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stion
stringlengths 2
401
| answer
int64 1
4
| A
stringlengths 1
247
| B
stringlengths 1
238
| C
stringlengths 1
252
| D
stringlengths 1
258
| Category
stringclasses 45
values | Human Accuracy
float64 0
1
⌀ | instruction
stringlengths 2
401
| input
stringlengths 19
807
| output
stringclasses 4
values |
---|---|---|---|---|---|---|---|---|---|---|
종자 휴면을 타파하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생장조절 물질은? | 4 | 요소 | 암모니아 | 다찌가렌 | 지벨렐린 | Agricultural Sciences | 0.965 | 종자 휴면을 타파하는데 가장 많이 이용되는 생장조절 물질은? | A. 요소
B. 암모니아
C. 다찌가렌
D. 지벨렐린 | D |
종자가 발아할 때의 수분흡수를 3단계로 나눌 때, 뿌리의 신장이 관찰되며,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단계는 어느 단계인가? | 3 | 1단계 | 2단계 | 3단계 | 1~2단계 | Agricultural Sciences | 0.7113 | 종자가 발아할 때의 수분흡수를 3단계로 나눌 때, 뿌리의 신장이 관찰되며, 수분과 양분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는 단계는 어느 단계인가? | A. 1단계
B. 2단계
C. 3단계
D. 1~2단계 | C |
단명종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 | 토마토 | 파 | 당근 | 콩 | Agricultural Sciences | 0.6573 | 단명종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A. 토마토
B. 파
C. 당근
D. 콩 | A |
단자엽 식물에 속하는 것은? | 3 | 콩 | 오이 | 보리 | 단풍나무 | Agricultural Sciences | 0.6809 | 단자엽 식물에 속하는 것은? | A. 콩
B. 오이
C. 보리
D. 단풍나무 | C |
종자병 검정에 있어 항 혈청학적 검정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 | 한천배지검정법 | 면역이중확산법 | 형광항체법 | 효소결합항체(ELISA)법 | Agricultural Sciences | 0.6944 | 종자병 검정에 있어 항 혈청학적 검정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 A. 한천배지검정법
B. 면역이중확산법
C. 형광항체법
D. 효소결합항체(ELISA)법 | A |
기주식물과 종자 전염병의 연결로 틀린 것은? | 4 | 보리 - 깜부기병 | 오이 - 오이모자이크병 | 벼 - 키다리병 | 토마토 - 배꼽썩음병 | Agricultural Sciences | 0.6643 | 기주식물과 종자 전염병의 연결로 틀린 것은? | A. 보리 - 깜부기병
B. 오이 - 오이모자이크병
C. 벼 - 키다리병
D. 토마토 - 배꼽썩음병 | D |
종자의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 | 곡류는 저온ㆍ건조할수록 저장에 유리하다. | 식용감자는 3~4℃ 및 85~90%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 고구마는 2~5℃ 및 80~95%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 엽ㆍ근채류는 0~4℃ 및 90~95%의 습도가 저장에 유리하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343 | 종자의 저장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곡류는 저온ㆍ건조할수록 저장에 유리하다.
B. 식용감자는 3~4℃ 및 85~90%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C. 고구마는 2~5℃ 및 80~95%의 습도에 저장하는 것이 유리하다.
D. 엽ㆍ근채류는 0~4℃ 및 90~95%의 습도가 저장에 유리하다. | C |
경실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2 | 모래에 저장한다. | 종피에 상처를 준다. |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봉한다. | 일정기간 습기와의 접촉을 방지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391 | 경실종자의 발아촉진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A. 모래에 저장한다.
B. 종피에 상처를 준다.
C. 공기가 통하지 않도록 밀봉한다.
D. 일정기간 습기와의 접촉을 방지한다. | B |
종자의 퇴화 증상이 아닌 것은? | 2 | 효소활성의 저하 | 호흡의 상승 | 종자 침출액의 증가 | 유리지방산의 증가 | Agricultural Sciences | 0.7143 | 종자의 퇴화 증상이 아닌 것은? | A. 효소활성의 저하
B. 호흡의 상승
C. 종자 침출액의 증가
D. 유리지방산의 증가 | B |
무씨 400립으로 발아시험을 실시하였더니 정상묘 360개, 비정상묘 16개, 불발아 종자 24개였다. 이때의 발아율은 얼마인가? (단, 표준발아검사에 준하여 실시한다.) | 2 | 67% | 90% | 94% | 96% | Agricultural Sciences | 0.8102 | 무씨 400립으로 발아시험을 실시하였더니 정상묘 360개, 비정상묘 16개, 불발아 종자 24개였다. 이때의 발아율은 얼마인가? (단, 표준발아검사에 준하여 실시한다.) | A. 67%
B. 90%
C. 94%
D. 96% | B |
작물의 1대 잡종( F1)에서 수확한 종자( F2)를 재배하여 수확한 종자의 특성이 아닌것은? | 1 | 유전적으로 순수하다. | 품질이 떨어진다. | 균일성이 떨어진다. | 변이가 심하게 일어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143 | 작물의 1대 잡종( F1)에서 수확한 종자( F2)를 재배하여 수확한 종자의 특성이 아닌것은? | A. 유전적으로 순수하다.
B. 품질이 떨어진다.
C. 균일성이 떨어진다.
D. 변이가 심하게 일어난다. | A |
자가불화합성의 기구(機構)에 속하지 않는 것은? | 1 | 개화 전의 꽃망울 또는 개화 후 3~4일 지난 늙은 꽃의 임성을 방해하는 경우 | 꽃가루의 발아는 정상적이지만 꽃가루관의 신장이 저해되는 경우 | 꽃가루의 발아에서 수정까지는 되지만 그 후에 발육이 저해되는 경우 | 암술머리 위에서 꽃가루의 발아가 저해되는 경우 | Agricultural Sciences | 0.6418 | 자가불화합성의 기구(機構)에 속하지 않는 것은? | A. 개화 전의 꽃망울 또는 개화 후 3~4일 지난 늙은 꽃의 임성을 방해하는 경우
B. 꽃가루의 발아는 정상적이지만 꽃가루관의 신장이 저해되는 경우
C. 꽃가루의 발아에서 수정까지는 되지만 그 후에 발육이 저해되는 경우
D. 암술머리 위에서 꽃가루의 발아가 저해되는 경우 | A |
자식성 식물의 화기구조 특성으로 틀린 것은? | 1 | 암술과 수술이 한 개체에 있으나 다른 부위에 위치한다. | 화기가 잘 열리지 않는다. | 꽃이 피기 직전 또는 직후에 화분립이 비산한다. | 암술머리나 꽃밥이 꽃잎에 의하여 감추어져 있다. | Agricultural Sciences | 0.5639 | 자식성 식물의 화기구조 특성으로 틀린 것은? | A. 암술과 수술이 한 개체에 있으나 다른 부위에 위치한다.
