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id":"PSE_history_13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자료의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가) 산천을 중요시하여 산과 내마다 구분이 있어 함부로 들어가지 않으며, 이를 어기면 우마로 배상하였다. \n(나)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다.", |
|
"choices":[ |
|
"(가)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지냈다.", |
|
"(나)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속이 있었다.", |
|
"(가), (나) -왕권이 강화된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였다.", |
|
"(가), (나) -대가들이 제가 회의라는 부족장 회의를 운영하였다." |
|
], |
|
"answer":"(나)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속이 있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영조 때의 역사적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속대전을 편찬하여 법전체계를 정비하였다.", |
|
"군역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
|
"산림(山林)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그들의 본거지인 서원을", |
|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
|
], |
|
"answer":"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
|
}, |
|
|
|
{ |
|
"id":"PSE_history_13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여러 단체와 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n 1907년 설립된 신민회 회원들은 1909년 말 이후 일본의 한국 병합이 목전에 있다고 보고, 국외로 나가 독립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이에 따라 신민회 회원들은 1910년 초 이후 국외로 나가기 시작하였다. 신민회의 이회영, 이시영, 이상룡 등은 1911년 압록강 건너 서간도로 옮겨가 삼원보에 자리 잡았다. 이들은 '여러 단체와 기관'을 설립하여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운동을 전개하였다.", |
|
"choices":[ |
|
"경학사", |
|
"권업회", |
|
"부민단", |
|
"신흥무관학교" |
|
], |
|
"answer":"권업회" |
|
}, |
|
|
|
{ |
|
"id":"PSE_history_13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만주에서 전개된 무장 항일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가) 경신년에 왜군이 내습하여 31명이 살고 있는 촌락을 방화하고 총격을 가하였다. 나도 가옥 9칸과 교회당, 학교가 잿더미로 변한 것을 보고 그것이 사실임을 알았다. 11월 1일에는 왜군 17명, 왜경 2명, 한인 경찰 1명이 와서 남자들을 모조리 끌어내어 죽인 뒤 … (중략) … 남은 주민들을 모아 일장 연설을 하였다. \n (나) 상해의 한국 독립투사 조직에 속해 있는 한국의 한 젊은이는 비밀리에 도쿄로 건너갔다. 그는 마침 군대를 사열하기 위해 마차에 타고 있던 일본 천황에게 수류탄을 던졌다. 그는 영웅적인 행동 후에 무자비하게 살해되었다. 이 사건은 전일본에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은 일본 군국주의자들에게 한국인들은 결코 그들에게 지배될 수 없다는 것을 당당히 보여 준 것이다.", |
|
"choices":[ |
|
"남만주에 조선 혁명군이 창설되었다.", |
|
"한국광복군이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
|
"독립군이 봉오동.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
|
"동북 항일 연군을 중심으로 치열한 항일 유격전이 전개되었다" |
|
], |
|
"answer":"남만주에 조선 혁명군이 창설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전기 사림(士林)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재야에서 공론을 주도하는 지도자로서 산림(山林)이 존중되었다.", |
|
"향촌 자치를 내세우며, 도덕과 의리를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를", |
|
"3사의 언관직을 차지하고, 자신들의 의견을 공론으로 표방", |
|
"중소지주적인 배경을 가지고, 지방사족이 영남과 기호 지방을" |
|
], |
|
"answer":"재야에서 공론을 주도하는 지도자로서 산림(山林)이 존중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삼국의 항쟁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nㄱ. 백제가 신라의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을 빼앗았다.\nㄴ. 백제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이 전사 하였다.\nㄷ. 신라가 대가야를 정복하면서 가야 연맹이 완전히 해체 되었다.\nㄹ. 고구려가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하였다.", |
|
"choices":[ |
|
"ㄴ→ㄷ→ㄹ→ㄱ", |
|
"ㄴ→ㄹ→ㄷ→ㄱ", |
|
"ㄹ→ㄱ→ㄴ→ㄷ", |
|
"ㄹ→ㄴ→ㄱ→ㄷ" |
|
], |
|
"answer":"ㄴ→ㄹ→ㄷ→ㄱ" |
|
}, |
|
|
|
{ |
|
"id":"PSE_history_13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후기 호락(湖洛)논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18세기 중엽 노론 내부에 주기설과 주리설의 분파가 생겨", |
|
"호론은 인성과 물성이 다르다고 보는 인물성이론을 내세웠다.", |
|
"낙론은 인성과 물성이 같다는 인물성동론을 주장하였다.", |
|
"호론은 북학파의 과학 기술 존중과 이용후생 사상으로 이어졌다." |
|
], |
|
"answer":"호론은 북학파의 과학 기술 존중과 이용후생 사상으로 이어졌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과 같은 역사인식에 따라서 편찬된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대저 옛 성인은 예악으로 나라를 일으키고 인의로 가르쳤으며 괴력난신(怪力亂神)은 말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왕이 장차 일어날 때는 부명(符命)과 도록(圖籙)을 받게 되므로 반드시 남보다 다른 일이 있었다. 그래야만 능히 큰 변화를 타고 대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중략) … 그러니 삼국의 시조가 모두 신비하고 기이한 일을 연유하여 태어났다는 것을 어찌 괴이하다 할 수 있겠는가. 이것이 신이(神異)로써 이 책의 앞 머리를 삼은 까닭이다.", |
|
"choices":[ |
|
"정통 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하였다.", |
|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서술하였다.", |
|
"고구려 계승 의식을 반영하고 고구려의 전통을 노래하였다.", |
|
"우리의 고유 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였으며 단군신화를 수록" |
|
], |
|
"answer":"우리의 고유 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였으며 단군신화를 수록" |
|
}, |
|
|
|
{ |
|
"id":"PSE_history_13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정치관과 관련이 깊은 정책으로 옳은 것은? \n 임금의 직책은 한 사람의 재상을 논정하는 데 있다 하였으니, 바로 총재(冢宰)를 두고 한 말이다. 총재는 위로는 임금을 받들고 밑으로는 백관을 통솔하여 만민을 다스리는 것이니 직책이 매우 크다. 또 임금의 자질에는 어리석음과 현명함이 있고 강함과 유약함의 차이가 있으니, 옳은 일은 아뢰고 옳지 않은 일은 막아서, 임금으로 하여금 대중(大中)의 경지에 들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相)이라 하니, 곧 보상 (輔相)한다는 뜻이다.", |
|
"choices":[ |
|
"육조 직계제의 시행", |
|
"사간원의 독립", |
|
"의정부 서사제의 시행", |
|
"집현전의 설치" |
|
], |
|
"answer":"의정부 서사제의 시행" |
|
}, |
|
|
|
{ |
|
"id":"PSE_history_13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왕’의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 왕 : 7년에 율령을 반포하고, 처음으로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19년에 금관국의 왕인 김구해가 왕비와 세 아들을 데리고 와 항복하였다.", |
|
"choices":[ |
|
"‘건원’이란 연호를 사용하였다.", |
|
"이사부를 시켜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
|
"유학 교육을 위해 국학을 설립하였다.", |
|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
|
], |
|
"answer":"‘건원’이란 연호를 사용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같은 해에 벌어졌던 사건들이다. 이러한 사건들로 말미암아 나타난 사실로 옳은 것은? \n ○ 박종철 사건 ○ 4ㆍ13 호헌 조치 ○ 6ㆍ10 국민 대회 개최 ○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결성", |
|
"choices":[ |
|
"국가보위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되었다.", |
|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
