피를 뚫고 유아가 출현하는 것 | 정상생육이 가능한 묘가 출현하는 것 | 포장 지연에 유모일부가 출현하는 것 | Agricultural Sciences | 0.5904 | 종자 검사상 발아의 의미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흡습 후 대사 작용을 시작하여 신장에 들어가는 단계
B. 종피를 뚫고 유아가 출현하는 것
C. 정상생육이 가능한 묘가 출현하는 것
D. 포장 지연에 유모일부가 출현하는 것 | C |
종자 퇴화에 대한 유전적 퇴화설의 내용이 아닌 것은? | 3 | 묵은 종자에서 추출한 물질은 새로운 종자의 발아를 억제한다. | 종자의 돌연변이는 오래된 종자일수록 크고 또한 발아력이 감소되는 것과 관계가 있다. | 묵은 종자에서는 자연돌연변이가 적게 일어난다. | 묵은 종자가 발아했을 때 신초 끝과 뿌리 끝에서 보여주는 차이는 방사선을 처리했을 때 이들이 보여주는 차이와 대등소이 하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143 | 종자 퇴화에 대한 유전적 퇴화설의 내용이 아닌 것은? | A. 묵은 종자에서 추출한 물질은 새로운 종자의 발아를 억제한다.
B. 종자의 돌연변이는 오래된 종자일수록 크고 또한 발아력이 감소되는 것과 관계가 있다.
C. 묵은 종자에서는 자연돌연변이가 적게 일어난다.
D. 묵은 종자가 발아했을 때 신초 끝과 뿌리 끝에서 보여주는 차이는 방사선을 처리했을 때 이들이 보여주는 차이와 대등소이 하다. | C |
종자는 실온에서 저장 하였을 때 발아력이 유지되는 기간에 따라 단명종자, 상명종자, 장명종자로 구분하는데 장면 종자의 발아력 유지기준으로 적당한 것은? | 2 | 2년 이상 | 5년 이상 | 10년 이상 | 15년 이상 | Agricultural Sciences | 0.7821 | 종자는 실온에서 저장 하였을 때 발아력이 유지되는 기간에 따라 단명종자, 상명종자, 장명종자로 구분하는데 장면 종자의 발아력 유지기준으로 적당한 것은? | A. 2년 이상
B. 5년 이상
C. 10년 이상
D. 15년 이상 | B |
종자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에 대한설명으로 가장거리가 먼 것은? | 3 | 저장고의 상대습도는 종자내의 수분 함량이 좌우한다. | 습도가 높으면 저장고 내의 병해충의 발생을 촉진하여 종자의 퇴화를 촉진하게 된다. | 습도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진다. | 수분함량이 많은 종자는 저장고의 상대습도가 낮은 곳에 저장하는 경우 종자의 무게가 감소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6866 | 종자 저장고 내의 상대습도에 대한설명으로 가장거리가 먼 것은? | A. 저장고의 상대습도는 종자내의 수분 함량이 좌우한다.