B. 화기가 잘 열리지 않는다.
C. 꽃이 피기 직전 또는 직후에 화분립이 비산한다.
D. 암술머리나 꽃밥이 꽃잎에 의하여 감추어져 있다. | A |
신품종의 품종보호 등록에 필요한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 4 | 구별성 | 균일성 | 안정성 | 유용성 | Agricultural Sciences | 0.7698 | 신품종의 품종보호 등록에 필요한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 A. 구별성
B. 균일성
C. 안정성
D. 유용성 | D |
채소의 1대 잡종 채종시 보통 인공교배에 의하지 않는 것은? | 2 | 수박 | 양파 | 오이 | 가지 | Agricultural Sciences | 0.6767 | 채소의 1대 잡종 채종시 보통 인공교배에 의하지 않는 것은? | A. 수박
B. 양파
C. 오이
D. 가지 | B |
질적형질과 양적형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 | 양적형질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 질적형질은 적은 수(數)의 유전자가 관여하므로 유전현상이 비교적 단순하다. | 질적형질은 연속변이를 나타낸다. | 양적형질의 대표적인 예로서 꽃색을 들 수 있다. | Agricultural Sciences | 0.5556 | 질적형질과 양적형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 양적형질은 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B. 질적형질은 적은 수(數)의 유전자가 관여하므로 유전현상이 비교적 단순하다.
C. 질적형질은 연속변이를 나타낸다.
D. 양적형질의 대표적인 예로서 꽃색을 들 수 있다. | B |
BC3F1을 자식하여 BC3F2를 얻었다. 교배회수로 볼 때 BC3F2는 자식 몇 세대에 해당되는가? | 3 | 1세대(F1) | 3세대(F3) | 5세대(F5) | 7세대(F7) | Agricultural Sciences | 0.6124 | BC3F1을 자식하여 BC3F2를 얻었다. 교배회수로 볼 때 BC3F2는 자식 몇 세대에 해당되는가? | A. 1세대(F1)
B. 3세대(F3)
C. 5세대(F5)
D. 7세대(F7) | C |
동질배수체 육종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2 | 염색체 수가 적은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 배수체가 되면 임성이 높아지고 착과성이 좋아진다. | 자식성 식물에서보다는 타식성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 잎과줄기 등 영양기관을 이용하는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 Agricultural Sciences | 0.4569 | 동질배수체 육종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A. 염색체 수가 적은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B. 배수체가 되면 임성이 높아지고 착과성이 좋아진다.
C. 자식성 식물에서보다는 타식성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D. 잎과줄기 등 영양기관을 이용하는 식물에서 더 효과적이다. | B |
피자식물의 배유 세포의 핵은 몇 배체인가? | 3 | 1배체 | 2배체 | 3배체 | 4배체 | Agricultural Sciences | 0.686 | 피자식물의 배유 세포의 핵은 몇 배체인가? | A. 1배체
B. 2배체
C. 3배체
D. 4배체 | C |
육종의 대상 형질을 세분화 할 때 질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 2 | 초장 | 화색 | 분얼수 | 성분 함량 | Agricultural Sciences | 0.7213 | 육종의 대상 형질을 세분화 할 때 질적 특성에 해당하는 것은? | A. 초장
B. 화색
C. 분얼수
D. 성분 함량 | B |
두 품종을 교잡하여 그 후대에 좋은 형질을 가진 개체를 분리 선발하여 고정 시키는 육종 방법은? | 4 | 분리육종법 | 선발육종법 | 계통육종법 | 교잡육종법 | Agricultural Sciences | 0.5455 | 두 품종을 교잡하여 그 후대에 좋은 형질을 가진 개체를 분리 선발하여 고정 시키는 육종 방법은? | A. 분리육종법
B. 선발육종법
C. 계통육종법
D. 교잡육종법 | D |
변이의 크기는 육종에 매우 중요하다. 변이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된 것은? | 2 | 배수체 유기 | 교잡 | 방사선 돌연변이 유기 | 유전공학적 기법 | Agricultural Sciences | 0.5763 | 변이의 크기는 육종에 매우 중요하다. 변이를 크게 하는 방법으로 가장 많이 이용된 것은? | A. 배수체 유기
B. 교잡
C. 방사선 돌연변이 유기
D. 유전공학적 기법 | B |
형질의 변이와 선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 | 형질의 표현은 유전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 유전력은 양적형질의 변이를 효과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하나의 표본 통계치이다. | 연속변이를 보이는 형질 중 폴리진의 영향을 받는 경우 개별 유전자가 작용하는 값이 환경변이보다 크다. | 딴꽃가루받이성(타식성) 작물에서 원치않는 우성유전자를 도태시키는 것보다 원치 않는 열성유전자를 도태시키는 것이 더 어렵다. | Agricultural Sciences | 0.5856 | 형질의 변이와 선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형질의 표현은 유전자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난다.
B. 유전력은 양적형질의 변이를 효과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하나의 표본 통계치이다.
C. 연속변이를 보이는 형질 중 폴리진의 영향을 받는 경우 개별 유전자가 작용하는 값이 환경변이보다 크다.
D. 딴꽃가루받이성(타식성) 작물에서 원치않는 우성유전자를 도태시키는 것보다 원치 않는 열성유전자를 도태시키는 것이 더 어렵다. | C |
농작물 품종의 변천 요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 2 | 사람의 기호 | 품종의 분류 | 경제적인 상황 | 농업기계의 발달 | Agricultural Sciences | 0.4862 | 농작물 품종의 변천 요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 A. 사람의 기호
B. 품종의 분류
C. 경제적인 상황
D. 농업기계의 발달 | B |
작물육종의 전망으로 틀린 것은? | 3 | 유전자원의 필요성이 증가될 것이다. | 육종목표가 다양화될 것이다. | 형질전환기술의 이용이 적어질 것이다. | 신품종 개발에 관한 지적재산권이 보호될 것이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919 | 작물육종의 전망으로 틀린 것은? | A. 유전자원의 필요성이 증가될 것이다.
