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cK / Dataset /Culture /Korean Tradition /Tradition_Kedu.json
taeminlee's picture
init
8a95bfb
raw
history blame contribute delete
35.2 kB
[
{
"id":"Kedu_tradition_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세한삼우(歲寒三友)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choices":[
"소나무",
"대나무",
"매화",
"동백"
],
"answer":"동백"
},
{
"id":"Kedu_tradition_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통복식 중 여자만 입는 옷은?",
"choices":[
"잠방이",
"등거리",
"장옷",
"마고자"
],
"answer":"장옷"
},
{
"id":"Kedu_tradition_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통제례(祭禮)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아닌 것은?",
"choices":[
"강신(降神)",
"초헌(初獻)",
"초례(醮禮)",
"독축(讀祝)"
],
"answer":"초례(醮禮)"
},
{
"id":"Kedu_tradition_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의 전통 혼례 절차 중 납폐(納幣)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신랑 집과 신부 집에서 상대의 인물, 가문, 인품 등을 알아보는 절차",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함을 보내는 절차",
"신랑이 혼인날 혹은 그 전날 신부 집으로 행차하여 예식을 올리는 절차",
"신부가 친정을 떠나 신랑과 함께 시집으로 가는 절차"
],
"answer":"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함을 보내는 절차"
},
{
"id":"Kedu_tradition_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민요들 중 그 기능이 같은 것으로 묶인 것은?",
"choices":[
"노젓는소리 - 모심는소리 - 목도소리",
"성주풀이 - 고사반노래 - 베틀소리",
"회다지소리 - 대문놀이 - 남생아놀아라",
"걸궁노래 - 안택굿무가 - 논매는소리"
],
"answer":"노젓는소리 - 모심는소리 - 목도소리"
},
{
"id":"Kedu_tradition_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조상을 모시는 제사상차림의 일반적인 원칙에 어긋나는 것은?",
"choices":[
"반서갱동(飯西羹東)",
"어동육서(魚東肉西)",
"홍동백서(紅東白西)",
"서두동미(西頭東尾)"
],
"answer":"서두동미(西頭東尾)"
},
{
"id":"Kedu_tradition_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외국인들이 정월 대보름을 맞이하여 한국의 전통 풍습을 체험해 보려고 한다. 체험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오곡밥을 먹는다.",
"귀가 밝아지기를 바라며 귀밝이술을 마신다.",
"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쑥과 익모초로 만든 음식을 먹는다.",
"땅콩이나 호두, 밤과 같은 견과류를 깨물며 피부병이 없기를 바란다."
],
"answer":"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쑥과 익모초로 만든 음식을 먹는다."
},
{
"id":"Kedu_tradition_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설명에 적합한 한국 전통장례의 절차는? 시신을 목욕시키고 의복을 갈아입힌 후, 단단히 묶어 입관시킨다.",
"choices":[
"초혼",
"발상",
"습렴",
"성복"
],
"answer":"습렴"
},
{
"id":"Kedu_tradition_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향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으며 연(聯) 구분이 있다.",
"한자의 음(音)과 훈(訓)을 빌려 적는 향찰(鄕札)로 기록되었다.",
"주요 작품으로 <헌화가>, <제망매가>, <찬기파랑가> 등이 있다.",
"《삼국유사》에 14수,《균여전》에 11수가 수록되어 있다."
],
"answer":"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으며 연(聯) 구분이 있다."
},
{
"id":"Kedu_tradition_1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통 악기 중 취악기(吹樂器)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choices":[
"비파",
"나발",
"나각",
"태평소"
],
"answer":"비파"
},
{
"id":"Kedu_tradition_1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연희 중 가면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choices":[
"수영들놀음",
"송파산대놀이",
"고성오광대놀이",
"꼭두각시놀음"
],
"answer":"꼭두각시놀음"
},
{
"id":"Kedu_tradition_1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의 전통 식문화 중 반상차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반상기에는 주발, 대접, 보시기, 접시, 종지 등이 있다.",
"choices":[
"반상기에는 주발, 대접, 보시기, 접시, 종지 등이 있다.",
"어른에게 드리는 반상은 진짓상이라고 한다.",
"반상의 첩수에 국과 김치는 포함되지 않는다.",
"반상은 첩수에 따라 3첩반상부터 15첩반상까지 있다."