B. 습도가 높으면 저장고 내의 병해충의 발생을 촉진하여 종자의 퇴화를 촉진하게 된다.
C. 습도가 높으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진다.
D. 수분함량이 많은 종자는 저장고의 상대습도가 낮은 곳에 저장하는 경우 종자의 무게가 감소한다. | C |
품종이 육성되면 유전적 순도를 세대별로 유지하면서 증식보급하게 되는데 보통 기본식물, 원원종, 원종, 보급종자의 4단계를 거친다. 이중 육종가에 의해 생산된 종자로서 품종의 고유 특성을 지닌 것은? | 1 | 기본식물 | 원원종 | 원종 | 보급종 | Agricultural Sciences | 0.8194 | 품종이 육성되면 유전적 순도를 세대별로 유지하면서 증식보급하게 되는데 보통 기본식물, 원원종, 원종, 보급종자의 4단계를 거친다. 이중 육종가에 의해 생산된 종자로서 품종의 고유 특성을 지닌 것은? | A. 기본식물
B. 원원종
C. 원종
D. 보급종 | A |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살균제로서 종자 소독제와 거리가 먼 것은? | 4 | 카복신, 티람 분제 | 베노밀, 티람 수화제 | 티오파네이트메틸, 티라 수화제 | 알루미늄포스파이드 정제 | Agricultural Sciences | 0.746 | 국내에서 이용하고 있는 살균제로서 종자 소독제와 거리가 먼 것은? | A. 카복신, 티람 분제
B. 베노밀, 티람 수화제
C. 티오파네이트메틸, 티라 수화제
D. 알루미늄포스파이드 정제 | D |
종자에 발생하는 병해충이 아닌 것은? | 4 | 바구미 | 진균 | 세균 | 응애 | Agricultural Sciences | 0.8226 | 종자에 발생하는 병해충이 아닌 것은? | A. 바구미
B. 진균
C. 세균
D. 응애 | D |
종자의 순도를 검사 하는데 구성 내용이 아닌 것은? | 1 | 큰 종자 | 순수 종자 | 타작물 종자 | 이물 | Agricultural Sciences | 0.7333 | 종자의 순도를 검사 하는데 구성 내용이 아닌 것은? | A. 큰 종자
B. 순수 종자
C. 타작물 종자
D. 이물 | A |
생산자의 환경 재배 조건이 불량할 때 발생하는 종자의 퇴화 현상은? | 2 | 유전적 퇴화 | 생리적 퇴화 | 병리적 퇴화 | 기계적 퇴화 | Agricultural Sciences | 0.678 | 생산자의 환경 재배 조건이 불량할 때 발생하는 종자의 퇴화 현상은? | A. 유전적 퇴화
B. 생리적 퇴화
C. 병리적 퇴화
D. 기계적 퇴화 | B |
종자의 양분을 저장 하고 있고 종자가 발아할 때 양분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 2 | 배(胚 ) | 배젖 | 종피 | 배 | Agricultural Sciences | 0.8596 | 종자의 양분을 저장 하고 있고 종자가 발아할 때 양분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은? | A. 배(胚 )
B. 배젖
C. 종피
D. 배 | B |
지하 발아형 종자가 아닌 것은? | 1 | 콩 | 완두 | 보리 | 옥수수 | Agricultural Sciences | 0.7778 | 지하 발아형 종자가 아닌 것은? | A. 콩
B. 완두
C. 보리
D. 옥수수 | A |
과실의 성숙이나 눈의 휴면 또는 잎의 이층형성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종자 발아를 촉진 시키는 물질은? | 4 | 지베렐린 | 사이토키닌 | 아브시스산 | 에틸렌 | Agricultural Sciences | 0.8431 | 과실의 성숙이나 눈의 휴면 또는 잎의 이층형성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종자 발아를 촉진 시키는 물질은? | A. 지베렐린
B. 사이토키닌
C. 아브시스산
D. 에틸렌 | D |
일반적으로 종자에 대해서 발생하는 전염병 중 가장 많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은? | 3 | 바이러스 | 세균 | 진균 | 선충 | Agricultural Sciences | 0.6667 | 일반적으로 종자에 대해서 발생하는 전염병 중 가장 많은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은? | A. 바이러스
B. 세균
C. 진균
D. 선충 | C |
진정한 의미의 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2 | 발아 조건이 안 되어 쉬고 있는 상태이다. | 종자가 발아에 필요한 조건을 잦춘 상태에서도 발아하지 않는다. | 수분과 산소 및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있지 못해 발아하지 않는다. | 수분과 산소만 공급하였기 때문에 발아하지 않는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551 | 진정한 의미의 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발아 조건이 안 되어 쉬고 있는 상태이다.
B. 종자가 발아에 필요한 조건을 잦춘 상태에서도 발아하지 않는다.
C. 수분과 산소 및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고 있지 못해 발아하지 않는다.
D. 수분과 산소만 공급하였기 때문에 발아하지 않는다. | B |
종자의 전염성을 방제하는 방법 중 적절하지 못한 것은? | 1 | 파종 전 침종처리를 한다. | 무병의 종자를 이용한다. | 방제약제를 살포한다. | 토양소독을 실시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5 | 종자의 전염성을 방제하는 방법 중 적절하지 못한 것은? | A. 파종 전 침종처리를 한다.