B. 육종목표가 다양화될 것이다.
C. 형질전환기술의 이용이 적어질 것이다.
D. 신품종 개발에 관한 지적재산권이 보호될 것이다. | C |
장려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4 | 유전적 특성이 우수한 품종 |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갖는 품종 | 농업 생산자의 선호도가 높은 품종 | 우량 품종 중에서 재배가 권장되는 품종 | Agricultural Sciences | 0.7477 | 장려품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유전적 특성이 우수한 품종
B.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갖는 품종
C. 농업 생산자의 선호도가 높은 품종
D. 우량 품종 중에서 재배가 권장되는 품종 | D |
순계분리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작물은? | 2 | 타식성 작물 | 자식성 작물 | 영년생 작물 | 영양번식 작물 | Agricultural Sciences | 0.6273 | 순계분리법을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작물은? | A. 타식성 작물
B. 자식성 작물
C. 영년생 작물
D. 영양번식 작물 | B |
채소 채종포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 4 | 병해충 발생이 적은 곳 | 개화기와 성숙기에 비가 적은 곳 | 노지에서 월동이 용이한 곳 | 자연교잡이 잘 일어나는 곳 | Agricultural Sciences | 0.8113 | 채소 채종포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 A. 병해충 발생이 적은 곳
B. 개화기와 성숙기에 비가 적은 곳
C. 노지에서 월동이 용이한 곳
D. 자연교잡이 잘 일어나는 곳 | D |
한 개의 생식핵으로부터 몇 개의 웅핵이 생성되는가? | 2 | 1개 | 2개 | 4개 | 8개 | Agricultural Sciences | 0.7273 | 한 개의 생식핵으로부터 몇 개의 웅핵이 생성되는가? | A. 1개
B. 2개
C. 4개
D. 8개 | B |
개화기 조절방법이 아닌 것은? | 4 | 파종기에 의한 조절 | 비배법 | 온실법 | 제웅법 | Agricultural Sciences | 0.5981 | 개화기 조절방법이 아닌 것은? | A. 파종기에 의한 조절
B. 비배법
C. 온실법
D. 제웅법 | D |
잡초의 방제방법이 잘못 연결된 것은? | 3 | 기계적 방제 - 제초용 농기구 이용 | 생태적 방제 - 재배의 시기 조절 | 물리적 방제 - 밀식재배 | 화학적 방제 - 제초제 사용 | Agricultural Sciences | 0.835 | 잡초의 방제방법이 잘못 연결된 것은? | A. 기계적 방제 - 제초용 농기구 이용
B. 생태적 방제 - 재배의 시기 조절
C. 물리적 방제 - 밀식재배
D. 화학적 방제 - 제초제 사용 | C |
일반적으로 생산물의 용도에 따라 공예작물을 분류할 때 약료작물에 해당되는 것은? | 4 | 수수 | 땅콩 | 고구마 | 인삼 | Agricultural Sciences | 0.9706 | 일반적으로 생산물의 용도에 따라 공예작물을 분류할 때 약료작물에 해당되는 것은? | A. 수수
B. 땅콩
C. 고구마
D. 인삼 | D |
생력재배의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 3 | 생산비의 절감 | 농업경영의 개선 | 작업효율의 감소 | 단위수량의 증대 | Agricultural Sciences | 0.7961 | 생력재배의 효과와 거리가 먼 것은? | A. 생산비의 절감
B. 농업경영의 개선
C. 작업효율의 감소
D. 단위수량의 증대 | C |
산성 토양에서 나타나는 무기성분의 반응으로 옳은 것은? | 1 | 인산 불용화 | 칼슘, 마그네슘 이용도 증가 | 염류축적 감소 | 아연, 망간 용해도 감소 | Agricultural Sciences | 0.6117 | 산성 토양에서 나타나는 무기성분의 반응으로 옳은 것은? | A. 인산 불용화
B. 칼슘, 마그네슘 이용도 증가
C. 염류축적 감소
D. 아연, 망간 용해도 감소 | A |
우리 나라에서 벼농사를 짓기에 알맞은 이유가 아닌 것은? | 4 | 토질과 산도가 알맞다. | 온도가 높고 강수량이 많다. | 일조 시간과 일사량이 풍부하다. | 자연재해가 거의 없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843 | 우리 나라에서 벼농사를 짓기에 알맞은 이유가 아닌 것은? | A. 토질과 산도가 알맞다.
B. 온도가 높고 강수량이 많다.
C. 일조 시간과 일사량이 풍부하다.
D. 자연재해가 거의 없다. | D |
큐어링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작물은? | 3 | 배 | 사과 | 고구마 | 단감 | Agricultural Sciences | 0.8889 | 큐어링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작물은? | A. 배
B. 사과
C. 고구마
D. 단감 | C |
1m2당 이삭수가 300개, 1이삭당 평균 영화수가 100개, 등숙률 80%, 1,000알의 무게가 20g일 경우 1m2당 벼의 수량은? | 3 | 240g | 300g | 480g | 600g | Agricultural Sciences | 0.6931 | 1m2당 이삭수가 300개, 1이삭당 평균 영화수가 100개, 등숙률 80%, 1,000알의 무게가 20g일 경우 1m2당 벼의 수량은? | A. 240g
B. 300g
C. 480g
D. 600g | C |
관행적인 방법으로 콩 재배를 하던 농업인이 노동력이 많이 들어 경운줄뿌림 재배법으로 재배방법을 전환하였다. 그 이유는 어느 작업단계에서 노력을 절감하기 위한 것인가? | 4 | 종자 준비 작업 | 경운 정지 작업 | 비료 살포 작업 | 파종 작업 | Agricultural Sciences | 0.8824 | 관행적인 방법으로 콩 재배를 하던 농업인이 노동력이 많이 들어 경운줄뿌림 재배법으로 재배방법을 전환하였다. 그 이유는 어느 작업단계에서 노력을 절감하기 위한 것인가? | A. 종자 준비 작업
B. 경운 정지 작업
C. 비료 살포 작업
D. 파종 작업 | D |
생력기계화 재배의 전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4 | 농경지의 경지정리와 농로의 정비 | 동일 작물을 동일한 집단 재배방식으로 관리 | 제초제를 이용한 재배 | 이식 재배를 통한 재배 체계 확립 | Agricultural Sciences | 0.59 | 생력기계화 재배의 전제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A. 농경지의 경지정리와 농로의 정비
B. 동일 작물을 동일한 집단 재배방식으로 관리
C. 제초제를 이용한 재배
D. 이식 재배를 통한 재배 체계 확립 | D |
농약살포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 3 | 약을 뿌릴 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린다. | 살포전ㆍ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는다. | 사용 후 남은 농약은 눈에 잘 띄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한다. |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9505 | 농약살포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가장 부적당한 것은? | A. 약을 뿌릴 때에는 마스크, 보안경, 고무장갑 및 방제복 등을 착용하고 바람을 등지고 뿌린다.