|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모든 정치활동을 정지시켰다.", |
|
"대통령의 중임 제한을 없애고 간선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을" |
|
], |
|
"answer":"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은 ㉠종묘, 해인사 장경판전, 불국사와 석굴암, 수원 화성, 창덕궁, 경주 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 유적,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조선 시대 왕릉 등이다. 또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심체요절,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조선왕조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 등이 유네스코의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
"choices":[ |
|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셨다.", |
|
"㉡-청동기시대의 돌무덤이다.", |
|
"㉢-태조에서 철종 때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하였다.", |
|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에게 약탈당하였다." |
|
], |
|
"answer":"㉣-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에게 약탈당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과 같은 정책이 시행되었던 시대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 해동통보를 비롯한 돈 15,000관을 주조하여 관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 은 한 근으로 우리나라 지형을 본 딴 은병을 만들어 통용시켰는데, 민간에서는 이를 활구(闊口)라 불렀다.", |
|
"choices":[ |
|
"공인이 상업 활동을 주도하였다.", |
|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제한하였다.", |
|
"대도시에 주점, 다점 등의 관영 상점을 두었다.", |
|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으로 동시전을 설치하였다." |
|
], |
|
"answer":"대도시에 주점, 다점 등의 관영 상점을 두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민요에서 보이는 경제활동에 대한 조선 전기의 모습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n 짚신에 감발차고 패랭이 쓰고 꽁무니에 짚신 차고 이고 지고 이 장 저 장 뛰어가서 장돌뱅이들 동무들 만나 반기며 이 소식 저 소식 묻고 듣고 목소리 높여 고래고래 지르며 …(중략) … 손잡고 인사하고 돌아서네 다음 날 저 장에서 다시 보세", |
|
"choices":[ |
|
"15세기 후반 이후 장시는 점차 확대되었다.", |
|
"보부상은 장시에서 농산물, 수공업제품 등을 판매하였다.", |
|
"정부가 조선통보를 유통시킴으로써 동전화폐 유통이 활발해졌다.", |
|
"농업생산력의 발달에 힘입어 지방에서 장시가 증가하였다." |
|
], |
|
"answer":"정부가 조선통보를 유통시킴으로써 동전화폐 유통이 활발해졌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기구에서 추진한 개혁 내용으로 옳은 것은? \n 총재 1명, 부총재 1명, 그리고 16명에서 20명 사이의 회의원 으로 구성되었다. 이밖에 2명 정도의 서기관이 있어서 활동을 도왔고, 또 회의원 중 3명이 기초 위원으로 선정되어 의안의 작성을 책임졌다. 총재는 영의정 김홍집이 겸임하고, 부총재는 내아문독판으로 회의원인 박정양이 겸임하였다.", |
|
"choices":[ |
|
"은본위 화폐 제도를 실시하였다.", |
|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회복하였다.", |
|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
|
"재판소를 설치하여 사법권과 행정권을 분리시켰다." |
|
], |
|
"answer":"은본위 화폐 제도를 실시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가) 관리의 녹읍을 혁파하고 매년 조(租)를 내리되 차등이 있게 하였다. \n (나) 여러 관리의 월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나누어 주었다.", |
|
"choices":[ |
|
"처음으로 병부를 설치하였다.", |
|
"화백회의에서 국왕을 폐위시킨 일이 있었다.", |
|
"호족이 지방의 행정권과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
|
"6두품이 학문적 식견을 바탕으로 국왕의 조언자로 활동하였다." |
|
], |
|
"answer":"6두품이 학문적 식견을 바탕으로 국왕의 조언자로 활동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3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입하기를 원하는 자에게는 반드시 먼저 규약문을 보여주고, 몇 달 동안 실행할 수 있는가를 스스로 헤아려 본 뒤에 가입하기를 청하게 한다. 가입을 청하는 자는 반드시 단자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뜻을 자세히 적어 모임이 있을 때에 진술하고, 사람을 시켜 약정(約正)에게 바치면 약정은 여러 사람에게 물어서 좋다고 한 다음에야 글로 답하고, 다음 모임에 참여하게 한다. -율곡전서중에서-", |
|
"choices":[ |
|
"향촌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치안을 담당하는 향촌의 자치", |
|
"전통적 미풍양속을 계승하면서 삼강오륜을 중심으로 한 유교", |
|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에 서로 돕는 역할을 하였고, 상두꾼도", |
|
"지방 유력자가 주민을 위협, 수탈하는 배경을 제공하는 부작용도" |
|
], |
|
"answer":"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에 서로 돕는 역할을 하였고, 상두꾼도" |
|
}, |
|
|
|
{ |
|
"id":"PSE_history_13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평량’과 ‘평량의 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짝지은 것은? \n'평량'은 평장사 김영관의 사노비로 경기도 양주에 살면서 농사에 힘써 부유하게 되었다.\n'평량의 처'는 소감 왕원지의 사노비인데, 왕원지는 집안이 가난하여 가족을 데리고 와서 의탁하고 있었다. 평량이 후하게 위로하여 서울로 돌아가기를 권하고는 길에서 몰래 처남과 함께 왕원지 부부와 아들을 죽이고, 스스로 그 주인이 없어졌음을 다행으로 여겼다. -고려사중에서- \n<보기> \nㄱ. 평량은 자신의 토지를 소유할 수 있었다. \nㄴ. 평량은 주인집에 살면서 잡일을 돌보았다. \nㄷ. 평량의 처는 국가에 일정량의 신공을 바쳤다. \nㄹ. 평량의 처는 매매.증여.상속의 대상이 되었다.", |
|
"choices":[ |
|
"ㄱ, ㄴ", |
|
"ㄱ, ㄹ", |
|
"ㄴ, ㄷ", |
|
"ㄷ, ㄹ" |
|
], |
|
"answer":"ㄱ, ㄹ" |
|
}, |
|
|
|
{ |
|
"id":"PSE_history_13_1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의 경제 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 제 1 조: 구 백동화 교환에 관한 사무는 금고로 처리케 하여 탁지부 대신이 이를 감독함 \n 제 3 조: 구 백동화의 품위(品位).양목(量目).인상(印象). 형체(形體)가 정화(正貨)에 준할 수 있는 것은 매 1개에 대하여 금 2전 5푼의 가격으로 새 화폐로 교환함이 가함", |
|
"choices":[ |
|
"한국 상인들이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
|
"일본제일은행이 중앙은행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
|
"액면가대로 바꾸어 주는 화폐교환 방식을 따랐다.", |
|
"구 백동화 남발에 따른 물가 상승이 이 조치에 영향을 끼쳤다." |
|
], |
|
"answer":"액면가대로 바꾸어 주는 화폐교환 방식을 따랐다." |
|
}, |
|
|
|
{ |
|
"id":"PSE_history_14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는 삼국시대의 금석문은? \n ○ 고구려의 군대가 신라 영토에 주둔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록이 보인다. \n ○ 고구려가 신라의 왕을 호칭할 때 ‘동이 매금(東夷 寐錦)’ 이라고 부르고 있다. \n ○ 고구려가 신라의 왕과 신하들에게 의복을 하사하는 의식을 거행한 것으로 보인다.", |
|
"choices":[ |
|
"광개토왕비", |
|
"집안고구려비", |
|
"중원고구려비", |
|
"영일냉수리비" |
|
], |
|
"answer":"중원고구려비" |
|
}, |
|
|
|
{ |
|
"id":"PSE_history_14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신라 하대 불교계의 새로운 경향을 알려주는 다음의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불립문자(不立文字)라 하여 문자를 세워 말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복잡한 교리를 떠나서 심성(心性)을 도야하는 데 치중하였다. 그러므로 이 사상에서 주장하는 바는 인간의 타고난 본성이 곧 불성(佛性)임을 알면 그것이 불교의 도리를 깨닫는 것이라는 견성오도(見性悟道)에 있었다.", |
|
"choices":[ |
|
"전제왕권을 강화해주는 이념적 도구로 크게 작용하였다.", |
|
"지방에서 새로이 대두한 호족들의 사상으로 받아들여졌다.", |
|
"왕실은 이 사상을 포섭하려는 노력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
|
"인도에까지 가서 공부해 온 승려들에 의해 전파되었다." |
|
], |
|
"answer":"지방에서 새로이 대두한 호족들의 사상으로 받아들여졌다." |
|
}, |
|
|
|
{ |
|