B. 무병의 종자를 이용한다.
C. 방제약제를 살포한다.
D. 토양소독을 실시한다. | A |
종자를 형성하려면 우선 꽃눈분화를 유도하여 개화를 시켜야 하는데 저온에 의해서 꽃눈분화를 유도 시키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3 | 발아 촉진 | 화아처리 | 춘화 처리 | 이화유도 | Agricultural Sciences | 0.9184 | 종자를 형성하려면 우선 꽃눈분화를 유도하여 개화를 시켜야 하는데 저온에 의해서 꽃눈분화를 유도 시키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A. 발아 촉진
B. 화아처리
C. 춘화 처리
D. 이화유도 | C |
재배적 방법으로 종자의 전염성 병을 방제할 수 있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 2 | 종자 수확 시 기상 조건 및 수확 조건을 감염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 병에 감염된 식물체를 수확 후 제거한다. | 윤작을 실시한다. | 포장 검사 시 병 검정을 실시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5714 | 재배적 방법으로 종자의 전염성 병을 방제할 수 있는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 A. 종자 수확 시 기상 조건 및 수확 조건을 감염이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조치한다.
B. 병에 감염된 식물체를 수확 후 제거한다.
C. 윤작을 실시한다.
D. 포장 검사 시 병 검정을 실시한다. | B |
일반적으로 종자의 휴면을 타파하는 가장 좋은 환경 조건은? | 4 | 고온 | 장일 | 단일 | 저온 | Agricultural Sciences | 0.6875 | 일반적으로 종자의 휴면을 타파하는 가장 좋은 환경 조건은? | A. 고온
B. 장일
C. 단일
D. 저온 | D |
체세포에 돌연변이가 나타나면 대개 당대에 그쳐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1 | 키메라 현상 | 크세니아 현상 | 돌연변이 현상 | 장벽수정 현상 | Agricultural Sciences | 0.5472 | 체세포에 돌연변이가 나타나면 대개 당대에 그쳐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A. 키메라 현상
B. 크세니아 현상
C. 돌연변이 현상
D. 장벽수정 현상 | A |
F1 종자 Aa를 자식 시키면 F2에서 유전자형 AA의 출현 비율은? | 1 | 25% | 50% | 75% | 100% | Agricultural Sciences | 0.9184 | F1 종자 Aa를 자식 시키면 F2에서 유전자형 AA의 출현 비율은? | A. 25%
B. 50%
C. 75%
D. 100% | A |
자가수정 작물은 일반적으로 자연 교잡율이 몇 %이하 일 경우를 말하는가? | 2 | 1 % | 4 % | 8 % | 12 % | Agricultural Sciences | 0.7544 | 자가수정 작물은 일반적으로 자연 교잡율이 몇 %이하 일 경우를 말하는가? | A. 1 %
B. 4 %
C. 8 %
D. 12 % | B |
근대유전학의 토대 및 육종학의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한 사건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3 | 유전자 중심지설 제창 | DNA구조의 해명 | 유전적 법칙의 발견 | 진화론의 확립 | Agricultural Sciences | 0.8846 | 근대유전학의 토대 및 육종학의 발전에 획기적인 계기를 마련한 사건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 A. 유전자 중심지설 제창
B. DNA구조의 해명
C. 유전적 법칙의 발견
D. 진화론의 확립 | C |
갖춘꽃으로만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2 | 아마, 옥수수 | 목화, 감자 | 담배, 보리 | 콩, 벼 | Agricultural Sciences | 0.7755 | 갖춘꽃으로만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A. 아마, 옥수수
B. 목화, 감자
C. 담배, 보리
D. 콩, 벼 | B |
콩의 품질 향상을 육종목표로 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1 | 지방 및 단백질 특성 | 외관특성 | 조만 특성 | 전분특성 | Agricultural Sciences | 0.9 | 콩의 품질 향상을 육종목표로 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지방 및 단백질 특성
B. 외관특성
C. 조만 특성
D. 전분특성 | A |
검정 교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 | 양성잡종의 검정교배에서는 형질의 분리비가 1 : 1 : 1 : 1 : 1로 나타난다. | 단성잡종의 검정교배에서는 형질의 분리비가 2 : 1 로 나타난다. | 검정교배는 순종인지 잡종인지를 가려내는데 흔히 쓰인다. | F1 과열성 인자를 가진 어버이를 교잡시키는 방법이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708 | 검정 교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양성잡종의 검정교배에서는 형질의 분리비가 1 : 1 : 1 : 1 : 1로 나타난다.