],
"answer":"반상은 첩수에 따라 3첩반상부터 15첩반상까지 있다."
},
{
"id":"Kedu_tradition_1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의 민속 중 집안 신의 위치에 관한 연결이 옳은 것은?",
"choices":[
"업신 - 우물",
"조왕신 - 부엌",
"성주신 - 장독대",
"터주신 - 곳간"
],
"answer":"조왕신 - 부엌"
},
{
"id":"Kedu_tradition_1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통 의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활옷 - 혼례에서 입던 남성용 예복이다.",
"창옷 - 치마 안에 입던 여성용 방한복이다.",
"속적삼 - 저고리 안에 받쳐 입는 홑옷이다.",
"도포 - 추위를 막기 위해 입던 여성용 외출복이다."
],
"answer":"속적삼 - 저고리 안에 받쳐 입는 홑옷이다."
},
{
"id":"Kedu_tradition_1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외국인 학생에게 씨름을 가르치고자 한다. 씨름의 각 기술과 세부적인 방법이 옳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choices":[
"발 기술 - 오금당기기",
"손 기술 - 앞무릎치기",
"허리 기술 - 들배지기",
"다리 기술 - 밭다리걸기"
],
"answer":"발 기술 - 오금당기기"
},
{
"id":"Kedu_tradition_1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하회별신굿탈놀이’에 등장하는 인물이 아닌 것은?",
"choices":[
"양반",
"부네",
"초랭이",
"말뚝이"
],
"answer":"말뚝이"
},
{
"id":"Kedu_tradition_1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동지(冬至)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홍석모의 <동국세시기>에서는 ‘아세(亞歲)’라고 한다.",
"양력 12월 22일로 태양력의 절기에서 비롯된 명절이다.",
"외양간과 변소 등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샘을 한다.",
"대문이나"
],
"answer":"외양간과 변소 등 온 집안에 등불을 켜 놓고 밤샘을 한다."
},
{
"id":"Kedu_tradition_1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십장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choices":[
"학",
"용",
"시내",
"대나무"
],
"answer":"용"
},
{
"id":"Kedu_tradition_1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사찰에서 금하는 오신채(五辛菜)가 아닌 것은?",
"choices":[
"파",
"부추",
"마늘",
"고추"
],
"answer":"고추"
},
{
"id":"Kedu_tradition_2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우리나라의 세시 풍속과 음식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choices":[
"삼짇날 - 화전",
"단오 - 귀밝이술",
"정월 대보름 - 오곡밥",
"동지 - 팥죽"
],
"answer":"단오 - 귀밝이술"
},
{
"id":"Kedu_tradition_2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가사가 포함된 가곡은? \n 가사 : \n 먼 고향 초동 친구 두고 온 하늘가 \n 그리워 마디마디 이끼 되어 맺혔네",
"choices":[
"가고파",
"고향의 봄",
"희망의 나라로",
"비목"
],
"answer":"비목"
},
{
"id":"Kedu_tradition_2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의 독특한 주택문화인 온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고려시대에 몽고가 침략했을 때 처음 유입되었다.",
"아궁이에 불을 때면 화기(火氣)가 방 밑을 지나 방바닥 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장치이다.",
"전통 온돌은 아궁이, 구들, 굴뚝 등을 기본구조로 한다.",
"한국의 주택은 대부분 온돌식 난방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
"answer":"고려시대에 몽고가 침략했을 때 처음 유입되었다."
},
{
"id":"Kedu_tradition_2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국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는 전설인 ‘광포전설’이 아닌 것은?",
"choices":[
"아기장수 전설",
"장자못 전설",
"설문대할망 전설",
"오뉘힘내기전설"
],
"answer":"설문대할망 전설"
},
{
"id":"Kedu_tradition_2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무속의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제주도의 ‘심방’은 여자 무당을 특별히 구분하여 지칭하는 용어이다.",
"신내림에서 허주굿은 무속의 큰 신을 몸에 받아들이는 의식이다.",
"하회탈놀이는 마을 제의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공연되었다.",
"동해안별신굿은 세습무가 행하며 풍어제, 골매기당제 등으로 불린다."