"id":"PSE_history_14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장한 실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중국은 서양과 180도 정도 차이가 난다. 중국인은 중국을 중심으로 삼고 서양을 변두리로 삼으며, 서양인은 서양을 중심으로 삼고 중국을 변두리로 삼는다. 그러나 실제는 하늘을 이고 땅을 밟는 사람은 땅에 따라서 모두 그러한 것이니 중심도 변두리도 없이 모두가 중심이다.", |
|
"choices":[ |
|
"동국지리지를 저술하여 역사지리 연구의 단서를 열어", |
|
"임하경륜 을 통해서 성인 남자들에게 2결의 토지를 나누어", |
|
"동사에서 조선의 자연환경과 풍속, 인성의 독자성을", |
|
"동국지도 를 만들어 지도 제작의 과학화에 기여하였다." |
|
], |
|
"answer":"임하경륜 을 통해서 성인 남자들에게 2결의 토지를 나누어" |
|
}, |
|
|
|
{ |
|
"id":"PSE_history_14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0년 충칭에서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총사령에 이청천, 참모장에 이범석을 선임하였다.", |
|
"영국군의 요청으로 일부 병력을 인도와 버마(미얀마) 전선에", |
|
"미국 전략정보처(OSS)와 협력하면서 국내 진공을 준비하였다.", |
|
"조선의용군과 연합하여 일본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하였다." |
|
], |
|
"answer":"조선의용군과 연합하여 일본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4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8.15 광복 직후에 결성된 정당의 중심 인물과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와 관련된 정당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n ㄱ. 여운형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하였으며, 진보적 민주 주의를 표방하면서 좌우합작을 추진하였다. \n ㄴ. 송진우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하였으며, 인민공화국을 부정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려 하였다. \n ㄷ. 안재홍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하였으며, 신민족주의를 내세워 평등사회를 건설하려 하였다.", |
|
"choices":[ |
|
"ㄱ 조선인민당 ㄴ 한국민주당 ㄷ 한국독립당", |
|
"ㄱ 조선신민당 ㄴ 민족혁명당 ㄷ 한국독립당", |
|
"ㄱ 조선신민당 ㄴ 한국민주당 ㄷ 국민당", |
|
"ㄱ 조선인민당 ㄴ 한국민주당 ㄷ 국민당" |
|
], |
|
"answer":"ㄱ 조선인민당 ㄴ 한국민주당 ㄷ 국민당" |
|
}, |
|
|
|
{ |
|
"id":"PSE_history_14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1960년대 전반 남북한에서 각기 조사 발굴되어 한국사에서 구석기 시대의 존재를 확인시켜 준 유적들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
|
"choices":[ |
|
"남한: 제주 빌레못 유적 상원, 북한: 검은모루 유적", |
|
"남한: 공주 석장리 유적 웅기. 북한: 굴포리 유적", |
|
"남한: 단양 상시리 유적 덕천, 북한: 승리산 유적", |
|
"남한: 연천 전곡리 유적 평양, 북한: 만달리 유적" |
|
], |
|
"answer":"남한: 공주 석장리 유적 웅기. 북한: 굴포리 유적" |
|
}, |
|
|
|
{ |
|
"id":"PSE_history_14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통일신라시대 귀족경제의 변화를 말해주고 있는 다음 글의 ‘이것’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전제왕권이 강화되면서 신문왕 9년(689)에 이것을 폐지 하였다. 이를 대신하여 조(租)의 수취만을 허락하는 관료전이 주어졌고, 한편 일정한 양의 곡식이 세조(歲租)로서 또한 주어졌다. 그러나 경덕왕 16년(757)에 이르러 다시 이것이 부활되는 변화과정을 겪었다.", |
|
"choices":[ |
|
"이것이 폐지되자 전국의 모든 국토는 ‘왕토(王土)’라는 사상이", |
|
"수급자가 토지로부터 조(租)를 받을 뿐 아니라, 그 지역의", |
|
"삼국통일 이후 국가에 큰 공을 세운 육두품 신분의 사람들에게", |
|
"촌락에 거주하는 양인농민인 백정이 공동으로 경작하였다." |
|
], |
|
"answer":"수급자가 토지로부터 조(租)를 받을 뿐 아니라, 그 지역의" |
|
}, |
|
|
|
{ |
|
"id":"PSE_history_14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과 같은 풍속이 행해진 국가의 사회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그 풍속에 혼인을 할 때 구두로 이미 정해지면 여자의 집에는 대옥(大屋) 뒤에 소옥(小屋)을 만드는데, 이를 서옥 (婿屋)이라고 한다. 저녁에 사위가 여자의 집에 이르러 문밖에서 자신의 이름을 말하고 꿇어 앉아 절하면서 여자와 동숙하게 해줄 것을 애걸한다. 이렇게 두세 차례 하면 여자의 부모가 듣고는 소옥에 나아가 자게 한다. 그리고 옆에는 전백(錢帛)을 놓아둔다. -삼국지 동이전 -", |
|
"choices":[ |
|
"고국천왕 사후, 왕비인 우씨와 왕의 동생인 산상왕과의 결합은", |
|
"계루부 고씨의 왕위계승권이 확립된 이후 연나부 명림씨", |
|
"관나부인(貫那夫人)이 왕비를 모함하여 죽이려다가 도리어", |
|
"김흠운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는 과정은 국왕이 중국식 혼인" |
|
], |
|
"answer":"김흠운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는 과정은 국왕이 중국식 혼인" |
|
}, |
|
|
|
{ |
|
"id":"PSE_history_14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려의 형률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주로 당나라의 것을 끌어다 썼으며, 때에 따라 고려의 실정에", |
|
"행정과 사법이 명확하게 분리.독립되어 있었다.", |
|
"실형주의(實刑主義)보다는 배상제(賠償制)를 우위에 두고", |
|
"기본적으로 태형(笞刑), 장형(杖刑), 도형(徒刑), 유형(流刑)의" |
|
], |
|
"answer":"주로 당나라의 것을 끌어다 썼으며, 때에 따라 고려의 실정에" |
|
}, |
|
|
|
{ |
|
"id":"PSE_history_14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려시대에는 귀족.양반과 일반 양민 사이에 ‘중간계층’ 또는 ‘중류층’이라 불리는 신분층이 존재하였다. 이 신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남반은 궁중의 잡일을 맡는 내료직(內僚職)이다.", |
|
"하급 장교들도 이 신분층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다.", |
|
"서리는 중앙의 각 사(司)에서 기록이나 문부(文簿)의 관장 등", |
|
"향리에게는 양반으로 신분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지" |
|
], |
|
"answer":"향리에게는 양반으로 신분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지" |
|
}, |
|
|
|
{ |
|
"id":"PSE_history_14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에 묘사된 ‘국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n'국왕'은 행차 때면 길에 나온 백성들을 불러 직접 의견을 들었다. 또한 척신 세력을 제거하여 정치의 기강을 바로 잡았고, 당색을 가리지 않고 어진 이들을 모아 학문을 장려 하였다. 침전에는 ‘탕탕평평실(蕩蕩平平室)’이라는 편액을 달았으며, “하나의 달빛이 땅 위의 모든 강물에 비치니 강물은 세상 사람들이요, 달은 태극이며 그 태극은 바로 나다.”라고 하였다.", |
|
"choices":[ |
|
"병권 장악을 위해 금위영을 설치하였다.", |
|
"명에 대한 의리를 지켜 청에 복수하자는 북벌을 추진하였다.", |
|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특권을 폐지하였다.", |
|
"백성의 여론을 정치에 반영하기 위해 신문고제도를 부활하였다." |
|
], |
|
"answer":"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특권을 폐지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4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국왕과 관련되는 내용은? \n( )이 원나라의 제도를 따라 변발(辮髮)을 하고 호복 (胡服)을 입고 전상(殿上)에 앉아 있었다. 이연종이 간하려고 문밖에서 기다리고 있었더니, 왕이 사람을 시켜 물었다. …(중략)… 답하기를 “변발과 호복은 선왕의 제도가 아니오니, 원컨대 전하께서는 본받지 마소서.”라고 하니, 왕이 기뻐 하면서 즉시 변발을 풀어 버리고 그에게 옷과 요를 하사 하였다. -고려사-", |
|
"choices":[ |
|
"노비와 관련된 문제를 처리하는 장례원을 설치하였다.", |
|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고 요동 지방을 공략하였다.", |
|
"동국병감과 같은 병서를간행하여 원나라의 침략에 대비하였다.", |
|
"권문세족의 경제기반을 무너뜨리기 위해서 과전법을 시행하였다." |
|
], |
|
"answer":"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고 요동 지방을 공략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4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농서’가 처음 편찬된 시기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농상집요는 중국 화북 지방의 농사 경험을 정리한 것으로서 기후와 토질이 다른 조선에는 도움이 될 수 없었다. 이에 농사 경험이 풍부한 각 도의 농민들에게 물어서 조선의 실정에 맞는 농법을 소개한 '이 농서'가 편찬되었다.", |
|
"choices":[ |
|
"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표현한 몽유도원도 가 그려졌다.", |
|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을 통합한 조계종이 성립되었다.", |
|