B. 단성잡종의 검정교배에서는 형질의 분리비가 2 : 1 로 나타난다.
C. 검정교배는 순종인지 잡종인지를 가려내는데 흔히 쓰인다.
D. F1 과열성 인자를 가진 어버이를 교잡시키는 방법이다. | B |
농업에서 육종의 성과가 아닌 것은? | 4 | 생산성의 증대 | 품질의 항상 | 농업경영의 합리화 | 저항성 감퇴 | Agricultural Sciences | 0.8367 | 농업에서 육종의 성과가 아닌 것은? | A. 생산성의 증대
B. 품질의 항상
C. 농업경영의 합리화
D. 저항성 감퇴 | D |
자연 교잡에 의한 퇴화로 가장 적당한 것은? | 1 | 유전적인 퇴화 | 생리적인 퇴화 | 토양적인 퇴화 | 병리적인 퇴화 | Agricultural Sciences | 0.6296 | 자연 교잡에 의한 퇴화로 가장 적당한 것은? | A. 유전적인 퇴화
B. 생리적인 퇴화
C. 토양적인 퇴화
D. 병리적인 퇴화 | A |
유전물질이 아닌 것은? | 4 | DNA | 염색체 | 유전인자 | 형질 | Agricultural Sciences | 0.8679 | 유전물질이 아닌 것은? | A. DNA
B. 염색체
C. 유전인자
D. 형질 | D |
BBLL × bbll 이 20% 조환가로 부분연관을 하고 있을 때 F2에 나타나는 표현형 BL의 비율(%)은? (단 B와 ㅣ은 각각 b와 l에 대하여 우성이다) | 3 | 45 | 56 | 66 | 76 | Agricultural Sciences | 0.74 | BBLL × bbll 이 20% 조환가로 부분연관을 하고 있을 때 F2에 나타나는 표현형 BL의 비율(%)은? (단 B와 ㅣ은 각각 b와 l에 대하여 우성이다) | A. 45
B. 56
C. 66
D. 76 | C |
F1을 이용한 잡종 강세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 | 개화 및 성숙기가 촉진된다. | 키가 커지고 잎줄기가 왕성한 생육을 한다. | 불리한 외부 환경 조건에 저항력이 강하다. | 다음 대에 유전이 되므로 자가 채종해서 이용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462 | F1을 이용한 잡종 강세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개화 및 성숙기가 촉진된다.
B. 키가 커지고 잎줄기가 왕성한 생육을 한다.
C. 불리한 외부 환경 조건에 저항력이 강하다.
D. 다음 대에 유전이 되므로 자가 채종해서 이용한다. | D |
자가 불화합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4 | 암술은 정상이나 수술이 비정상이어서 자기꽃가루받이를 못한다. | 수술은 정상이나 암술이 비정상이어서 자기 꽃가루받이를 못한다. | 암술과 수술이 모두 비정상적인 기능을 갖고 있어 자기꽃가루받이를 못한다. | 암술과 수술 모두 정상적인 기능을 갖고 있으나 자기 꽃가루받이를 못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8 | 자가 불화합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 암술은 정상이나 수술이 비정상이어서 자기꽃가루받이를 못한다.
B. 수술은 정상이나 암술이 비정상이어서 자기 꽃가루받이를 못한다.
C. 암술과 수술이 모두 비정상적인 기능을 갖고 있어 자기꽃가루받이를 못한다.
D. 암술과 수술 모두 정상적인 기능을 갖고 있으나 자기 꽃가루받이를 못한다. | D |
유전인자형이 AaBbCc일 때 몇 종류의 배우자를 만들 수 있는가? (단, 독립 유전자을 적용한다.) | 4 | 2가지 | 4가지 | 5가지 | 8가지 | Agricultural Sciences | 0.8269 | 유전인자형이 AaBbCc일 때 몇 종류의 배우자를 만들 수 있는가? (단, 독립 유전자을 적용한다.) | A. 2가지
B. 4가지
C. 5가지
D. 8가지 | D |
후대로 전해지는 변이가 아닌 것은? | 4 | 교배변이 | 염색체 변이 | 세포질 변이 | 장소변이 | Agricultural Sciences | 0.9038 | 후대로 전해지는 변이가 아닌 것은? | A. 교배변이
B. 염색체 변이
C. 세포질 변이
D. 장소변이 | D |
생물학적 종(種)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4 | 생식측면에서 다른 중과격리 되어 있다. | 그 중 내에서는 개체 간에 자유로운 상호교배가 이루어진다. | 중의 구성원은 생식상의 공동체이고 생태적 단위이며 유전적 단위가 된다. | 생물학적 생물 진화의 결과로 생긴 것으로 더 이상 진화하지 않는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824 | 생물학적 종(種)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생식측면에서 다른 중과격리 되어 있다.