B. 살포전ㆍ후 살포기를 반드시 씻는다.
C. 사용 후 남은 농약은 눈에 잘 띄도록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보관한다.
D. 안전사용기준과 취급제한기준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C |
산성토양에서도 잘 생육하는 화훼류는? | 2 | 과꽃, 백일홍 | 철쭉, 치자 | 국화, 카네이션 | 제라늄, 시네라리아 | Agricultural Sciences | 0.6604 | 산성토양에서도 잘 생육하는 화훼류는? | A. 과꽃, 백일홍
B. 철쭉, 치자
C. 국화, 카네이션
D. 제라늄, 시네라리아 | B |
밀의 용도와 품질적 특성에서 고급 빵이나 마카로니를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밀가루는? | 1 | 강력 밀가루 | 준강력 밀가루 | 중력 밀가루 | 박력 밀가루 | Agricultural Sciences | 0.7547 | 밀의 용도와 품질적 특성에서 고급 빵이나 마카로니를 만드는데 가장 적합한 밀가루는? | A. 강력 밀가루
B. 준강력 밀가루
C. 중력 밀가루
D. 박력 밀가루 | A |
벼를 담수 직파 재배할 때 가급적 중생종이나 중ㆍ만생종을 선택하는데 이와 가장 관계 깊은 벼의 특성은? | 4 | 내랭성 | 내병성 | 내충성 | 내도복성 | Agricultural Sciences | 0.8058 | 벼를 담수 직파 재배할 때 가급적 중생종이나 중ㆍ만생종을 선택하는데 이와 가장 관계 깊은 벼의 특성은? | A. 내랭성
B. 내병성
C. 내충성
D. 내도복성 | D |
아직 덜 익은 과실을 수확하여 일정 기간 놓아두면 익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1 | 후숙 | 예냉 | 도정 | 큐어링 | Agricultural Sciences | 0.981 | 아직 덜 익은 과실을 수확하여 일정 기간 놓아두면 익는데, 이러한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A. 후숙
B. 예냉
C. 도정
D. 큐어링 | A |
산간 지방에서 벼를 재배할 때 가장 피해 받기 쉬운 기상 재해는? | 4 | 안개해 | 동해 | 풍해 | 냉해 | Agricultural Sciences | 0.8257 | 산간 지방에서 벼를 재배할 때 가장 피해 받기 쉬운 기상 재해는? | A. 안개해
B. 동해
C. 풍해
D. 냉해 | D |
작물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2 | 콩과 작물은 대부분 지하발아를 한다. | 종자의 발아에는 적절한 수분, 산소, 온도가 필요하다. | 광선이 발아를 촉진하는 종자에는 토마토, 호박 등이 있다. | 발아 할 때는 종자의 호흡이 감소하면서 이산화탄소의 소모가 증가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453 | 작물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 콩과 작물은 대부분 지하발아를 한다.
B. 종자의 발아에는 적절한 수분, 산소, 온도가 필요하다.
C. 광선이 발아를 촉진하는 종자에는 토마토, 호박 등이 있다.
D. 발아 할 때는 종자의 호흡이 감소하면서 이산화탄소의 소모가 증가한다. | B |
벼의 생육 최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3 | 0 ~ 4℃ | 5 ~ 8℃ | 9 ~ 14℃ | 20 ~ 25℃ | Agricultural Sciences | 0.6055 | 벼의 생육 최저 온도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0 ~ 4℃
B. 5 ~ 8℃
C. 9 ~ 14℃
D. 20 ~ 25℃ | C |
고온성 채소는 어느 것인가? | 4 | 배추 | 딸기 | 시금치 | 토마토 | Agricultural Sciences | 0.7944 | 고온성 채소는 어느 것인가? | A. 배추
B. 딸기
C. 시금치
D. 토마토 | D |
수정후 화부노간이 자라 난세포와 결합하기 위하여 들어가는 구멍은? | 2 | 주피 | 주공 | 주심 | 배낭 | Agricultural Sciences | 0.8125 | 수정후 화부노간이 자라 난세포와 결합하기 위하여 들어가는 구멍은? | A. 주피
B. 주공
C. 주심
D. 배낭 | B |
종자가 발아하기에 알맞은 내부조건과 환경조건이 되어도 발아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은? | 3 | 미숙 | 후숙 | 휴면 | 불발아 | Agricultural Sciences | 0.8443 | 종자가 발아하기에 알맞은 내부조건과 환경조건이 되어도 발아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키는 것은? | A. 미숙
B. 후숙
C. 휴면
D. 불발아 | C |
종자 전염병의 생물학적 방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2 | 종자의 종피를 제거하여 발아를 촉진한다. | 종자의 종피에 길항미생물을 부착한다. | 종자에 코팅(Coationg)처리를 한다. | 종자에 소독제를 넣어 펠레팅(Pelleting)을 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167 | 종자 전염병의 생물학적 방제 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 A. 종자의 종피를 제거하여 발아를 촉진한다.
B. 종자의 종피에 길항미생물을 부착한다.
C. 종자에 코팅(Coationg)처리를 한다.
D. 종자에 소독제를 넣어 펠레팅(Pelleting)을 한다. | B |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 | 발아율(發芽率)은 파종된 총 종자 수에 대한 발아종자수의 비율이다. | 발아세(發芽勢)는 정해진 시일 내의 발아율이다. | 발아기(發芽期)는 대부분(80% 이상)이 발아한 날이다. | 발아시(發芽始준)는 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이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731 |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발아율(發芽率)은 파종된 총 종자 수에 대한 발아종자수의 비율이다.