],
"answer":"동해안별신굿은 세습무가 행하며 풍어제, 골매기당제 등으로 불린다."
},
{
"id":"Kedu_tradition_2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판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n ㄱ. 진양조에서 휘모리까지 여러 장단의 효과를 두루 활용했다.\n ㄴ. ‘아니리’는 창이 아니라 말하듯이 연행하는 것이다.\n ㄷ. ‘발림’은 작중 인물의 행위를 몸짓으로 나타내는 것이다.\n ㄹ. 신재효에 의해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토별가>, <적벽가>의다섯 바탕으로 정리되었다.",
"choices":[
"ㄱ",
"ㄱ, ㄴ",
"ㄱ, ㄴ, ㄷ",
"ㄱ, ㄴ, ㄷ, ㄹ"
],
"answer":"ㄱ, ㄴ, ㄷ"
},
{
"id":"Kedu_tradition_2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군례악(軍禮樂)인 대취타에서 연주되는 악기들로 옳게 나열된 것은?",
"choices":[
"대금, 당피리, 해금, 어",
"대금, 소라, 편종, 절고",
"태평소, 나발, 장구, 징",
"태평소, 아쟁, 편경, 축"
],
"answer":"태평소, 나발, 장구, 징"
},
{
"id":"Kedu_tradition_2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통 의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마고자: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이다.",
"장옷: 여인들이 외출할 때 얼굴을 가리기 위하여 쓰는 옷이다.",
"동정: 저고리나 두루마기의 깃 위쪽에 다는 좁고 긴 헝겊이다.",
"당의: 여인들이 외출할 때 덧입는 옷으로 저고리보다 조금 짧게 입는다."
],
"answer":"당의: 여인들이 외출할 때 덧입는 옷으로 저고리보다 조금 짧게 입는다."
},
{
"id":"Kedu_tradition_2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중 ‘처용’과 관련 없는 것은?",
"choices":[
"서울 밝은 달에 밤늦게 노닐다가, 들어와 자리 보니 다리가 넷일러라.",
"이로써 늘 인생에 말씀 안 하시어도, 삼재와 팔난이 단번에 없어지도다.",
"임금은 아비요, 신하는 사랑하는 어미시라, 백성을 어린 아이라 여기시면 백성이그은혜를 알리.",
"헌강왕이 서울로 돌아와 영취산 동쪽에 절을 지어 망해사라 했는데, 이는 용을위해세운 것이었다."
],
"answer":"임금은 아비요, 신하는 사랑하는 어미시라, 백성을 어린 아이라 여기시면 백성이그은혜를 알리."
},
{
"id":"Kedu_tradition_2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민속놀이인 강강술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전라도 서남해안에 전승되는 민속놀이이다.",
"선창과 후렴이 반복되는 노래를 부녀자들이 불렀다.",
"손을 잡고 추는 집단무용으로 원무(圓舞)를 기본으로 한다.",
"임진왜란 때 권율과 관련된 기원설이 있다."
],
"answer":"임진왜란 때 권율과 관련된 기원설이 있다."
},
{
"id":"Kedu_tradition_3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인의 식생활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맥주는 해방 이후 미군정이 설립한 맥주 공장을 통해 처음 공급되었다.",
"국산 인스턴트 라면은 미국으로부터 제공된 싼값의 밀을 이용하여 1963년에처음출시되었다.",
"1960년대 주정과 소주 제조에 백미 사용을 금지한 것은 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위함이었다.",
"혼분식장려운동이 자장면의 대중화에 일조하였다."
],
"answer":"맥주는 해방 이후 미군정이 설립한 맥주 공장을 통해 처음 공급되었다."