B. 그 중 내에서는 개체 간에 자유로운 상호교배가 이루어진다.
C. 중의 구성원은 생식상의 공동체이고 생태적 단위이며 유전적 단위가 된다.
D. 생물학적 생물 진화의 결과로 생긴 것으로 더 이상 진화하지 않는다. | D |
신품종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 4 | 균일성, 변이성, 구별성 | 균일성, 안정성, 변이성 | 균일성, 보존성, 안정성 | 균일성, 구별성, 안정성 | Agricultural Sciences | 0.7647 | 신품종으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 A. 균일성, 변이성, 구별성
B. 균일성, 안정성, 변이성
C. 균일성, 보존성, 안정성
D. 균일성, 구별성, 안정성 | D |
벼를 건답직파 재배할 때 트랙터 줄뿌림 파종기로 파종하는데 파종 깊이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 2 | 1cm | 3 cm | 5 cm | 7 cm | Agricultural Sciences | 0.6538 | 벼를 건답직파 재배할 때 트랙터 줄뿌림 파종기로 파종하는데 파종 깊이는 어느 정도가 적당한가? | A. 1cm
B. 3 cm
C. 5 cm
D. 7 cm | B |
4~6 km/h 이하의 바람이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 | 3 | 바람이 불면 증산작용은 약해진다. | 바람이 불면 광합성이 저해된다. | 풍매화의 가루받이와 결실작용을 좋게 한다. | 바람과 식물 생육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776 | 4~6 km/h 이하의 바람이 작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설명으로 옳은 것은? | A. 바람이 불면 증산작용은 약해진다.
B. 바람이 불면 광합성이 저해된다.
C. 풍매화의 가루받이와 결실작용을 좋게 한다.
D. 바람과 식물 생육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 C |
일반적으로 작물생육에 알맞은 토양의 산도 범위는? | 3 | pH 4 이하 | pH 4 ~ 5 | pH 6 ~ 7 | pH 8 ~ 9 | Agricultural Sciences | 0.7292 | 일반적으로 작물생육에 알맞은 토양의 산도 범위는? | A. pH 4 이하
B. pH 4 ~ 5
C. pH 6 ~ 7
D. pH 8 ~ 9 | C |
일반적으로 씨뿌리기 할 때 흙덮기는 종자의 두께의 몇 배 정도로 하는가? | 1 | 2 ~ 3배 | 4 ~ 5배 | 5 ~ 6배 | 7 ~ 8배 | Agricultural Sciences | 0.92 | 일반적으로 씨뿌리기 할 때 흙덮기는 종자의 두께의 몇 배 정도로 하는가? | A. 2 ~ 3배
B. 4 ~ 5배
C. 5 ~ 6배
D. 7 ~ 8배 | A |
엿기름을 만들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맥류는? | 3 | 밀 | 호밀 | 겉보리 | 쌀보리 | Agricultural Sciences | 0.8298 | 엿기름을 만들 때 가장 많이 쓰이는 맥류는? | A. 밀
B. 호밀
C. 겉보리
D. 쌀보리 | C |
오래전부터 특정한 지방에서 계속 재배되고 있는 품종을 무엇이라 하는가? | 1 | 재래종 | 유량 품종 | 도입품종 | 기간품종 | Agricultural Sciences | 0.9787 | 오래전부터 특정한 지방에서 계속 재배되고 있는 품종을 무엇이라 하는가? | A. 재래종
B. 유량 품종
C. 도입품종
D. 기간품종 | A |
파종 상에서 가장피해가 많은 병해는? | 3 | 역병 | 탄저병 | 잘록병 | 흰가루병 | Agricultural Sciences | 0.7447 | 파종 상에서 가장피해가 많은 병해는? | A. 역병
B. 탄저병
C. 잘록병
D. 흰가루병 | C |
CA(contrl led atmosphere)저장에 대한 옳은 설명은? | 1 | CO2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O2의 농도를 낮추어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 CO2의 농도를 낮추고 O2의 농도를 낮추어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 CO2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O2의 농도를 낮추어 고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 CO2의 농도를 낮추고 O2의 농도를 높여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222 | CA(contrl led atmosphere)저장에 대한 옳은 설명은? | A. CO2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O2의 농도를 낮추어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B. CO2의 농도를 낮추고 O2의 농도를 낮추어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C. CO2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O2의 농도를 낮추어 고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D. CO2의 농도를 낮추고 O2의 농도를 높여 저온에서 저장하는 방법이다. | A |
작물의 수량 삼각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4 | 환경조건 | 재배기술 | 품종의 특성 | 소비자 기호 | Agricultural Sciences | 0.8478 | 작물의 수량 삼각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A. 환경조건
B. 재배기술
C. 품종의 특성
D. 소비자 기호 | D |
노화된 꽃등에서 발생하는 에틸렌가스와 연탄가스 등에 의해 발생되는 카네이션의 생리적 장해는? | 2 | 언청이 | 꽃잎말이 | 잎말이 | 동공화 | Agricultural Sciences | 0.7021 | 노화된 꽃등에서 발생하는 에틸렌가스와 연탄가스 등에 의해 발생되는 카네이션의 생리적 장해는? | A. 언청이
B. 꽃잎말이
C. 잎말이
D. 동공화 | B |
종자의 휴면 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 3 | 온도처리를 한다. | 생장조절제를 이용한다. | 발아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한다. | 견고한 씨껍질의 종자는 씨껍질에 상처를 준다. | Agricultural Sciences | 0.6957 | 종자의 휴면 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 A. 온도처리를 한다.