"윤휴는 주자의 사상과 다른 모습을 보여 사문난적으로 몰렸다.", |
|
"진경산수화와 풍속화가 유행하였다." |
|
], |
|
"answer":"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표현한 몽유도원도 가 그려졌다." |
|
}, |
|
|
|
{ |
|
"id":"PSE_history_14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번 문서’를 보낸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이전 문서에서는 몽고의 연호를 사용했는데, '이번 문서' 에서는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n○ 이전 문서에서는 몽고의 덕에 귀의하여 군신 관계를 맺었다고 하였는데, '이번 문서'에서는 강화로 도읍을 옮긴 지 40년에 가깝지만, 오랑캐의 풍습을 미워하여 진도로 도읍을 옮겼다고 한다. -고려첩장(高麗牒狀)-", |
|
"choices":[ |
|
"최우가 도적을 막기 위해 만든 조직에서 비롯되었다.", |
|
"최충헌이 신변 보호와 집권체제 강화를 위해 조직하였다.", |
|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조직으로 편성되었다.", |
|
"쌍성총관부 탈환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조직이었다." |
|
], |
|
"answer":"최우가 도적을 막기 위해 만든 조직에서 비롯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4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을 남긴 국왕의 재위 기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n보잘 것 없는 나, 소자가 어린 나이로 어렵고 큰 유업을 계승하여 지금 12년이나 되었다. 그러나 나는 덕이 부족하여 위로는 천명(天命)을 두려워하지 못하고 아래로는 민심에 답하지 못하였으므로, 밤낮으로 잊지 못하고 근심하며 두렵게 여기면서 혹시라도 선대왕께서 물려주신 소중한 유업이 잘못되지 않을까 걱정하였다. 그런데 지난번 가산 (嘉山)의 토적(土賊)이 변란을 일으켜 청천강 이북의 수 많은 생령이 도탄에 빠지고 어육(魚肉)이 되었으니 나의 죄이다. -비변사등록-", |
|
"choices":[ |
|
"최제우가 동학을 창도하였다.", |
|
"공노비 6만 6천여 명을 양인으로 해방시켰다.", |
|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 호가 격침되었다.", |
|
"삼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
|
], |
|
"answer":"공노비 6만 6천여 명을 양인으로 해방시켰다." |
|
}, |
|
|
|
{ |
|
"id":"PSE_history_14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후기 천주교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기해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를 간 정약전은 그 지역의 어류를", |
|
"안정복은 성리학의 입장에서 천주교를 비판하는 천학문답을", |
|
"1791년 윤지충은 어머니 상(喪)에 유교 의식을 거부하여", |
|
"신유사옥 때 황사영은 군대를 동원하여 조선에서 신앙의" |
|
], |
|
"answer":"기해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를 간 정약전은 그 지역의 어류를" |
|
}, |
|
|
|
{ |
|
"id":"PSE_history_14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시대의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정도전은 성리학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사상을 포용하였으며,", |
|
"이황은 16세기 조선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통치", |
|
"18세기에는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다르다고 주장하는 호론과,", |
|
"유형원과 이익의 사상을 계승한 김정희는 토지제도 개혁론을" |
|
], |
|
"answer":"18세기에는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다르다고 주장하는 호론과," |
|
}, |
|
|
|
{ |
|
"id":"PSE_history_14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박은식이 저술한 한국독립운동지혈사의 일부분이다. 여기에서 언급된 사건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만세시위가 확산되자, 일제는 헌병 경찰은 물론이고 군인 까지 긴급 출동시켜 시위군중을 무차별 살상하였다. 정주, 사천, 맹산, 수안, 남원, 합천 등지에서는 일본 군경의 총격으로 수십 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화성 제암리에서는 전 주민을 교회에 집합, 감금하고 불을 질러 학살하였다.", |
|
"choices":[ |
|
"일제는 무단통치를 이른바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
|
"독립운동의 중요한 분기점이 된 대규모의 만세운동이었다.", |
|
"세계 약소 민족의 독립운동에도 커다란 자극을 주었다.", |
|
"파리강화회의에 신규식을 대표로 파견하여 이 사건의 진상을" |
|
], |
|
"answer":"파리강화회의에 신규식을 대표로 파견하여 이 사건의 진상을" |
|
}, |
|
|
|
{ |
|
"id":"PSE_history_14_1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4.19 혁명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5.10 총선거가 남한에서 실시되어 제헌의회가 구성되었다.", |
|
"농지개혁이 실시되어 농민들은 자작농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
|
"혁명 이후 남북통일 문제에 대한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
|
"과도 정부가 출범하고, 내각 책임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하는" |
|
], |
|
"answer":"과도 정부가 출범하고, 내각 책임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하는" |
|
}, |
|
|
|
{ |
|
"id":"PSE_history_15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려 사회의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천민 출신인 이의민이 무신 정권의 최고 권력자가 되었다.", |
|
"외거 노비가 재산을 늘려, 그 처지가 양인과 유사해질 수", |
|
"지방 향리의 자제가 과거(科擧)를 통해 귀족의 대열에 진입할", |
|
"향.부곡.소의 백성도 일반 군현민과 동일한 수준의 조세." |
|
], |
|
"answer":"향.부곡.소의 백성도 일반 군현민과 동일한 수준의 조세." |
|
}, |
|
|
|
{ |
|
"id":"PSE_history_15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전기(15~16세기) 사림의 향촌을 주도하기 위한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도덕과 의례의 기본 서적인 소학을 보급하였다.", |
|
"향사례(鄕射禮), 향음주례(鄕飮酒禮)의 실시를 주장하였다.", |
|
"향회를 통해서 자신들의 결속을 다지고, 향촌을 교화하였다.", |
|
"촌락 단위의 동약을 실시하고, 문중 중심으로 서원과 사우를" |
|
], |
|
"answer":"촌락 단위의 동약을 실시하고, 문중 중심으로 서원과 사우를" |
|
}, |
|
|
|
{ |
|
"id":"PSE_history_15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과전법과 그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수신전, 휼양전을 죽은 관료의 가족에게 지급하였다.", |
|
"공음전을 5품 이상의 관료에게 주어 세습을 허용하였다.", |
|
"세조대에 직전법으로 바꾸어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지급", |
|
"성종대에는 관수관급제를 실시하여 전주의 직접 수조를 지양" |
|
], |
|
"answer":"공음전을 5품 이상의 관료에게 주어 세습을 허용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자료에 대한 해석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n○ 신라 지증왕 3년의 순장 금지 사료(史料) \n○ 신라 무덤에서 출토한 순장 대용(代用) 흙인형", |
|
"choices":[ |
|
"전쟁 노비의 소멸로 순장할 대상이 없어졌다.", |
|
"농업생산력의 상승에 따라 노동력을 중시하였다.", |
|
"죽음에 대한 의식(儀式)에 도교 사상이 반영되었다.", |
|
"왕실은 귀족층의 사치와 허례허식을 막기 위해 노력하였다." |
|
], |
|
"answer":"농업생산력의 상승에 따라 노동력을 중시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시대’의 사회 모습으로 옳은 것은? \n'이 시대'의 황해도 봉산 지탑리와 평양 남경 유적에서 탄화된 좁쌀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잡곡류 경작이 이루어 졌음을 알 수 있다. 농경의 발달로 수렵과 어로가 경제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기 시작하였지만, 여전히 식량을 얻는 중요한 수단이었다. 한편 가락바퀴나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이나 그물을 만드는 등 원시적인 수공업 생산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
|
"choices":[ |
|
"생산물의 분배 과정에서 사유 재산 제도가 등장하였다.", |
|
"마을 주변에 방어 및 의례 목적으로 환호(도랑)를 두르기도", |
|
"흑요석의 출토 사례로 보아 원거리 교류나 교역이 있었음을", |
|
"집자리는 주거용 외에 창고, 작업장, 집회소, 공공 의식 장소" |
|
], |
|
"answer":"흑요석의 출토 사례로 보아 원거리 교류나 교역이 있었음을" |
|
}, |
|
|
|
{ |
|