},
{
"id":"Kedu_tradition_3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절기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choices":[
"우수 - 경칩 - 백로 - 처서",
"입춘 - 청명 - 망종 - 곡우",
"백로 - 추분 - 한로 - 상강",
"청명 - 우수 - 소한 - 동지"
],
"answer":"백로 - 추분 - 한로 - 상강"
},
{
"id":"Kedu_tradition_3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통혼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연길: 신랑의 집에서 신부의 집으로 택일단자(擇日單子)를 보내는 것",
"초행: 신랑이 혼인하기 위하여 신부의 집에 가는 것",
"동상례: 혼례식이 끝나고 신부의 친척 등이 신랑을 짓궂게 다루는 것",
"신행: 혼례 후 신부가 신랑을 따라 시댁으로 가는 것"
],
"answer":"연길: 신랑의 집에서 신부의 집으로 택일단자(擇日單子)를 보내는 것"
},
{
"id":"Kedu_tradition_3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모두 관련되는 민속놀이는? \n ○ 공민왕의 소야천 나루 건너기와 관련된 전설이 있다. ○ 여성들의 놀이이다.",
"choices":[
"놋다리밟기",
"쇠머리대기",
"강강술래",
"용마놀이"
],
"answer":"쇠머리대기"
},
{
"id":"Kedu_tradition_3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음양오행의 오행-오방-오색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choices":[
"화(火) - 남(南) - 백(白)",
"수(水) - 북(北) - 흑(黑)",
"목(木) - 서(西) - 청(靑)",
"금(金) - 동(東) - 황(黃)"
],
"answer":"화(火) - 남(南) - 백(白)"
},
{
"id":"Kedu_tradition_3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의 가사를 포함하고 있는 가곡은? \n가곡 : \n 새파란 하늘 저 멀리 구름은 두둥실 떠나고 \n 비바람 모진 된서리 지나간 자욱마다 맘 아파도 알알이 맺힌 고운 진주알 아롱아롱 더욱 빛나네",
"choices":[
"<비목>",
"<옛날은 가고 없어도>",
"<꽃구름 속에>",
"<내 맘의 강물>"
],
"answer":"<비목>"
},
{
"id":"Kedu_tradition_3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상례(喪禮)에 따라 지내는 제사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n ㄱ. 졸곡제 ㄴ. 삼우제 ㄷ. 성복제 ㄹ. 반혼제",
"choices":[
"ㄱ - ㄴ - ㄷ - ㄹ",
"ㄴ - ㄱ - ㄹ - ㄷ",
"ㄷ - ㄹ - ㄴ - ㄱ",
"ㄹ - ㄷ - ㄱ - ㄴ"
],
"answer":"ㄷ - ㄹ - ㄴ - ㄱ"
},
{
"id":"Kedu_tradition_3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설명이 가리키는 것은? \n 다락처럼 높게 만들어 지면의 습기를 피하고 통풍이 잘 되도록 한 마루이다. 보통사랑채의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choices":[
"누마루",
"쪽마루",
"툇마루",
"대청마루"
],
"answer":"누마루"
},
{
"id":"Kedu_tradition_3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민간신앙에서 집안에 모시는 신[家神]을 모두 고른 것은? \n ㄱ. 성주 ㄴ. 장승 ㄷ. 조왕 ㄹ. 당신",
"choices":[
"ㄱ, ㄴ",
"ㄱ, ㄷ",
"ㄴ, ㄹ",
"ㄷ, ㄹ"
],
"answer":"ㄱ, ㄷ"
},
{
"id":"Kedu_tradition_3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꼭두각시놀음’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고정된 대본이 고려시대부터 남사당패에 의해 전승되었다.",
"2005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대잡이는 반주를 담당하는 악사를 가리킨다.",
"여인들을 희롱하는 승려를 등장시켜 파계승을 풍자한다."
],
"answer":"여인들을 희롱하는 승려를 등장시켜 파계승을 풍자한다."
},
{
"id":"Kedu_tradition_4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중 죽음과 관련이 없는 것은?",
"choices":[
"부의(賻儀)",
"근조(謹弔)",
"추모(追慕)",
"하례(賀禮)"
],
"answer":"하례(賀禮)"
},
{
"id":"Kedu_tradition_4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판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판소리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순으로 빨라진다.",
"판소리 창자(唱者)가 본 공연에 앞서 목을 풀기 위해 부르는 노래를 잡가라고 한다.",
"판소리 공연에서 창자는 창과 아니리를, 고수(鼓手)는 발림과 추임새를 한다.",
"18세기 유진한은 판소리 12마당에 <콩쥐팥쥐>를 포함하였다."
],
"answer":"판소리 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휘모리 순으로 빨라진다."