B. 생장조절제를 이용한다.
C. 발아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한다.
D. 견고한 씨껍질의 종자는 씨껍질에 상처를 준다. | C |
작물의 고아합성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 2 | 자외선 | 가시광선 | 적외선 | 강마선 | Agricultural Sciences | 0.7826 | 작물의 고아합성 작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 A. 자외선
B. 가시광선
C. 적외선
D. 강마선 | B |
벼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 | 직파재배도 가능하다. | 원산지는 아시아 이다. | 우리나라 환경에 재배하기가 어렵다. | 재배 시 가장 많이 흡수하는 무기성분은 규산이며 이는 병해충에 대한 저항력을 강하게 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723 | 벼에 대한 설명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A. 직파재배도 가능하다.
B. 원산지는 아시아 이다.
C. 우리나라 환경에 재배하기가 어렵다.
D. 재배 시 가장 많이 흡수하는 무기성분은 규산이며 이는 병해충에 대한 저항력을 강하게 한다. | C |
생력ㆍ기계화 재배에 맞는 벼 품종의 육성 방향은? | 1 | 도복에 강한 직파용 품종 | 발아력이 좋은 품종 | 탈립이 잘되는 품종 | 내건조성과 내병성이 강한 품종 | Agricultural Sciences | 0.75 | 생력ㆍ기계화 재배에 맞는 벼 품종의 육성 방향은? | A. 도복에 강한 직파용 품종
B. 발아력이 좋은 품종
C. 탈립이 잘되는 품종
D. 내건조성과 내병성이 강한 품종 | A |
산성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서 재배시 석회를 시용하지 않아도 되는 작물은? | 1 | 벼 | 콩 | 시금치 | 보리 | Agricultural Sciences | 0.6889 | 산성 토양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서 재배시 석회를 시용하지 않아도 되는 작물은? | A. 벼
B. 콩
C. 시금치
D. 보리 | A |
채소종자의 발아시험을 실시 할 때는 2단계 변온의 온도조건 하에서 행하여야만 하는데 2단계의 온도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 | 20℃와 40℃ | 10℃와 30℃ | 15℃와 25℃ | 20℃와 30℃ | Agricultural Sciences | 0.5341 | 채소종자의 발아시험을 실시 할 때는 2단계 변온의 온도조건 하에서 행하여야만 하는데 2단계의 온도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20℃와 40℃
B. 10℃와 30℃
C. 15℃와 25℃
D. 20℃와 30℃ | D |
제는 종자가 성숙한 후까지 그 흔적이 남아 있는데, 제의 위치가 종자의 뒷면에 있는 종자는? | 3 | 배추 | 상추 | 콩 | 시금치 | Agricultural Sciences | 0.85 | 제는 종자가 성숙한 후까지 그 흔적이 남아 있는데, 제의 위치가 종자의 뒷면에 있는 종자는? | A. 배추
B. 상추
C. 콩
D. 시금치 | C |
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는 주요 부위는? | 1 | 씨껍질 | 내피 | 떡잎 | 씨젖 | Agricultural Sciences | 0.939 | 진균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있는 주요 부위는? | A. 씨껍질
B. 내피
C. 떡잎
D. 씨젖 | A |
종자전염성 병원균 검정방법이 아닌 것은? | 4 | 한천배지검정 | 여과지배양검정 | 생물학적 검정 | 순도검정 | Agricultural Sciences | 0.8519 | 종자전염성 병원균 검정방법이 아닌 것은? | A. 한천배지검정
B. 여과지배양검정
C. 생물학적 검정
D. 순도검정 | D |
지하발아형 작물이 아닌 것은? | 1 | 콩 | 벼 | 귀리 | 옥수수 | Agricultural Sciences | 0.8072 | 지하발아형 작물이 아닌 것은? | A. 콩
B. 벼
C. 귀리
D. 옥수수 | A |