B. 발아세(發芽勢)는 정해진 시일 내의 발아율이다.
C. 발아기(發芽期)는 대부분(80% 이상)이 발아한 날이다.
D. 발아시(發芽始준)는 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이다. | C |
종자의 표준발아검사 시 치상 재료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 1 | 반드시 샬레에다 치상하여야 한다. | 발아하는 유묘에 유독하지 않아야 한다. | 병원성의 미생물과 포자가 없어야 한다. | 발아를 위해 적당한 투기성과 보습성이 있어야 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807 | 종자의 표준발아검사 시 치상 재료가 갖추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 A. 반드시 샬레에다 치상하여야 한다.
B. 발아하는 유묘에 유독하지 않아야 한다.
C. 병원성의 미생물과 포자가 없어야 한다.
D. 발아를 위해 적당한 투기성과 보습성이 있어야 한다. | A |
종자의 수분 흡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3 | 보리의 흡수량은 온도에 따라 차가 적지만 흡수속도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빨라진다. | 담배종자의 흡수속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늦어지며 고온에서는 오히려 빨라진다. | 벼 종자의 흡수율 및 흡수속도는 밭벼 > 건도(乾道) > 논벼 순이다. | 종자 흡수량이 최대로 되는 시간은 작물의 종류에 상관 없이 거의 같다. | Agricultural Sciences | 0.6273 | 종자의 수분 흡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 보리의 흡수량은 온도에 따라 차가 적지만 흡수속도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빨라진다.
B. 담배종자의 흡수속도는 온도가 높아지면 늦어지며 고온에서는 오히려 빨라진다.
C. 벼 종자의 흡수율 및 흡수속도는 밭벼 > 건도(乾道) > 논벼 순이다.
D. 종자 흡수량이 최대로 되는 시간은 작물의 종류에 상관 없이 거의 같다. | C |
배젖 종자인 것은? | 4 | 해바라기 | 유채 | 팥 | 밀 | Agricultural Sciences | 0.7297 | 배젖 종자인 것은? | A. 해바라기
B. 유채
C. 팥
D. 밀 | D |
종자 발아를 촉진시키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미국의 공인종자검사자협회(AOSA)와 국제종자검사협회(ISTA)에서도 추진하고 있는 발아촉진 물질은? | 4 | 옥신 | 사이토키닌 | 과산화수소 | 질산칼륨 | Agricultural Sciences | 0.4386 | 종자 발아를 촉진시키는데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미국의 공인종자검사자협회(AOSA)와 국제종자검사협회(ISTA)에서도 추진하고 있는 발아촉진 물질은? | A. 옥신
B. 사이토키닌
C. 과산화수소
D. 질산칼륨 | D |
종자 전염성 병을 수확 전에 방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1 | 이형 식물체 제거 | 저항성 품종 이용 | 병든 식물체 제거 | 퇴화하지 않는 종자 이용 | Agricultural Sciences | 0.5179 | 종자 전염성 병을 수확 전에 방제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 A. 이형 식물체 제거
B. 저항성 품종 이용
C. 병든 식물체 제거
D. 퇴화하지 않는 종자 이용 | A |
바람직한 채종의 요건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 4 | 우량 종자를 생산할 수 있을 것 | 값싸게 채종할 수 있을 것 |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 | 고도의 기술을 요할 것 | Agricultural Sciences | 0.8942 | 바람직한 채종의 요건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 A. 우량 종자를 생산할 수 있을 것
B. 값싸게 채종할 수 있을 것
C. 대량생산이 가능할 것
D. 고도의 기술을 요할 것 | D |
저장종자의 수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 3 | 온도와 공기 | 공기와 습도 | 습도와 온도 | 온도와 광선 | Agricultural Sciences | 0.8426 | 저장종자의 수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 A. 온도와 공기
B. 공기와 습도
C. 습도와 온도
D. 온도와 광선 | C |
중복수정에 의하여 종자의 씨눈으로 발아하는 것은? | 1 | 웅핵 + 난세포 | 웅핵 + 2개의 극핵 | 화분관핵 + 난세포 | 화분관핵 + 2개의 극핵 | Agricultural Sciences | 0.6602 | 중복수정에 의하여 종자의 씨눈으로 발아하는 것은? | A. 웅핵 + 난세포
B. 웅핵 + 2개의 극핵
C. 화분관핵 + 난세포
D. 화분관핵 + 2개의 극핵 | A |
종자휴면의 원인이 아닌 것은? | 4 | 두꺼운 종피 | 발아억제물질 | 배의 미숙 | 산소의 공급 | Agricultural Sciences | 0.7714 | 종자휴면의 원인이 아닌 것은? | A. 두꺼운 종피
B. 발아억제물질
C. 배의 미숙
D. 산소의 공급 | D |
물 속에서도 발아력이 감퇴하지 않는 종자는? | 2 | 밀 | 벼 | 무 | 콩 | Agricultural Sciences | 0.8333 | 물 속에서도 발아력이 감퇴하지 않는 종자는? | A. 밀
B. 벼
C. 무
D. 콩 | B |
식물은 개화 후 수정이 끝나면 종자로 발달 성숙하는데 화곡류 종자발육 과정에서 알맞은 수확기는? | 1 | 황숙기 | 유숙기 | 고숙기 | 녹숙기 | Agricultural Sciences | 0.8952 | 식물은 개화 후 수정이 끝나면 종자로 발달 성숙하는데 화곡류 종자발육 과정에서 알맞은 수확기는? | A. 황숙기
B. 유숙기
C. 고숙기
D. 녹숙기 | A |
종자만이 제1차 전염원이 되는 병해는? | 2 | 벼 도열병 | 벼 선충심고병(잎마름선충병) | 벼 흰잎마름병 | 벼 오갈병 | Agricultural Sciences | 0.5455 | 종자만이 제1차 전염원이 되는 병해는? | A. 벼 도열병
B. 벼 선충심고병(잎마름선충병)
C. 벼 흰잎마름병
D. 벼 오갈병 | B |
표본추출 방법 중 종자를 깨끗한 책상 위에 넓고 고르게 편 후 손으로 파이 자르듯이 나누어 임의로 선택하는 방법은? | 4 | 컵방법 | 기계적 방법 | 균분기(均分機화)이용 방법 | 파이방법(pie method) | Agricultural Sciences | 0.9604 | 표본추출 방법 중 종자를 깨끗한 책상 위에 넓고 고르게 편 후 손으로 파이 자르듯이 나누어 임의로 선택하는 방법은? | A. 컵방법
B. 기계적 방법
C. 균분기(均分機화)이용 방법
D. 파이방법(pie method) | D |
채종포의 규모를 크게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 2 | 소량의 종자 생산을 위하여 | 종자의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하여 | 농민의 관심을 얻기 위하여 | 일시에 수익을 높이기 위하여 | Agricultural Sciences | 0.8431 | 채종포의 규모를 크게 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 A. 소량의 종자 생산을 위하여
B. 종자의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하여
C. 농민의 관심을 얻기 위하여
D. 일시에 수익을 높이기 위하여 | B |
피자식물의 배유(씨젖)는 몇 배체인가? | 3 | 1n | 2n | 3n | 4n | Agricultural Sciences | 0.7525 | 피자식물의 배유(씨젖)는 몇 배체인가? | A. 1n
B. 2n
C. 3n
D. 4n | C |
품종의 퇴화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 1 | 근교강세 | 돌연변이 | 자연교잡 | 타 품종의 기계적 혼입 | Agricultural Sciences | 0.5842 | 품종의 퇴화원인과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 A. 근교강세
B. 돌연변이
C. 자연교잡
D. 타 품종의 기계적 혼입 | A |
자식계통(inbred line)의 개량목표로 틀린 것은? | 2 | 자식계통의 생산성이 높아야 한다. | 일반적으로 조합능력은 낮아야 한다. | 품질이 양호하고 가공성이 좋아야 한다. | 내병성, 내충성 및 내도복성 등 내재해성이 높아야 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6 | 자식계통(inbred line)의 개량목표로 틀린 것은? | A. 자식계통의 생산성이 높아야 한다.