"id":"PSE_history_15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전기(15∼16세기) 중앙 정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붕당은 정치적 이념과 학문적 경향에 따라 결집되었다.", |
|
"삼사는 권력의 독점과 부정을 방지하는 데 기여하였다.", |
|
"사화로 갈등이 격화되면서, 정국이 급격하게 전환되는 환국정치가", |
|
"합리적인 인사 행정 제도가 갖추어져 이전 시기보다 관료제적" |
|
], |
|
"answer":"사화로 갈등이 격화되면서, 정국이 급격하게 전환되는 환국정치가" |
|
}, |
|
|
|
{ |
|
"id":"PSE_history_15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건의를 받아들인 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n임금이 백성을 다스릴 때 집집마다 가서 날마다 그들을 살펴보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수령을 나누어 파견하여, (현지에) 가서 백성의 이해(利害)를 살피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 태조께서도 통일한 뒤에 외관(外官)을 두고자 하셨으나, 대개 (건국) 초창기였기 때문에 일이 번잡하여 미처 그럴 겨를이 없었습니다. 이제 제가 살펴보건대, 지방 토호들이 늘 공무를 빙자하여 백성들을 침해하며 포악하게 굴어, 백성들이 명령을 견뎌내지 못합니다. 외관을 두시기 바랍니다.", |
|
"choices":[ |
|
"서경 천도를 추진하였다.", |
|
"5도 양계의 지방 제도를 확립하였다.", |
|
"지방 교육을 위해 경학박사를 파견하였다.", |
|
"유교 이념과는 별도로 연등회, 팔관회 행사를 장려하였다." |
|
], |
|
"answer":"지방 교육을 위해 경학박사를 파견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신라 승려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 ㉠ )은(는) 불교 서적을 폭넓게 이해하고, 일심(一心) 사상을 바탕으로 여러 종파들의 사상적 대립을 조화시키며, 분파 의식을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한편 ( ㉡ )은(는) 모든 존재가 상호 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룬다는 화엄 사상을 정립하고, 교단을 형성하여 많은 제자를 양성 하였다.", |
|
"choices":[ |
|
"㉠은 미륵 신앙을 전파하며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
|
"㉠은 무애가라는 노래를 유포하며 일반 백성을 교화하였다.", |
|
"㉡은 관음 신앙과 함께 아미타 신앙을 화엄 교단의 주요", |
|
"㉡은 국왕이 큰 공사를 일으켜 도성을 새로이 정비하려 할 때" |
|
], |
|
"answer":"㉠은 미륵 신앙을 전파하며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일제의 가혹한 탄압으로 독립 운동은 큰 제약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제약 속에서도 비밀 결사의 형태로 독립 운동 단체가 결성되었다. ㉠독립의군부와 ㉡대한광복회는 모두 이러한 비밀 결사 단체였다.", |
|
"choices":[ |
|
"㉠은 공화국의 건설을 목표로 하였다.", |
|
"㉡은 고종의 비밀 지령을 받아 조직되었다.", |
|
"㉠과 ㉡은 모두 1910년대 국내에서 결성된 단체이다.", |
|
"㉠은 박상진을 중심으로, ㉡은 임병찬을 중심으로 한 조직" |
|
], |
|
"answer":"㉠과 ㉡은 모두 1910년대 국내에서 결성된 단체이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통일신라의 지방 행정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신문왕 대에 9주 5소경 체제로 정비하였다.", |
|
"주(州)에는 지방 감찰관으로 보이는 외사정이 배치되었다.", |
|
"5소경을 전략적 요충지에 두고, 도독이 행정을 관할토록 하였다.", |
|
"촌주가 관할하는 촌 이외에, 향.부곡이라는 행정 구역도" |
|
], |
|
"answer":"5소경을 전략적 요충지에 두고, 도독이 행정을 관할토록 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려의 농민을 위한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농민 자제의 과거를 위한 기금으로 광학보를 설치하였다.", |
|
"개간지는 일정 기간 면세하여 줌으로써 농민의 부담을 경감해", |
|
"재해를 당했을 때에는 세금을 감면해 농민 생활의 안정을", |
|
"농번기에는 잡역 동원을 금지하여 농사에 지장을 주지" |
|
], |
|
"answer":"농민 자제의 과거를 위한 기금으로 광학보를 설치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의 자료에 보이는 시기의 경제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배에 물건을 싣고 오가면서 장사하는 장사꾼은 반드시 강과 바다가 이어지는 곳에서 이득을 얻는다. 전라도 나주의 영산포, 영광의 법성포, 흥덕의 사진포, 전주의 사탄은 비록 작은 강이나 모두 바닷물이 통하므로 장삿배가 모인다. …(중략) … 그리하여 큰 배와 작은 배가 밤낮으로 포구에 줄을 서고 있다. -비변사등록 -", |
|
"choices":[ |
|
"강경, 원산 등이 상업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
|
"선상은 선박을 이용해서 각 지방의 물품을 거래하였다.", |
|
"객주나 여각은 상품의 매매를 중개하고, 숙박, 금융 등의 영업도", |
|
"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삼한통보 등의 동전을 만들어 유통" |
|
], |
|
"answer":"상업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삼한통보 등의 동전을 만들어 유통" |
|
}, |
|
|
|
{ |
|
"id":"PSE_history_15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중 ‘대한국 국제’의 내용에 해당되는 것은?", |
|
"choices":[ |
|
"내시부를 없애고 그 중에 우수한 인재를 등용한다.", |
|
"조세의 부과와 징수, 경비의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이 관할한다.", |
|
"칙임관은 황제가 정부에 자문하여 그 과반수의 의견에 따라", |
|
"대한국 대황제는 각 조약 체결 국가에 사신을 파견하고, 선전" |
|
], |
|
"answer":"대한국 대황제는 각 조약 체결 국가에 사신을 파견하고, 선전" |
|
}, |
|
|
|
{ |
|
"id":"PSE_history_15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두 사건이 일어난 이후의 사실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n○ 고종 황제의 강제 퇴위 \n○ 일제에 의한 군대 해산 \n<보기> ㄱ. 안중근이 만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nㄴ. 민영환이 일제에 대한 저항을 강력하게 표현한 유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nㄷ. 장지연이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시일야방성대곡’을 황성신문에발표하였다. \nㄹ. 이인영을 총대장으로 하는 13도 연합 의병 부대(창의군)가 서울진공작전을 시도하였다.", |
|
"choices":[ |
|
"ㄱ, ㄴ", |
|
"ㄱ, ㄹ", |
|
"ㄴ, ㄷ", |
|
"ㄷ, ㄹ" |
|
], |
|
"answer":"ㄱ, ㄹ" |
|
}, |
|
|
|
{ |
|
"id":"PSE_history_15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우리나라 농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농가집성은 고려 말 이암이 원에서 들여온 것이다.", |
|
"농사직설은 정초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것이다.", |
|
"산림경제는 박세당이 과수, 축산 등을 소개한 것이다.", |
|
"과농소초는 홍만선이 화초재배법에 대해 저술한 것이다." |
|
], |
|
"answer":"농사직설은 정초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것이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의 기록이 보이는 왕대의 정치 변화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n(왕이) 양역을 절반으로 줄이라고 명하셨다. 왕이 말하였다. “호포나 결포는 모두 문제점이 있다. 이제는 1필로 줄이는 것으로 온전히 돌아갈 것이니 경들은 대책을 강구하라.”", |
|
"choices":[ |
|
"특정 붕당이 정권을 독점하는 일당 전제화의 추세가 대두되었다.", |
|
"왕위 계승에 대한 정통성과 관련하여 두 차례의 예송이 발생", |
|
"정치 집단은 소수의 가문 출신으로 좁아지면서 그 기반이 축소", |
|
"붕당을 없애자는 논리에 동의하는 관료들을 중심으로 탕평" |
|
], |
|
"answer":"붕당을 없애자는 논리에 동의하는 관료들을 중심으로 탕평" |
|
}, |
|
|
|
{ |
|
"id":"PSE_history_15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우리’에 해당하는 계층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n아! '우리'는 본시 모두 사대부였는데 혹은 의(醫)에 들어가고 혹은 역(譯)에 들어가 7, 8대 또는 10여 대를 대대로 전하니 …(중략)… 문장과 덕(德)은 비록 사대부에 비길 수 없으나, 명공(名公) 거실(巨室) 외에 우리보다 나은 자는 없다.", |
|
"choices":[ |
|
"집단으로 상소하여 청요직(淸要職) 허통(許通)을 요구하였다.", |
|
"형평사를 창립하고, 평등한 대우를 요구하는 형평운동을 펼쳤다.", |
|
"관권과 결탁하고 향회를 장악하여,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
|
"유향소를 복립하여 향리를 감찰하고 향촌 사회의 풍속을 바로" |
|
], |
|
"answer":"집단으로 상소하여 청요직(淸要職) 허통(許通)을 요구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5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라)는 광복을 전후해 일어난 사건을 시기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다)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n(가)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대한민국 건국 강령’을 발표하였다. \n(나) 이승만을 중심으로 독립촉성중앙협의회가 발족되었다. \n(다) \n(라) 제헌 국회에서 대한민국의 헌법이 제정, 공포되었다.", |
