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id":"Kedu_history_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시대 모자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망건은 탕건으로 묶은 머리 위에 쓰는 실내모이다.", "갓은 관직에 오른 양반만이 쓸 수 있었던 관모이다.", "패랭이는 말총으로 얽어 만든 서민용 작업모이다.", "남바위는 귀, 이마, 목덜미 부분 등을 가리는 방한모이다." ], "answer":"남바위는 귀, 이마, 목덜미 부분 등을 가리는 방한모이다." }, { "id":"Kedu_history_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시대 한양 도성(都城)의 사방에 세운 성문을 흔히 사대문(四大門)이라 하는데, 그명칭과 방향이 옳은 것은?", "choices":[ "흥인지문 숙정문 숭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 흥인지문 돈의문",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 "숭례문 흥인지문 돈의문 숙정문" ], "answer":"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정문" }, { "id":"Kedu_history_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의 고대국가와 제천의식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choices":[ "동예 - 영고", "부여 - 무천", "백제 - 소도", "고구려 - 동맹" ], "answer":"고구려 - 동맹" }, { "id":"Kedu_history_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시대의 4대 명절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choices":[ "단오(端午)", "칠석(七夕)", "한식(寒食)", "추석(秋夕)" ], "answer":"칠석(七夕)" }, { "id":"Kedu_history_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려시대 문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판소리계 소설의 등장", "패관 문학과 가전체 문학의 등장", "여성의 예술성이 가미된 수필 문학의 발달", "평민 작가의 대두로 인한 시조 문학의 융성" ], "answer":"패관 문학과 가전체 문학의 등장" }, { "id":"Kedu_history_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어떤 신문에 관한 설명인가? 1904년 창간된 대한제국 시기의 민족지. ‘국난을 타개하고 배일사상을 고취시켜보존한다’는 목적 아래 고종의 보조와 민족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창간되었다.", "choices":[ "한성순보", "독립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 "answer":"대한매일신보" }, { "id":"Kedu_history_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근대 초기에 설립된 교육기관이 아닌 것은?", "choices":[ "사부학당", "육영공원", "원산학사", "배재학당" ], "answer":"사부학당" }, { "id":"Kedu_history_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현전하는 고대가요 중 주술성이 강하고 집단적으로 불려진 노래는?", "choices":[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황조가(黃鳥歌)", "구지가(龜旨歌)", "정읍사(井邑詞)" ], "answer":"구지가(龜旨歌)" }, { "id":"Kedu_history_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외국인 학생과 조선의 궁궐을 견학하였다. 궁과 정문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창덕궁 - 돈화문(敦化門)", "창경궁 - 홍례문(弘禮門)", "덕수궁 - 대한문(大漢門)", "경복궁 - 광화문(光化門)" ], "answer":"창경궁 - 홍례문(弘禮門)" }, { "id":"Kedu_history_1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왕조실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임진왜란 이전에는 춘추관, 묘향산, 태백산, 오대산, 마니산의 사고(史庫)에 보관하였다.", "태종 13년 《태조실록》의 편찬을 시작으로 고종 2년 《철종실록》까지 완성되었다.", "《사초(史草)》를 기준으로 각사(各司)의《등록(謄錄)》이나《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등을자료로 편찬하였다." ], "answer":"임진왜란 이전에는 춘추관, 묘향산, 태백산, 오대산, 마니산의 사고(史庫)에 보관하였다." }, { "id":"Kedu_history_1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시대 ‘의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정조 시대와 고종 시대의 의궤는 체제와 구성에서 서로 다른 점이 많다.", "열람자나 보관처에 따라 어람용(御覽用)과 분상용(分上用)으로 구분되었다.", "정조 시대의 <원행을묘정리의궤>와 <화성성역의궤>는 활자본으로 만들어졌다.", "행사의" ], "answer":"정조 시대와 고종 시대의 의궤는 체제와 구성에서 서로 다른 점이 많다." }, { "id":"Kedu_history_1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경주역사지구’의 각 지역과 문화적 특징의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남산지구 - 신라의 궁궐터", "황룡사지구 - 신라 불교의 중심", "명활산성 - 고대 신라의 방위 시설", "대릉원지구 - 신라 초기 왕들의 무덤" ], "answer":"남산지구 - 신라의 궁궐터" }, { "id":"Kedu_history_1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안동의 장씨 부인이 쓴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글 요리책은?", "choices":[ "규합총서", "산가요록", "수운잡방", "음식디미방" ], "answer":"음식디미방" }, { "id":"Kedu_history_1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두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농촌에서 상호부조를 목적으로 형성된 조직이었다.", "농번기에 공동 양육과 교육을 행하였다.", "모내기, 김매기, 타작 등을 수행했다.", "노동을 끝낸 후에는 흔히 함께 음식을 먹으며 놀이를 즐겼다." ], "answer":"농번기에 공동 양육과 교육을 행하였다." }, { "id":"Kedu_history_1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경복궁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조선시대의 정궁(正宮)으로 북궐로도 불리었다.", "병자호란으로 전소되었으나 흥선대원군에 의해 중건되었다.", "궁 내부에 왕과 신하들이 모여 잔치를 베풀던 영회루가 있다.", "궁 앞면에는 광화문, 동쪽에 영추문, 서쪽에 건춘문이 있다." ], "answer":"조선시대의 정궁(正宮)으로 북궐로도 불리었다." }, { "id":"Kedu_history_1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이 아닌 것은?", "choices":[ "동의보감", "기미독립선언문", "새마을운동 기록물", "5ㆍ18 민주화운동 기록물" ], "answer":"기미독립선언문" }, { "id":"Kedu_history_1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3ㆍ1운동 이후 1920년대 일본의 조선통치 정책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무단통치로 조선을 지배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문화통치를 시행했다.", "언론 및 출판의 자유를 일부 허용하여 신문, 잡지의 발행을 허가하였다.", "헌병경찰제가 보통경찰제로 전환되었다.", "산미증식계획으로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어 조선의 식량사정이 호전되었다." ], "answer":"산미증식계획으로 다양한 작물이 재배되어 조선의 식량사정이 호전되었다." }, { "id":"Kedu_history_1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대한제국의 황제인 고종이 제천의례를 봉행하기 위해 만든 제단은?", "choices":[ "환구단", "참성단", "천제단", "사직단" ], "answer":"환구단" }, { "id":"Kedu_history_1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선언들을 연도별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n ㄱ. 7ㆍ4 남북공동성명\nㄴ. 6ㆍ15 남북공동성명\nㄷ.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nㄹ.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choices":[ "ㄱ - ㄷ - ㄹ - ㄴ", "ㄱ - ㄹ - ㄷ - ㄴ", "ㄷ - ㄱ - ㄴ - ㄹ", "ㄷ - ㄹ - ㄱ - ㄴ" ], "answer":"ㄱ - ㄷ - ㄹ - ㄴ" }, { "id":"Kedu_history_2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 근대문학 작품으로서는 최초로 문화재청 등록문화재로 지정된 서적의 제목은?", "choices":[ "무정", "진달래꽃", "님의 침묵", "오랑캐꽃" ], "answer":"진달래꽃" }, { "id":"Kedu_history_2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종묘(宗廟)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봉안한 사당이다.", "처음에 태묘(太廟)라고 했으며, 태묘의 서쪽에 별묘인 정전(正殿)을 지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7세기 초에 다시 지었다.", "199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answer":"처음에 태묘(太廟)라고 했으며, 태묘의 서쪽에 별묘인 정전(正殿)을 지었다." }, { "id":"Kedu_history_2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시대 서원(書院)을 구성하는 건축물이 아닌 것은?", "choices":[ "사당(祠堂)", "강당(講堂)", "동재(東齋), 서재(西齋)", "규방(閨房)" ], "answer":"규방(閨房)" }, { "id":"Kedu_history_2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 아닌 것은?", "choices":[ "직지심체요절", "종묘제례 및 제례악", "줄다리기", "농악" ], "answer":"종묘제례 및 제례악" }, { "id":"Kedu_history_2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우리나라에서 있었던 일을 발생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n ㄱ. 