},
{
"id":"Kedu_tradition_4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통 통과의례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아이를 낳으면 왼새끼로 인줄을 쳐서 외부인의 출입을 금했다.",
"조선시대 양반가의 성인 의례를 진새례라고 한다.",
"혼례를 올리기 위해 신랑이 신부 집에 가는 것을 초행이라고 한다.",
"명절에 지내는 제사를 차례라고 한다."
],
"answer":"조선시대 양반가의 성인 의례를 진새례라고 한다."
},
{
"id":"Kedu_tradition_4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흘림기둥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흘림기둥은 고려시대부터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흘림기둥은 기둥 위아래의 지름을 달리 하는 것을 말한다.",
"모양에 따라서 배흘림기둥과 민흘림기둥으로 나뉜다.",
"현존하는 건물 중 부석사 무량수전, 수덕사 대웅전, 강릉 객사문 등에서 나타난다."
],
"answer":"흘림기둥은 고려시대부터 그 사례를 볼 수 있다."
},
{
"id":"Kedu_tradition_4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영산회상(靈山會相)에서 연주되는 음악을 모두 고른 것은? \n ㄱ. 가락덜이 ㄴ. 대취타 ㄷ. 산조 ㄹ. 염불도드리",
"choices":[
"ㄱ, ㄴ",
"ㄱ, ㄹ",
"ㄴ, ㄷ",
"ㄴ, ㄹ"
],
"answer":"ㄱ, ㄹ"
},
{
"id":"Kedu_tradition_4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금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인줄이라고도 한다.",
"악귀를 쫓는 기능을 한다.",
"장, 술 등을 담글 때 친다.",
"한반도에서만 나타나는 풍습이다."
],
"answer":"한반도에서만 나타나는 풍습이다."
},
{
"id":"Kedu_tradition_4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산대놀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중국 사신을 영접할 때 공연되기도 하였다.",
"해서탈춤과 유사하지만 노장과장이 빠져 있다.",
"서울 및 인근의 경기도에서 전승되던 가면극이다.",
"시간의 제한이 없어 새벽까지 이어지기도 하였다."
],
"answer":"해서탈춤과 유사하지만 노장과장이 빠져 있다."
},
{
"id":"Kedu_tradition_4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전통 음악 시나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무대화된 기악합주곡이다.",
"무속음악에 뿌리를 두었다.",
"정악 혹은 당악으로 분류된다.",
"심방곡 혹은 신방곡이라 부른다."
],
"answer":"정악 혹은 당악으로 분류된다."
},
{
"id":"Kedu_tradition_4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김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딤채, 짐채로도 불렸다.",
"채소류를 주재료로 한다.",
"신라시대부터 고춧가루를 양념으로 넣었다.",
"고려시대 문헌인 ≪동국이상국집≫에 관련 기록이 있다."
],
"answer":"신라시대부터 고춧가루를 양념으로 넣었다."
},
{
"id":"Kedu_tradition_4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창극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창극은 해방 이후에 사라졌다.",
"창극의 주요 작품으로는 <장한몽>이 있다.",
"창극은 일본의 근대극을 이어받은 대중 연극이다.",
"창극은 여러 명의 창자가 배역을 분담하여 공연한다."
],
"answer":"창극은 여러 명의 창자가 배역을 분담하여 공연한다."
},
{
"id":"Kedu_tradition_5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민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n ㄱ. 기능요는 노동요, 의식요, 유희요로 나눌 수 있다. \nㄴ. 선후창을 할 때 가사를 선택할 수 있는 권리는 후창자에게만 있다. \nㄷ. 대표적인 유희요로는 <지신밟기요>를 들 수 있다. \nㄹ. <상여메기노래>는 노동요인 동시에 의식요이다.",
"choices":[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
"answer":"ㄱ, ㄹ"
},
{
"id":"Kedu_tradition_5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태음력 ‘윤달(閏月)’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평년보다 한 달 더 보태진 달이다.",
"3년에 한 차례 또는 5년에 두 차례 등으로 주기가 일정하지 않다.",
"묘지 이장이나 이사 등을 하기에 좋은 달로 인식되어 왔다.",
"대표적인 풍속으로 금줄치기와 팥죽 쑤기가 있다."
],
"answer":"대표적인 풍속으로 금줄치기와 팥죽 쑤기가 있다."