B. 일반적으로 조합능력은 낮아야 한다.
C. 품질이 양호하고 가공성이 좋아야 한다.
D. 내병성, 내충성 및 내도복성 등 내재해성이 높아야 한다. | B |
세포질·핵유전형의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일대 잡종 종자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작물은? | 3 | 셀러리 | 상추 | 고추 | 시금치 | Agricultural Sciences | 0.7 | 세포질·핵유전형의 웅성불임성을 이용하여 일대 잡종 종자를 생산하는 대표적인 작물은? | A. 셀러리
B. 상추
C. 고추
D. 시금치 | C |
육종 목표를 세우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 | 재래품종의 보급상황, 이들의 결점 및 장점 | 새로운 품종이 보급될 지역의 농민 기술수준 | 새로운 품종이 보급될 고장의 자연조건 | 새로운 품종이 보급될 고장의 경제조건 | Agricultural Sciences | 0.5361 | 육종 목표를 세우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A. 재래품종의 보급상황, 이들의 결점 및 장점
B. 새로운 품종이 보급될 지역의 농민 기술수준
C. 새로운 품종이 보급될 고장의 자연조건
D. 새로운 품종이 보급될 고장의 경제조건 | B |
속씨식물 배낭형성과정 중 배낭세포의 핵분열 횟수와 핵의 숫자는 몇 개인가? | 3 | 핵분열 횟수 : 1회, 핵의 숫자 : 2개 | 핵분열 횟수 : 2회, 핵의 숫자 : 4개 | 핵분열 횟수 : 3회, 핵의 숫자 : 8개 | 핵분열 횟수 : 4회, 핵의 숫자 : 8개 | Agricultural Sciences | 0.5464 | 속씨식물 배낭형성과정 중 배낭세포의 핵분열 횟수와 핵의 숫자는 몇 개인가? | A. 핵분열 횟수 : 1회, 핵의 숫자 : 2개
B. 핵분열 횟수 : 2회, 핵의 숫자 : 4개
C. 핵분열 횟수 : 3회, 핵의 숫자 : 8개
D. 핵분열 횟수 : 4회, 핵의 숫자 : 8개 | C |
작물 육종에서 자가불화합성의 특성을 이용한 결과와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 1 | 자연교잡(natural cross-pollination)에 의해 순도가 높은 종자생산 | 단위결과성이 높은 작물의 씨없는 과실생산 | 자가불화합성의 기작을 이용하여 계통이나 개체들의 유연관계 분석 | 잡종강세를 나타내는 일대잡종의 종자생산 | Agricultural Sciences | 0.5053 | 작물 육종에서 자가불화합성의 특성을 이용한 결과와 관계가 가장 적은 것은? | A. 자연교잡(natural cross-pollination)에 의해 순도가 높은 종자생산
B. 단위결과성이 높은 작물의 씨없는 과실생산
C. 자가불화합성의 기작을 이용하여 계통이나 개체들의 유연관계 분석
D. 잡종강세를 나타내는 일대잡종의 종자생산 | A |
3계(3원) 교잡을 나타낸 방법은? | 1 | (A × B) × C | AB × BC × CD | (A × B) × (C × D) | (A × B) × (C × D) × (E × F) | Agricultural Sciences | 0.6735 | 3계(3원) 교잡을 나타낸 방법은? | A. (A × B) × C
B. AB × BC × CD
C. (A × B) × (C × D)
D. (A × B) × (C × D) × (E × F) | A |
자기불화합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2 | 자기불화합성의 정도는 온도·습도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되기도 한다. | 배우자에 의한 불화합성은 코스모스, 해바라기, 사탕무에서 볼 수 있다. | 자기불화합성을 유전적으로 보면 배우자불화합성과 접합체불화합성의 두 가지 형이 있다. | 접합체에 의한 불화합성은 생식세포가 생성되는 식물체, 즉 아포체(芽胞體화)의 반응에 의해 불화합성이 결정되는 것이다. | Agricultural Sciences | 0.4624 | 자기불화합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자기불화합성의 정도는 온도·습도 등의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되기도 한다.