침윤 종자의 물 흡수 정도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지배를 받는데 세포의 물 흡수 능력에 미치는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 2 | 세포의 수분장력 | 세포의 표면장력 | 세포의 삼투압 | 세포의 팽압 | Agricultural Sciences | 0.662 | 침윤 종자의 물 흡수 정도는 환경적 요인에 의해 지배를 받는데 세포의 물 흡수 능력에 미치는 요소로 거리가 먼 것은? | A. 세포의 수분장력
B. 세포의 표면장력
C. 세포의 삼투압
D. 세포의 팽압 | B |
종자의 퇴화 원인이 아닌 것은? | 2 | 저장 양분의 고갈 | 우해물질의 방출 | 효소의 분해와 불합성 | 발아 유도 기구의 분해 | Agricultural Sciences | 0.4474 | 종자의 퇴화 원인이 아닌 것은? | A. 저장 양분의 고갈
B. 우해물질의 방출
C. 효소의 분해와 불합성
D. 발아 유도 기구의 분해 | B |
수확 직후 휴면 중인 종자의 발아력을 신속히 검사 할 수 있는 방법은? | 4 | 지베렐린 검사법 | 에틸렌 검사법 | 지베렐린과 테트라졸륨 혼합액에 의한 검사법 | 지배렐린과 티오요소 혼합액에 의한 검사법 | Agricultural Sciences | 0.4595 | 수확 직후 휴면 중인 종자의 발아력을 신속히 검사 할 수 있는 방법은? | A. 지베렐린 검사법
B. 에틸렌 검사법
C. 지베렐린과 테트라졸륨 혼합액에 의한 검사법
D. 지배렐린과 티오요소 혼합액에 의한 검사법 | D |
병해충으로부터 저장 종자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3 | 공기 유통이 안되게 한다. | 종자 정선을 잘한다. | 저장온도를 높게 한다. | 저장습도를 낮게 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424 | 병해충으로부터 저장 종자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 A. 공기 유통이 안되게 한다.
B. 종자 정선을 잘한다.
C. 저장온도를 높게 한다.
D. 저장습도를 낮게 한다. | C |
벼 종자가 저온(0℃ 이하)에서 발아 하지 못하는 경우의 휴면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2 | 자발휴면 | 타발휴면 | 진정휴면 | 배휴면 | Agricultural Sciences | 0.8308 | 벼 종자가 저온(0℃ 이하)에서 발아 하지 못하는 경우의 휴면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 A. 자발휴면
B. 타발휴면
C. 진정휴면
D. 배휴면 | B |
무 종자 검사를 위하여 소집단에서 400g의 시료를 채취하여 검정기관(검정실에 제출하였다. 이 시료의 명칭은? | 2 | 합성시료 | 제출시료 | 검사시료 | 분할시료 | Agricultural Sciences | 0.7015 | 무 종자 검사를 위하여 소집단에서 400g의 시료를 채취하여 검정기관(검정실에 제출하였다. 이 시료의 명칭은? | A. 합성시료
B. 제출시료
C. 검사시료
D. 분할시료 | B |
무씨 400립으로 발아시험을 실시하였더니 정상묘 360개, 비정상묘 16개, 불발아 종자 24개였다. 이때의 발아율은? (단, 표준발아검사에 준하여 실시한다.) | 1 | 90% | 94% | 96% | 100% | Agricultural Sciences | 0.8 | 무씨 400립으로 발아시험을 실시하였더니 정상묘 360개, 비정상묘 16개, 불발아 종자 24개였다. 이때의 발아율은? (단, 표준발아검사에 준하여 실시한다.) | A. 90%
B. 94%
C. 96%
D. 100% | A |
종자의 저장조직이 아닌 것은? | 1 | 배 | 배유 | 외배유 | 떡잎 | Agricultural Sciences | 0.5294 | 종자의 저장조직이 아닌 것은? | A. 배
B. 배유
C. 외배유
D. 떡잎 | A |
종자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 | 종자의 발아와 유묘의 출현 중 활성과 능력의 정도를 결정하는 총체적 종자의 성질이다. | 종자의 퇴화가 진행 될수록 종자세의 저하가 발아능 보다 늦에 종자퇴화를 뚜렷이 분별하기 어렵다. | 종자의 품질을 결정하는 척도이다. | 종자세는 발아검사보다 종자내부의 변화를 더 자세하게 알아낼 수 있다. | Agricultural Sciences | 0.6102 | 종자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종자의 발아와 유묘의 출현 중 활성과 능력의 정도를 결정하는 총체적 종자의 성질이다.