금융실명제 실시 \n ㄴ. ‘개성공업지구건설운영에 관한 합의서’ 체결 ㄷ. G20 정상회담 개최 \n ㄹ. IMF에 구제금융 요청", "choices":[ "ㄱ - ㄷ - ㄹ - ㄴ", "ㄱ - ㄹ - ㄴ - ㄷ", "ㄷ - ㄱ - ㄴ - ㄹ", "ㄹ - ㄱ - ㄷ - ㄴ" ], "answer":"ㄱ - ㄹ - ㄴ - ㄷ" }, { "id":"Kedu_history_2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문화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무형문화재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이다.", "국가지정문화재는 문화재청장이 지정한다.", "우리나라의 보물 1호는 숭례문이다.", "불국사의 다보탑은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 "answer":"우리나라의 보물 1호는 숭례문이다." }, { "id":"Kedu_history_2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최초의 사액서원은?", "choices":[ "남계서원", "도동서원", "소수서원", "옥산서원" ], "answer":"소수서원" }, { "id":"Kedu_history_2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제작 연대가 가장 앞선 목판 인쇄물은?", "choices":[ "초조대장경", "고려대장경", "직지심체요절", "무구정광대다라니경" ], "answer":"무구정광대다라니경" }, { "id":"Kedu_history_2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의 중앙 통치 기구 중 ‘3사’에 해당하는 것은?", "choices":[ "성균관", "홍문관", "의금부", "한성부" ], "answer":"홍문관" }, { "id":"Kedu_history_2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의 활동을 한 인물이 저술한 책은? \n ○ 비밀결사 신민회에 참여하였다. \n ○ 무정부주의동방연맹에 참여하였다. \n ○ <황성신문>의 주필로 활동하였다.", "choices":[ "한국통사", "동국역사", "조선상고사", "조선상고사감" ], "answer":"조선상고사" }, { "id":"Kedu_history_3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신라시대 향가가 아닌 것은?", "choices":[ "혜성가", "청산별곡", "우적가", "찬기파랑가" ], "answer":"청산별곡" }, { "id":"Kedu_history_3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시대 평시조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4음보 3행시의 정형적 틀을 가진다.", "종장의 제4음보는 평서형 어미를 통해 여운을 준다.", "평시조를 노래로 부르는 방법에는 가곡창과 시조창이 있다.", "작가로는 윤선도, 김천택, 안민영 등이 있다." ], "answer":"종장의 제4음보는 평서형 어미를 통해 여운을 준다." }, { "id":"Kedu_history_3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려시대에 유입된 것은?", "choices":[ "고추", "고구마", "후추", "땅콩" ], "answer":"후추" }, { "id":"Kedu_history_3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종묘, 종묘제례, 종묘제례악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종묘에서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있는 건물은 정전과 영녕전이다.", "종묘제례는 현재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봉행하고 있다.", "종묘제례에 쓰이는 기악[樂], 노래[歌], 춤[舞]을 통틀어 종묘제례악이라고 한다.", "종묘는 2001년에 종묘제례, 종묘제례악과 함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answer":"종묘는 2001년에 종묘제례, 종묘제례악과 함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 { "id":"Kedu_history_3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차범석의 희곡 <산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시간적 배경은 6ㆍ25전쟁이다.", "공간적 배경은 지리산 산골마을이다.", "등장인물은 ‘곰치’와 그의 아내 ‘구포댁’이다.", "토속성이 짙은 리얼리즘 작품이다." ], "answer":"등장인물은 ‘곰치’와 그의 아내 ‘구포댁’이다." }, { "id":"Kedu_history_3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새마을운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1970년 지방장관회의에서 민간주도 운동으로 기획되었다.", "농촌을 대상으로 시작되었으나 이후에 도시까지 확산되었다.", "3대 정신은 근면ㆍ자조ㆍ협동이다.", "정신계발사업, 생산소득사업 등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것으로 확대되었다." ], "answer":"1970년 지방장관회의에서 민간주도 운동으로 기획되었다." }, { "id":"Kedu_history_3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의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의궤는 의식의 규범이라는 뜻이다.", "반차도는 의례의 행렬을 표현했다.", "유교의 가르침을 모아 놓은 경전이다.", "조선왕조 의궤는 2007년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answer":"유교의 가르침을 모아 놓은 경전이다." }, { "id":"Kedu_history_3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몽유도원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찬문(讚文)이 곁들여 있다.", "화선지에 그린 수묵화이다.", "세종 대에 안견이 그린 작품이다.", "안평대군이 꿈을 꾼 후 그 내용을 그리게 한 것이다." ], "answer":"화선지에 그린 수묵화이다." }, { "id":"Kedu_history_3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저서는? \n ○ 정약용이 저술한 형법서이다. \n ○ 조선시대 살인사건의 판례를 살필 수 있는 자료이다.", "choices":[ "≪과농소초≫", "≪임관정요≫", "≪흠흠신서≫", "≪목민심서≫" ], "answer":"≪흠흠신서≫" }, { "id":"Kedu_history_3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의 근대 교육기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배재학당은 최초의 사립 고등 교육기관이다.", "원산학사는 최초의 근대적 공립 교육기관이다.", "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교육 제도가 마련되었다.", "육영공원은 미국인 선교사가 설립한 사립 교육기관이다." ], "answer":"갑오개혁 이후 근대적 교육 제도가 마련되었다." }, { "id":"Kedu_history_4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왕조실록>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n ㄱ.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다. \nㄴ. 사초는 초초(初草)-중초(中草)-정초(正草)의 세 단계를 거쳐서 완성되었다.\nㄷ. 왕이 즉위하면 실록청을 설치하여 즉위한 왕의 실록을 편찬하기 시작하였다.\nㄹ. 조선시대 제1대 왕부터 25대 왕까지의 정치적 사실만을 기록한 책이다.", "choices":[ "ㄱ, ㄴ", "ㄷ, ㄹ", "ㄱ, ㄴ, ㄷ", "ㄴ, ㄷ, ㄹ" ], "answer":"ㄱ, ㄴ" }, { "id":"Kedu_history_4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업적의 연결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문익점 - 목화 종자 도입 및 보급", "최무선 - 화약 제조 및 다양한 화포 개발", "이제마 - 농사직설 편찬 및 이앙법 개발", "장영실 - 자격루, 앙부일구 등 과학기구 발명" ], "answer":"이제마 - 농사직설 편찬 및 이앙법 개발" }, { "id":"Kedu_history_4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에서 설명하는 조선시대 문인은? \n ○ 조선 금석학파의 성립에 기여한 문인이다. \n ○ 시서화에 모두 능해 문인의 기품이 서린 독특한 서체와 화풍을 완성했다. ○ 국보로 지정된 ‘세한도’의 작자이다.", "choices":[ "김정희", "김창흡", "서거정", "정도전" ], "answer":"김정희" }, { "id":"Kedu_history_4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의 근대 문인단체인 ‘구인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1960년대 한국 문단의 지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이상, 박태원, 이태준 등이 구성원으로 활동했다.", "카프와 더불어 계급주의 문학 운동을 주도했다.", "구성원들은 최초의 결성 이후 교체되는 일이 없이 해체될 때까지 그대로 유지되었다." ], "answer":"이상, 박태원, 이태준 등이 구성원으로 활동했다." }, { "id":"Kedu_history_4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시대 왕실의 혼례를 기록한 의궤는?", "choices":[ "태실의궤(胎室儀軌)",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보인소의궤(寶印所儀軌)",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answer":"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