B. 배우자에 의한 불화합성은 코스모스, 해바라기, 사탕무에서 볼 수 있다.
C. 자기불화합성을 유전적으로 보면 배우자불화합성과 접합체불화합성의 두 가지 형이 있다.
D. 접합체에 의한 불화합성은 생식세포가 생성되는 식물체, 즉 아포체(芽胞體화)의 반응에 의해 불화합성이 결정되는 것이다. | B |
(A × B) × A 또는 (A × B) × B와 같이 F1을 양친 중 어느 한쪽 친과 교잡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3 | 3원교잡 | 복교잡 | 여교잡 | 다계교잡 | Agricultural Sciences | 0.7732 | (A × B) × A 또는 (A × B) × B와 같이 F1을 양친 중 어느 한쪽 친과 교잡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 A. 3원교잡
B. 복교잡
C. 여교잡
D. 다계교잡 | C |
순계선발법에서 가장 효율적인 순계선발 대상은? | 4 | F1 | 도입품종 | 육종조작이 많은 식물 | 덜 개량된 자식성 식물 | Agricultural Sciences | 0.449 | 순계선발법에서 가장 효율적인 순계선발 대상은? | A. F1
B. 도입품종
C. 육종조작이 많은 식물
D. 덜 개량된 자식성 식물 | D |
염색체의 배가 방법이 아닌 것은? | 2 | 절단법 | 춘화처리법 | 콜히친 처리법 | 아세나프텐 처리법 | Agricultural Sciences | 0.5532 | 염색체의 배가 방법이 아닌 것은? | A. 절단법
B. 춘화처리법
C. 콜히친 처리법
D. 아세나프텐 처리법 | B |
유전 인자의 연관 관계가 상인(coupling)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단, B, L은 우성유전자, b, l은 열성 유전자이다.) | 4 | BB, LL | bb, ll | Bl, bL | BL, bl | Agricultural Sciences | 0.45 | 유전 인자의 연관 관계가 상인(coupling)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단, B, L은 우성유전자, b, l은 열성 유전자이다.) | A. BB, LL
B. bb, ll
C. Bl, bL
D. BL, bl | D |
작물육종의 긍정적 성과로 볼 수 없는 것은? | 4 | 농작물 이용부위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어있으며 용도별로 가장 알맞은 품질을 가진 품종이 개발되었다. | 농작물 재배 및 생산의 아넌성을 저해하는 환경요인에 대한 내성 또는 저항성을 지닌 품종이 육성되었다. | 농경지 이용효율 증진과 합리적인 작부체계 확립이 가능하게 되었다. | 재래종 감소, 품종의 획일화로 유전적 취약성이 초래되었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667 | 작물육종의 긍정적 성과로 볼 수 없는 것은? | A. 농작물 이용부위의 품질이 크게 향상되어있으며 용도별로 가장 알맞은 품질을 가진 품종이 개발되었다.
B. 농작물 재배 및 생산의 아넌성을 저해하는 환경요인에 대한 내성 또는 저항성을 지닌 품종이 육성되었다.
C. 농경지 이용효율 증진과 합리적인 작부체계 확립이 가능하게 되었다.
D. 재래종 감소, 품종의 획일화로 유전적 취약성이 초래되었다. | D |
유전인자형이 AaBbCc 일 때, 몇 종류의 배우자를 만들 수 있는가? (단, 독립유전을 적용한다.) | 4 | 2가지 | 4가지 | 5가지 | 8가지 | Agricultural Sciences | 0.7471 | 유전인자형이 AaBbCc 일 때, 몇 종류의 배우자를 만들 수 있는가? (단, 독립유전을 적용한다.) | A. 2가지
B. 4가지
C. 5가지
D. 8가지 | D |
멘델의 유전법칙 중 분리의 법칙으로 옳은 것은? | 4 | 대립 유전자는 분리될 수 없다. | 분리된 인자는 재결합할 수 없다. | 독립 유전의 법칙과는 분리되어야 한다. | F2에서는 F1에 나타나지 않았던 형질이 분리되어 나타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558 | 멘델의 유전법칙 중 분리의 법칙으로 옳은 것은? | A. 대립 유전자는 분리될 수 없다.
B. 분리된 인자는 재결합할 수 없다.
C. 독립 유전의 법칙과는 분리되어야 한다.
D. F2에서는 F1에 나타나지 않았던 형질이 분리되어 나타난다. | D |
작물육종학과 관계없는 것은? | 4 | 작물의 유전변이의 탐구 | 작물의 유전변이의 선택과 고정 | 신품종의 증식과 보급 | 보급 품종의 재배법 확립 | Agricultural Sciences | 0.7356 | 작물육종학과 관계없는 것은? | A. 작물의 유전변이의 탐구
B. 작물의 유전변이의 선택과 고정
C. 신품종의 증식과 보급
D. 보급 품종의 재배법 확립 | D |
재배 환경이 과실의 저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 2 | 북부지방에서 생산된 과실은 남부지방에서 생산된 과실보다 저장력이 강하다. | 습지에서 생산된 과실은 건조지에서 생산된 과실보다 저장력이 강하다. | 질소질 비료를 많이 준 과실은 적게 준 과실보다 저장력이 떨어진다. | 만생종의 경우 늦게 수확한 품질도 좋고 착색도 두드러지게 향상된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792 | 재배 환경이 과실의 저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틀린 것은? | A. 북부지방에서 생산된 과실은 남부지방에서 생산된 과실보다 저장력이 강하다.
B. 습지에서 생산된 과실은 건조지에서 생산된 과실보다 저장력이 강하다.
C. 질소질 비료를 많이 준 과실은 적게 준 과실보다 저장력이 떨어진다.
D. 만생종의 경우 늦게 수확한 품질도 좋고 착색도 두드러지게 향상된다. | B |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3 | 모래흙은 양분의 보유력이 약하다. | 질흙은 물빠짐이 나쁘고, 토양 공기가 부족하다. | 경작지의 토성은 대체로 모래흙과 질흙이 적당하다. | 토성이란 토양입자를 크기별로 나누고, 이들의 함유비율에 따라 토양을 분류한 것이다. | Agricultural Sciences | 0.7805 | 토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모래흙은 양분의 보유력이 약하다.