B. 종자의 퇴화가 진행 될수록 종자세의 저하가 발아능 보다 늦에 종자퇴화를 뚜렷이 분별하기 어렵다.
C. 종자의 품질을 결정하는 척도이다.
D. 종자세는 발아검사보다 종자내부의 변화를 더 자세하게 알아낼 수 있다. | B |
다른 종의 화분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수정되지 않고도 배로 발육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로 옳은 것은? | 1 | 위수정 | 단성색식 | 단위생식 | 무배생식 | Agricultural Sciences | 0.7069 | 다른 종의 화분의 자극을 받아 난세포가 수정되지 않고도 배로 발육하는 현상을 가리키는 용어로 옳은 것은? | A. 위수정
B. 단성색식
C. 단위생식
D. 무배생식 | A |
대형 봄무는 어떤 품종간의 교잡으로 얻은 교잡종인가? | 3 | 서울 봄무 * 궁중무 | 서울 봄무 * 성호원 무 | 서울 봄무 * 사철 무 | 서울 봄무 * 진주 대평무 | Agricultural Sciences | 0.7119 | 대형 봄무는 어떤 품종간의 교잡으로 얻은 교잡종인가? | A. 서울 봄무 * 궁중무
B. 서울 봄무 * 성호원 무
C. 서울 봄무 * 사철 무
D. 서울 봄무 * 진주 대평무 | C |
우량종자의 구비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3 | 별해충에 감염되지 않았다. | 다른 품종의 종자가 섞이지 않았다. | 우수한 변이를 가지고 있다. | 활력이 높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273 | 우량종자의 구비조건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A. 별해충에 감염되지 않았다.
B. 다른 품종의 종자가 섞이지 않았다.
C. 우수한 변이를 가지고 있다.
D. 활력이 높다. | C |
다수성은 재배작물의 육종목표가 된다. 벼에서 다수성에 관여하는 조건과 거리가 가장 먼 내용은? | 4 | 초형이 직립이다. | 엽면적지수가 증가되어도 수광 상태가 좋다. | 거름을 많이 주어도 도복 되지 않다. | 감광성이 낮고 감온성이 높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358 | 다수성은 재배작물의 육종목표가 된다. 벼에서 다수성에 관여하는 조건과 거리가 가장 먼 내용은? | A. 초형이 직립이다.
B. 엽면적지수가 증가되어도 수광 상태가 좋다.
C. 거름을 많이 주어도 도복 되지 않다.
D. 감광성이 낮고 감온성이 높다. | D |
보족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스위트피 F2에서 자색꽃과 황색꽃의 분리비율은? | 3 | 15:1 | 9:6:1 | 9:7 | 13:3 | Agricultural Sciences | 0.6909 | 보족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스위트피 F2에서 자색꽃과 황색꽃의 분리비율은? | A. 15:1
B. 9:6:1
C. 9:7
D. 13:3 | C |
장간 풍종과 단간 풍종을 교배하였더니 F2에서 장간과 단간이 3:1로 분리되었다. 이 때 관련 있는 변이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2 | 대립변이 | 환경변이 | 유전적 변이 | 교잡변이 | Agricultural Sciences | 0.5439 | 장간 풍종과 단간 풍종을 교배하였더니 F2에서 장간과 단간이 3:1로 분리되었다. 이 때 관련 있는 변이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A. 대립변이
B. 환경변이
C. 유전적 변이
D. 교잡변이 | B |
비대립 유전자간의 상호작용이 아닌 것은? | 2 | 중복유전자 | 복대립유전자 | 보족유전자 | 동의유전자 | Agricultural Sciences | 0.537 | 비대립 유전자간의 상호작용이 아닌 것은? | A. 중복유전자
B. 복대립유전자
C. 보족유전자
D. 동의유전자 |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