|
"choices":[ |
|
"좌우합작위원회의 ‘좌우합작 7원칙’이 선포되었다.", |
|
"김구의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이라는 글이 발표되었다.", |
|
"여운형, 안재홍 등을 중심으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조직되었다.", |
|
"유엔 총회에서 유엔 감시 하에 인구 비례에 의한 남북한" |
|
], |
|
"answer":"여운형, 안재홍 등을 중심으로 조선건국준비위원회가 조직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와 (나)에 들어갈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가) 은(는)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역사서로 고려 인종 때 편찬되었다. 본기 28권, 연표 3권, 지 9권, 열전 10권 등 총 5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n ○ (나) 은(는) 충렬왕 때 한 승려가 일정한 역사 서술 체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형식으로 저술한 역사서이다. 총 5권으로 구성되었으며, 민간 설화와 불교에 관한 내용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
|
"choices":[ |
|
"(가) - 고조선의 역사를 중시하였다.", |
|
"(가) - 고구려 계승의식을 강조하였다.", |
|
"(나) - 민족적 자주의식을 고양하였다.", |
|
"(나) - 도덕적 합리주의를 표방하였다." |
|
], |
|
"answer":"(나) - 민족적 자주의식을 고양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그'는 즉위하여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하는 등의 관제 개혁을 추진하는 한편, 권세가들의 농장을 견제하고 소금 전매제를 실시하여 국가 재정을 확충하고자 하였다.", |
|
"choices":[ |
|
"만권당을 통해 고려와 원나라 학자들의 문화 교류에 힘썼다.", |
|
"도병마사를 도평의사사로 개편하여 국정을 총괄하게 하였다.", |
|
"철령 이북의 영토 귀속 문제를 계기로 요동 정벌을 단행하였다.", |
|
"기철을 비롯한 부원 세력을 숙청하고 자주적 반원 개혁을 추진하였다." |
|
], |
|
"answer":"기철을 비롯한 부원 세력을 숙청하고 자주적 반원 개혁을 추진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을 근거로 할 때, 사료를 탐구하는 자세로 옳지 않은 것은? \n역사라는 말은 사람에 따라 다양한 뜻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과거에 있었던 사실’과 ‘조사되어 기록된 과거’라는 두 가지 뜻을 지니고 있다. 즉, 역사는 ‘사실로서의 역사’와 ‘기록으로서의 역사’라는 두 측면이 있다. 전자가 객관적 의미의 역사라면, 후자는 주관적 의미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역사를 배운다고 할 때, 이것은 역사가들이 선정하여 연구한 ‘기록으로서의 역사’를 배우는 것이다.", |
|
"choices":[ |
|
"사료는 ‘과거에 있었던 사실’이므로 그대로 ‘사실로서의 역사’라고 판단한다.", |
|
"사료를 이해하기 위해 그 사료가 기록된 당시의 전반적인 시대 상황을 살펴본다.", |
|
"사료 또한 사람에 의해 ‘기록된 과거’이므로, 기록한 역사가의 가치관을 분석한다.", |
|
"동일한 사건 또는 같은 시대를 다루고 있는 여러 다른 사료와 비교.검토해 본다." |
|
], |
|
"answer":"사료 또한 사람에 의해 ‘기록된 과거’이므로, 기록한 역사가의 가치관을 분석한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결정문에 근거하여 실행된 사실로 옳은 것은? \n조선을 독립시키고 민주국가로 발전시키는 동시에, 가혹한 일본의 조선 통치 잔재를 빨리 청산하기 위해 조선에 임시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한다.", |
|
"choices":[ |
|
"미.소 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다.", |
|
"서울에서 건국준비위원회가 조직되었다.", |
|
"유엔 감시 하에 남한에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
|
"한반도에서 미군과 소련군의 군정이 시작되었다." |
|
], |
|
"answer":"유엔 감시 하에 남한에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4 ~ 5명의 개화당이 사건을 일으켜서 나라를 위태롭게 한 다음 청나라 사람의 억압과 능멸이 대단하였다. …(중략)… 종전에는 개화가 이롭다고 말하면 그다지 싫어하지 않았으나 이 '사건' 이후 조야(朝野) 모두 ‘개화당은 충의를 모르고 외인과 연결하여 매국배종(賣國背宗)하였다’고 하였다. - 윤치호일기 -", |
|
"choices":[ |
|
"정동구락부 세력이 주도하였다.", |
|
"일본군과 함께 경복궁을 침범하였다.", |
|
"차관 도입을 위한 수신사 파견의 계기가 되었다.", |
|
"일본 공사관이 불타고 일본군이 청군에 패퇴하였다." |
|
], |
|
"answer":"일본군과 함께 경복궁을 침범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개항기 체결된 통상 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조.일 통상장정(1876) - 곡물 유출을 막는 방곡령 규정이 합의되었다.", |
|
"조.청 수륙무역장정(1882) - 서울에서 청국 상인의 개점이 허용되었다.", |
|
"개정 조.일 통상장정(1883) - 일본과 수출입하는 물품에 일정 세율이 부과되었다.", |
|
"한.청 통상조약(1899) - 대한제국 황제와 청 황제가 대등한 위치에서 조약을 체결하였다." |
|
], |
|
"answer":"개정 조.일 통상장정(1883) - 일본과 수출입하는 물품에 일정 세율이 부과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자료에 나타난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층과 연관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그들의) 집에는 녹(祿)이 끊이지 않았다. 노동(奴僮)이 3천 명이며, 비슷한 수의 갑병(甲兵)이 있다. 소, 말, 돼지는 바다 가운데 섬에서 기르다가 필요할 때 활로 쏘아 잡아먹는다. 곡식을 남에게 빌려 주어 늘리는데, 기간 안에 갚지 못하면 노비로 삼아 부린다. - 신당서 -", |
|
"choices":[ |
|
"관등 승진의 상한은 아찬까지였다.", |
|
"도당 유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
|
"돌무지덧널무덤을 묘제로 사용하였다.", |
|
"식읍.전장 등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였다." |
|
], |
|
"answer":"식읍.전장 등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임진왜란 때의 주요 전투를 벌어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nㄱ. 권율 장군이 행주산성에서 왜군을 크게 무찔렀다. \nㄴ. 조선과 명나라 군대가 합세하여 평양성을 탈환하였다. \nㄷ. 진주목사 김시민이 왜의 대군을 맞아 격전 끝에 진주성을 지켜냈다. \nㄹ. 이순신 장군이 한산도 앞바다에서 왜의 수군을 격퇴하고 제해권을 장악하였다.", |
|
"choices":[ |
|
"ㄱ → ㄴ → ㄷ → ㄹ", |
|
"ㄱ → ㄷ → ㄴ → ㄹ", |
|
"ㄹ → ㄴ → ㄷ → ㄱ", |
|
"ㄹ → ㄷ → ㄴ → ㄱ" |
|
], |
|
"answer":"ㄱ → ㄴ → ㄷ → ㄹ" |
|
}, |
|
|
|
{ |
|
"id":"PSE_history_16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현물로 바칠 벌꿀 한 말의 값은 본래 목면 3필이지만, 모리배들은 이를 먼저 대납하고 4필 이상을 거두어 갑니다. 이런 폐단을 없애기 위해 '이 법'을 시행하면 부유한 양반 지주가 원망하고 시행하지 않으면 가난한 농민이 원망한다는데, 농민의 원망이 훨씬 더 큽니다. 경기와 강원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으니 충청과 호남 지역에도 하루빨리 시행해야 합니다.", |
|
"choices":[ |
|
"토지 결수를 과세 기준으로 삼았다.", |
|
"인조 때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시행하였다.", |
|
"이 법이 시행된 후에도 왕실에 대한 진상은 계속되었다.", |
|
"이 법을 시행하면서 관할 관청으로 선혜청을 설치하였다." |
|
], |
|
"answer":"인조 때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시행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왕’ 때의 사실로 옳은 것은? \n○ '왕' 재위 2년에 전진 국왕 부견이 사신과 승려 순도를 보내며 불상과 경문을 전해왔다. (이에 우리) 왕께서 사신을 보내 사례하며 토산물을 보냈다. \n○ 왕 재위 5년에 비로소 초문사를 창건하고 순도를 머물게 하였다. 또 이불란사를 창건하고 아도를 머물게 하였다. 이것이 해동 불법(佛法)의 시작이었다. - 삼국사기 -", |
|
"choices":[ |
|
"역사서인 신집을 편찬하였다.", |
|
"진휼 제도로 진대법을 도입하였다.", |
|
"유학 교육 기관인 태학을 설치하였다.", |
|
"왜에 종이와 먹의 제작 방법을 전해 주었다." |
|
], |
|
"answer":"유학 교육 기관인 태학을 설치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1920년대 만주지역 독립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대종교 계통 인사들이 신민부를 결성하였다.", |
|
"독립군 연합부대가 봉오동 전투에서 승리하였다.", |
|
"민족 유일당운동의 일환으로 국민부를 결성하였다.", |
|
"한국독립군이 한.중 연합작전으로 동경성에서 승리하였다." |
|
], |
|