B. 질흙은 물빠짐이 나쁘고, 토양 공기가 부족하다.
C. 경작지의 토성은 대체로 모래흙과 질흙이 적당하다.
D. 토성이란 토양입자를 크기별로 나누고, 이들의 함유비율에 따라 토양을 분류한 것이다. | C |
곡물 저장고의 온도와 습도의 관리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4 | 온도는 높게, 습도는 낮게 | 온도는 낮게, 습도는 높게 | 온도와 습도를 높게 | 온도와 습도를 낮게 | Agricultural Sciences | 0.7778 | 곡물 저장고의 온도와 습도의 관리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A. 온도는 높게, 습도는 낮게
B. 온도는 낮게, 습도는 높게
C. 온도와 습도를 높게
D. 온도와 습도를 낮게 | D |
핵과(核果)류 과수로만 나열된 것은? | 1 | 복숭아, 자두 | 사과, 배 | 포도, 복숭아 | 자두, 사과 | Agricultural Sciences | 0.9268 | 핵과(核果)류 과수로만 나열된 것은? | A. 복숭아, 자두
B. 사과, 배
C. 포도, 복숭아
D. 자두, 사과 | A |
벼의 수량 구성 요소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 1 | 출수 비율 | 한 이삭당 벼알수 | 벼알무게 | 등숙비율 | Agricultural Sciences | 0.6395 | 벼의 수량 구성 요소와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 A. 출수 비율
B. 한 이삭당 벼알수
C. 벼알무게
D. 등숙비율 | A |
연탄가스나 노화된 꽃 등에서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등에 의해 발생되는 카네이션의 생리적 장해는? | 2 | 언청이 | 꽃잎말이 | 잎말이 | 동공화 | Agricultural Sciences | 0.6667 | 연탄가스나 노화된 꽃 등에서 발생하는 에틸렌가스 등에 의해 발생되는 카네이션의 생리적 장해는? | A. 언청이
B. 꽃잎말이
C. 잎말이
D. 동공화 | B |
작물의 기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1 | 잡초인 강아지풀은 돌콩의 야생종이다. | 인간의 관리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순화·진화하여 작물이 발달하였다. |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작물들은 야생식물로부터 순화·발달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 인류가 정주생활을 시작하고 식물의 생활환에 개입하여 그 일부를 관리하면서 시작되었다. | Agricultural Sciences | 0.8795 | 작물의 기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A. 잡초인 강아지풀은 돌콩의 야생종이다.
B. 인간의 관리에 적응하는 방향으로 순화·진화하여 작물이 발달하였다.
C.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작물들은 야생식물로부터 순화·발달된 것으로 추정되어진다.
D. 인류가 정주생활을 시작하고 식물의 생활환에 개입하여 그 일부를 관리하면서 시작되었다. | A |
본 논의 면적이 100a인 농가에서 기계이앙 치묘육묘를 하려고 할 때 종자와 육묘상자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준비하여야 하는가? | 3 | 종자 15~20kg, 육묘상자 100~120개 | 종자 25~30kg, 육묘상자 150~180개 | 종자 40~45kg, 육묘상자 200~220개 | 종자 60~70kg, 육묘상자 350~400개 | Agricultural Sciences | 0.7024 | 본 논의 면적이 100a인 농가에서 기계이앙 치묘육묘를 하려고 할 때 종자와 육묘상자는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준비하여야 하는가? | A. 종자 15~20kg, 육묘상자 100~120개
B. 종자 25~30kg, 육묘상자 150~180개
C. 종자 40~45kg, 육묘상자 200~220개
D. 종자 60~70kg, 육묘상자 350~400개 | C |
재배 과정에서 노동력을 절감하여 인건비를 낮춤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아닌 것은? | 3 | 자동화 시설 | 농기계의 이용 | 제초제의 사용 금지 | 재배경영 방법의 개선 | Agricultural Sciences | 0.8795 | 재배 과정에서 노동력을 절감하여 인건비를 낮춤으로써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아닌 것은? | A. 자동화 시설
B. 농기계의 이용
C. 제초제의 사용 금지
D. 재배경영 방법의 개선 | C |
벼의 기계 모내기에 가장 적합한 상토의 pH 범위는? | 2 | 1.0~3.0 | 4.5~5.5 | 7.0~9.0 | 10.0~11.0 | Agricultural Sciences | 0.8588 | 벼의 기계 모내기에 가장 적합한 상토의 pH 범위는? | A. 1.0~3.0
B. 4.5~5.5
C. 7.0~9.0
D. 10.0~11.0 | B |
비가 적게 내리는 건조 지대에서의 재배작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1 | 고구마 | 감자 | 콩 | 보리 | Agricultural Sciences | 0.6867 | 비가 적게 내리는 건조 지대에서의 재배작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A. 고구마
B. 감자
C. 콩
D. 보리 | A |
식물분류학상 무, 갓 등이 속하는 과(科)는? | 2 | 국화과 | 배추과 | 백합과 | 생강과 | Agricultural Sciences | 0.7683 | 식물분류학상 무, 갓 등이 속하는 과(科)는? | A. 국화과
B. 배추과
C. 백합과
D. 생강과 | B |
사과품종에 있어 수분수 품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4 | 후지 | 쓰가루 | 화홍 | 조나골드 | Agricultural Sciences | 0.7229 | 사과품종에 있어 수분수 품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 A. 후지
B. 쓰가루
C. 화홍
D. 조나골드 | D |
파종 후 복토를 해야 발아가 잘 되는 종자는? | 1 | 파 | 상추 | 우엉 | 피튜니아 | Agricultural Sciences | 0.6897 | 파종 후 복토를 해야 발아가 잘 되는 종자는? | A. 파
B. 상추
C. 우엉
D. 피튜니아 | A |
농약을 100배로 희석하여 단위면적당 200L를 살포하고자 한다. 농약 소요량은 얼마인가? | 2 | 1000mL | 2000mL | 3000mL | 4000mL | Agricultural Sciences | 0.8824 | 농약을 100배로 희석하여 단위면적당 200L를 살포하고자 한다. 농약 소요량은 얼마인가? | A. 1000mL
B. 2000mL
C. 3000mL
D. 4000mL | B |
만생종 벼의 꽃눈 분화 조건은? | 3 | 고온성 | 저온성 | 단일성 | 장일성 | Agricultural Sciences | 0.5172 | 만생종 벼의 꽃눈 분화 조건은? | A. 고온성
B. 저온성
C. 단일성
D. 장일성 | C |
좋은 품종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2 | 기호성이 큰 품종 | 연차변이가 큰 품종 | 해당 지방의 장려품종 | 재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품종 | Agricultural Sciences | 0.7927 | 좋은 품종의 선택시 고려해야 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A. 기호성이 큰 품종
B. 연차변이가 큰 품종
C. 해당 지방의 장려품종
D. 재해에 대한 저항성이 높은 품종 | B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