},
{
"id":"Kedu_tradition_52",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가면극 중 대사가 없이 등장인물의 행위로만 진행되는 묵극(默劇)은?",
"choices":[
"봉산탈춤",
"고성오광대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
"강릉관노가면극"
],
"answer":"강릉관노가면극"
},
{
"id":"Kedu_tradition_53",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가곡창(歌曲唱)과 시조창(時調唱)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가곡창은 5장, 시조창은 3장 형식으로 부른다.",
"시조창과 가곡창 모두 경제(京制)와 향제(鄕制)가 있다.",
"시조창의 악곡이 가곡창의 악곡보다 다양하다.",
"시조창이 가곡창보다 오래된 가창방식이다."
],
"answer":"가곡창은 5장, 시조창은 3장 형식으로 부른다."
},
{
"id":"Kedu_tradition_54",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민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민화에서 포도나 석류는 다산을 의미한다.",
"‘문자화’는 민화 장르의 하나다.",
"‘까치호랑이’ 그림에서 호랑이는 백성을 상징한다.",
"‘책거리’ 그림은 책장, 책, 문방구 등을 그린 것이다."
],
"answer":"‘까치호랑이’ 그림에서 호랑이는 백성을 상징한다."
},
{
"id":"Kedu_tradition_55",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 전통 혼례 절차 중 신부가 신랑을 따라 시집으로 가서 처음 시부모님을뵙고인사를 드리는 절차는?",
"choices":[
"의혼",
"납폐",
"교배례",
"현구고례"
],
"answer":"현구고례"
},
{
"id":"Kedu_tradition_56",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한국의 전통 복식 중 상의와 하의를 따로 구성하여 연결시킨 의복으로 무관의공복으로 주로 입었던 것은?",
"choices":[
"철릭",
"장옷",
"배자",
"활옷"
],
"answer":"철릭"
},
{
"id":"Kedu_tradition_57",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윷놀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네 쪽으로 된 윷을 던져 나온 결과에 따라 윷판에 말을 쓰는 놀이이다.",
"윷판에는 크고 작은 동그라미 등으로 표시한 29개의 밭이 있다.",
"상대편 말을 잡거나 지름길로 가는 등 여러 수가 있어 말을 쓰는 전략이 중요하다.",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말, 모는 코끼리로 크기와 걸음 수가 비례한다."
],
"answer":"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말, 모는 코끼리로 크기와 걸음 수가 비례한다."
},
{
"id":"Kedu_tradition_58",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제주도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choices":[
"설문대 할망은 치맛자락에 흙을 퍼 담아 와 한라산과 제주도를 만들었다.",
"농경신은 상세경, 중세경, 하세경 3명이 있는데 그 중에 자청비는 상세경이다.",
"삼성신화는 제주에 처음 나라를 세운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에 대한 이야기이다.",
"천지왕은 두 아들인 대별왕과 소별왕으로 하여금 이승과 저승을 나누어 다스리게한다."
],
"answer":"농경신은 상세경, 중세경, 하세경 3명이 있는데 그 중에 자청비는 상세경이다."
},
{
"id":"Kedu_tradition_59",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단원 김홍도의 작품이 아닌 것은?",
"choices":[
"<총석정(叢石亭)>",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도담삼봉(島潭三峯)>",
"<서당(書堂)>"
],
"answer":"<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
{
"id":"Kedu_tradition_60",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무당의 전통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choices":[
"예언(豫言)",
"오락(娛樂)",
"치병(治病)",
"사법(司法)"
],
"answer":"사법(司法)"
},
{
"id":"Kedu_tradition_61",
"paragraph":"",
"question":"다음은 한국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문제이다.\n판소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choices":[
"진양조는 가장 느린 장단으로 <춘향가> 중 ‘옥중가’에서 확인된다.",
"동편제는 섬진강 동쪽에서 전승되었으며 장단이 느리고 발림이 풍부하다.",
"판소리 공연에서 고수는 발림과 추임새를 한다.",
"창자가 손에 부채를 들고 작중 인물을 몸짓으로 흉내 내는 것을 ‘아니리’라고 한다."
],
"answer":"진양조는 가장 느린 장단으로 <춘향가> 중 ‘옥중가’에서 확인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