"answer":"대종교 계통 인사들이 신민부를 결성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자료와 같은 현상이 나타난 시기의 사회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근래 세상의 도리가 점점 썩어가서 돈 있고 힘 있는 백성들이 갖은 방법으로 군역을 회피하고 있다. 간사한 아전과 한통속이 되어 뇌물을 쓰고 호적을 위조하여 유학(幼學)이라 칭하면서 면역하거나 다른 고을로 옮겨 가서 스스로 양반 행세를 하기도 한다. 호적이 밝지 못하고 명분의 문란함이 지금보다 심한 적이 없다. - 일성록 —", |
|
"choices":[ |
|
"사족들이 형성한 동족 마을이 증가하였다.", |
|
"향회가 수령의 부세자문기구로 변질되었다.", |
|
"유향소를 통제하기 위하여 경재소가 설치되었다.", |
|
"부농층이 관권과 결탁하여 향임직에 진출하였다." |
|
], |
|
"answer":"사족들이 형성한 동족 마을이 증가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이 사람'은 34세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지만 곧 모친상을 당하여 3년간 상복을 입었다. 삼년상이 끝나고 관직에 복귀하였으나 을사사화 등으로 조정이 어지러워지자 이내 관직 생활의 뜻을 접고, 1546년 40대 중반의 나이에 향리로 퇴거하여 학문 연구에 전념하였다. 이후 경상도 풍기군수로 있으면서 주세붕이 창설한 백운동서원에 대한 사액을 청원하여 실현을 보게 되었으니, 이것이 조선 왕조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이다.", |
|
"choices":[ |
|
"서리망국론을 부르짖으며 당시 서리의 폐단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
|
"아홉 차례의 과거 시험에 모두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
|
"주희의 성리설을 받아들였으며, 이기철학에서 이(理)의 절대성을 주장하였다.", |
|
"우주자연은 기(氣)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는 영원불멸하면서 생명을 낳는다고 보았다." |
|
], |
|
"answer":"서리망국론을 부르짖으며 당시 서리의 폐단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선언문을 강령으로 했던 단체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n우리는 일본 강도 정치 즉 이족 통치가 우리 조선 민족 생존의 적임을 선언하는 동시에, 우리는 혁명 수단으로 우리 생존의 적인 강도 일본을 살벌함이 곧 우리의 정당한 수단임을 선언하노라.", |
|
"choices":[ |
|
"민족혁명당 창당에 가담하였다.", |
|
"경성 부민관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
|
"일본 제국의회와 황궁을 공격할 계획을 세웠다.", |
|
"임시정부 요인과 제휴한 투탄 계획을 추진하였다." |
|
], |
|
"answer":"임시정부 요인과 제휴한 투탄 계획을 추진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상황이 나타난 시기에 추진한 정부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외국 사람들이 조계지를 지키지 않고 도성의 좋은 곳에 있는 집은 후한 값으로 사고 터를 넓히니 잔폐(殘廢)한 인민의 거주지가 침범을 당한다. 또한 여러 해 동안 도로를 놓고 있기 때문에 집들이 줄어들었다. 탑동(塔洞) 등지에 집을 헐고 공원을 만든다 하니 …(중략)… 결국 집 없는 사람이 태반이 될 것이다. - 매일신문 -", |
|
"choices":[ |
|
"경운궁을 정궁으로 삼았다.", |
|
"한성은행, 대한천일은행 등 민족계 은행을 지원하였다.", |
|
"중추원을 개조하여 우리 옛 법령과 풍속을 연구하였다.", |
|
"한성전기회사를 통하여 서울에 전차노선을 개통하였다." |
|
], |
|
"answer":"경운궁을 정궁으로 삼았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신라 말기에 도선과 같은 선종 승려들이 중국에서 유행한 '이 사상'을 전하였다. 이는 산세와 수세를 살펴 도읍.주택.묘지 등을 선정하는, 경험에 의한 인문 지리적 사상이다. 아울러 지리적 요인을 인간의 길흉 화복과 관련하여 생각하는 자연관 및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다.", |
|
"choices":[ |
|
"신라 말기에 안정된 사회를 염원하는 일반 백성의 인식이 반영되었다.", |
|
"신라 말기에 호족이 자기 지역의 중요성을 자부하는 근거로 이용하였다.", |
|
"고려시대에 묘청이 서경 천도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논리로 활용하였다.", |
|
"고려시대에 국가와 왕실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초제로 행하여졌다." |
|
], |
|
"answer":"신라 말기에 호족이 자기 지역의 중요성을 자부하는 근거로 이용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6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법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제17관 임시토지조사국은 토지대장 및 지도를 작성하고, 토지의 조사 및 측량한 것을 사정하여 확정한 사항 또는 재결을 거친 사항을 이에 등록한다.", |
|
"choices":[ |
|
"토지와 임야를 함께 조사하도록 하였다.", |
|
"토지 등급은 물론 지적, 결수, 지목 등을 신고하도록 하였다.", |
|
"지역별 지가와 그것의 1.3 %를 지세로 하는 과세 표준을 명시하였다.", |
|
"본 법령에 따라 토지 소유를 증명하는 토지가옥증명규칙과 시행세칙이 공포되었다." |
|
], |
|
"answer":"토지 등급은 물론 지적, 결수, 지목 등을 신고하도록 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ㄱ과 ㄴ두 인물의 공통된 신분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nㄱ 은(는) 신문왕에게 화왕계를 통하여 조언하였다. \nㄴ 은(는) 진성여왕에게 시무책 10여 조를 올렸다.", |
|
"choices":[ |
|
"관등 승진에서 중위제(重位制)를 적용받았다.", |
|
"중앙 관부의 최고 책임자를 독점하였다.", |
|
"자색(紫色)의 공복을 착용하였다.", |
|
"왕이 될 수 있는 신분이었다." |
|
], |
|
"answer":"관등 승진에서 중위제(重位制)를 적용받았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 (다)는 고구려의 발전 과정을 시기 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n(가) 낙랑군을 차지하여 한반도로 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n(나)\n(다)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하였다. <보 기> ㄱ. 태학을 설립하였다. ㄴ. 진대법을 도입하였다. ㄷ.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ㄹ. 신라를 도와 왜를 격퇴하였다.", |
|
"choices":[ |
|
"ㄱ, ㄴ", |
|
"ㄱ, ㄹ", |
|
"ㄴ, ㄷ", |
|
"ㄷ, ㄹ" |
|
], |
|
"answer":"ㄱ, ㄹ" |
|
}, |
|
|
|
{ |
|
"id":"PSE_history_17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제도를 시행한 목적에 해당하는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무릇 민호(民戶)는 그 이웃과 더불어 모으되, 가족 숫자의 다과(多寡)와 재산의 빈부에 관계없이 다섯 집마다 한 통(統)을 만들고, 통 안에 한 사람을 골라서 통수(統帥)로 삼아 통 안의 일을 맡게 한다. 1리(里) 마다 5통 이상에서 10통까지는 소리(小里)를 삼고, … (중략) … 리(里) 안에서 또 이정(里正)을 임명한다. - 비변사등록 - <보 기> ㄱ. 농민들의 도망과 이탈 방지 ㄴ. 부세와 군역의 안정적인 확보 ㄷ. 재지사족 중심의 향촌 자치 활성화 ㄹ. 향권을 둘러싼 구향과 신향 간의 향전 억제", |
|
"choices":[ |
|
"ㄱ, ㄴ", |
|
"ㄱ, ㄹ", |
|
"ㄴ, ㄷ", |
|
"ㄷ, ㄹ" |
|
], |
|
"answer":"ㄱ, ㄴ" |
|
}, |
|
|
|
{ |
|
"id":"PSE_history_17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발의로 개최된 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베이징 방면의 인사는 분열을 통탄하며 통일을 촉진하는 단체를 출현시키고 상하이 일대의 인사는 이를 고려하여 개혁을 제창하고 있다. … (중략) … 근본적 대해결로써 통일적 재조를 꾀하여 독립운동의 신국면을 타개하려고 함에는 다만 민의뿐이므로 이에 (ㄱ) 소집을 제창한다.", |
|
"choices":[ |
|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것이 논의되었다.", |
|
"삼균주의를 바탕으로 한 건국강령이 채택되었다.", |
|
"한국국민당을 통한 정당정치 실시가 결정되었다.", |
|
"창조파와 개조파 등의 주장이 대립되었다." |
|
], |
|
"answer":"창조파와 개조파 등의 주장이 대립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자료에 나타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술을 마시고 노래 부르며 춤을 추니 이를 무천이라 한다. 또 호랑이를 신(神)으로 여겨 제사지낸다. 읍락을 함부로 침범하면 노비와 소, 말로 변상하는데, 이를 책화라 한다.", |
|
"choices":[ |
|
"후.읍군.삼로 등이 하호를 통치하였다.", |
|
"국읍마다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는 천군이 있었다.", |
|
"사람이 죽으면 가매장한 다음 뼈만 추려 목곽에 안치하였다.", |
|
"아이가 출생하면 돌로 머리를 눌러 납작하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 |
|
], |
|
"answer":"후.읍군.삼로 등이 하호를 통치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건의문이 결의된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n1. 외국인에게 의지하지 말고, 관.민이 힘을 합하여 전제 황권을 견고하게 할 것 \n2. 외국과의 이권에 관한 조약은 각 대신과 중추원 의장이 합동 날인하여 시행할 것 \n3. 국가 재정은 탁지부에서 전관하고, 예산과 결산을 국민에게 공포할 것 \n4. 중대 범죄를 공판하되, 피고의 인권을 존중할 것 \n5. 칙임관을 임명할 때에는 정부의 자문을 받아 다수의 의견에 따를 것 \n6. 정해진 규정을 실천할 것", |
|
"choices":[ |
|
"서재필을 중심으로 민중 계몽을 위한 독립신문이 창간되었다.", |
|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었다.", |
|
"황제권 강화 작업의 일환으로 원수부가 설치되었다.", |
|
"군국기무처를 중심으로 개혁이 추진되었다." |
|
], |
|
"answer":"황제권 강화 작업의 일환으로 원수부가 설치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기구’가 설치된 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n조정은 중국의 화약 제조 기술을 터득하여 '이 기구'를 두고, 대장군포를 비롯한 20여 종의 화기를 생산하였으며, 화약과 화포를 제작하였다.", |
|
"choices":[ |
|
"복원궁을 건립하여 도교를 부흥시켰다.", |
|
"흥덕사에서 직지심체요절을 간행하였다.", |
|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속장경을 간행하였다.", |
|
"시무 28조를 수용하여 유교정치를 구현하였다." |
|
], |
|
"answer":"흥덕사에서 직지심체요절을 간행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갑신정변 이후 국내외 정세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독일 부영사 부들러는 조선의 영세 중립국화를 건의하였다.", |
|
"러시아의 남하정책에 대응하여 영국 함대가 거문도를 불법 점령하였다.", |
|
"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여 청나라 상인에게 통상 특혜를 허용하였다.", |
|
"청.일 양국 군대가 조선에서 철수하는 것 등을 내용으로 하는 톈진조약이 체결되었다." |
|
], |
|
"answer":"조.청 상민수륙무역장정을 체결하여 청나라 상인에게 통상 특혜를 허용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독도가 우리나라 영토임을 입증하는 근거로만 옳게 짝지어진 것은?", |
|
"choices":[ |
|
"이범윤의 보고문 - 은주시청합기", |
|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 삼국접양지도", |
|
"미쓰야 협정 - 시마네 현 고시 제40호", |
|
"조선국교제시말내탐서 - 어윤중의 서북경략사 임명장" |
|
], |
|
"answer":"대한제국 칙령 제41호 - 삼국접양지도" |
|
}, |
|
|
|
{ |
|
"id":"PSE_history_17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에서 설명하는 화폐가 사용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은 것은? \n초기에는 은 1근으로 우리나라 지형을 본떠 만들었는데 그 가치는 포목 100필에 해당하는 고액이었다. 주로 외국과의 교역에 사용되었으며 후에 은의 조달이 힘들어지고 동을 혼합한 위조가 성행하자, 크기를 축소한 소은병을 만들었다.", |
|
"choices":[ |
|
"청해진이 설치되어 무역권을 장악하였다.", |
|
"동시전이 설치되어 시장을 감독하였다.", |
|
"책, 차 등을 파는 관영상점을 두었다.", |
|
"이앙법이 전국적으로 보급되었다." |
|
], |
|
"answer":"책, 차 등을 파는 관영상점을 두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그'는 이성계를 추대하여 조선 왕조를 개창한 공으로 개국 1등 공신이 되었으며, 의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재상 중심의 관료정치를 주창하였다. 그리고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교의 사회적 폐단을 비판하였다.", |
|
"choices":[ |
|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 섬을 정벌하였다.", |
|
"백성들의 윤리서인 삼강행실도를 편찬하였다.", |
|
"여진족을 두만강 밖으로 몰아내고 6진을 개척하였다.", |
|
"조선경국전을 편찬하여 왕조의 통치 규범을 마련하였다." |
|
], |
|
"answer":"조선경국전을 편찬하여 왕조의 통치 규범을 마련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곳’에서 전개된 민족운동으로 옳은 것은? \n1903년에 우리나라 공식 이민단이 '이곳'에 도착하였다. 이주 노동자들은 사탕수수 농장, 개간 사업장, 철도 공사장 등에서 일하며 한인 사회를 형성하여 갔다. 노동 이민과 함께 사진 결혼에 의한 부녀자들의 이민도 이루어졌다. 또한 한인합성협회 등과 같은 한인 단체가 결성되었다.", |
|
"choices":[ |
|
"독립운동 기지인 한흥동이 건설되었다.", |
|
"독립운동 단체인 권업회가 조직되었다.", |
|
"자치 기관인 경학사와 부민단이 만들어졌다.", |
|
"군사 양성 기관인 대조선 국민군단이 창설되었다." |
|
], |
|
"answer":"군사 양성 기관인 대조선 국민군단이 창설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과 같이 주장한 조선후기의 실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천체가 운행하는 것이나 지구가 자전하는 것은 그 세가 동일하니, 분리해서 설명할 필요가 없다. 생각건대 9만 리의 둘레를 한 바퀴 도는 데 이처럼 빠르며, 저 별들과 지구와의 거리는 겨우 반경(半徑)밖에 되지 않는데도 오히려 몇 천만 억의 별들이 있는지 알 수가 없다. 하물며 은하계 밖에도 또 다른 별들이 있지 않겠는가!", |
|
"choices":[ |
|
"우서에서 상업적 경영을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
"반계수록에서 신분에 따라 토지를 차등 있게 재분배하자고 주장하였다.", |
|
"임하경륜에서 성인 남자에게 2결의 토지를 나누어 주자고 주장하였다.", |
|
"북학의에서 소비를 권장하여 생산을 촉진하자고 주장하였다." |
|
], |
|
"answer":"임하경륜에서 성인 남자에게 2결의 토지를 나누어 주자고 주장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조칙이 발표된 이후의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n≪관보≫ 호외 짐이 생각건대 쓸데없는 비용을 절약하여 이용후생에 응용함이 급무라. 현재 군대는 용병으로서 상하의 일치와 국가 안전을 지키는 방위에 부족한지라. 훗날 징병법을 발표하여 공고한 병력을 구비할 때까지 황실시위에 필요한 자를 빼고 모두 일시에 해산하노라. \n<보기> \nㄱ. 신돌석과 같은 평민 출신의 의병장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nㄴ. 단발령의 실시로 위정척사 사상에 바탕을 둔 의병 운동이 시작되었다. \nㄷ. 연합 의병 부대인 13도 창의군이 결성되어 서울 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nㄹ. 일본군의 ‘남한 대토벌 작전’으로 의병 부대의 근거지가 초토화되었다.", |
|
"choices":[ |
|
"ㄱ, ㄴ", |
|
"ㄱ, ㄹ", |
|
"ㄴ, ㄷ", |
|
"ㄷ, ㄹ" |
|
], |
|
"answer":"ㄷ, ㄹ" |
|
}, |
|
|
|
{ |
|
"id":"PSE_history_17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국권이 침탈되기까지의 과정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nㄱ. 헤이그 특사 파견을 문제 삼아 고종 황제를 강제로 퇴위시켰다. \nㄴ. 일본인 메가타를 재정 고문으로, 미국인 스티븐스를 외교 고문으로 임명하도록 하였다. \nㄷ. 대한제국의 사법권을 빼앗고 감옥 사무를 장악하였다. \nㄹ. 통감이 추천한 일본인을 대한제국의 관리로 임명하도록 하였다.", |
|
"choices":[ |
|
"ㄱ → ㄴ → ㄷ → ㄹ", |
|
"ㄴ → ㄱ → ㄹ → ㄷ", |
|
"ㄴ → ㄷ → ㄱ → ㄹ", |
|
"ㄹ → ㄴ → ㄱ → ㄷ" |
|
], |
|
"answer":"ㄴ → ㄱ → ㄹ → ㄷ" |
|
}, |
|
|
|
{ |
|
"id":"PSE_history_17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의 자료에 보이는 시기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황해도 관찰사의 보고에 따르면, 수안군에는 본래 금광이 다섯 곳이 있었다. 올해 여름에 새로 39개소의 금혈을 뚫었는데, 550여 명의 광꾼들이 모여들었다. 도내의 무뢰배들이 농사를 짓지 않고 다투어 모여들 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에서 이익을 좇는 무리들도 소문을 듣고 몰려온다. … (중략) … 금점을 설치한 지 이미 여러 해가 된 곳에는 촌락이 즐비하고 상인들이 물품을 유통시켜 큰 도회지를 이루고 있다.", |
|
"choices":[ |
|
"개간을 장려하기 위해 사패전을 부농층에 분급하였다.", |
|
"일부 지방에서 도조법으로 지대를 납부하였다.", |
|
"면화, 담배 등 상품 작물을 재배하였다.", |
|
"밭농사에서는 견종법이 보급되었다." |
|
], |
|
"answer":"개간을 장려하기 위해 사패전을 부농층에 분급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신(臣)들이 서경의 임원역 지세를 관찰하니, 이곳이 곧 음양가들이 말하는 매우 좋은 터입니다. 만약 궁궐을 지어서 거처하면 천하를 병합할 수 있고, 금나라가 폐백을 가지고 와 스스로 항복할 것이며, 36국이 모두 신하가 될 것입니다.", |
|
"choices":[ |
|
"서경 천도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 |
|
"문종 때 남경 설치의 배경이 되었다.", |
|
"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의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
|
"공민왕과 우왕 때 한양 천도 주장의 근거가 되었다." |
|
], |
|
"answer":"하늘에 제사 지내는 초제의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주장을 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계급투쟁은 민족의 내부 분열을 초래할 것이며, 민족의 내쟁은 필연적으로 민족의 약화에 따르는 다른 민족으로부터의 수모를 초래할 것이다. 계급투쟁의 길은 우리가 반드시 취해야 할 필요는 없고, 민족 균등이 실현되는 날 그것은 자연 해소되는 문제다. … (중략) … 이 세계적 기운과 민족적 요청에서 민족사관은 출발하는 것이며, 민족사는 그 향로와 방법을 명백하게 과학적으로 지시하여야 할 것이다. - 조선민족사 개론 -", |
|
"choices":[ |
|
"조선상고사와 조선사연구초를 저술하였다.", |
|
"대동사상을 수용한 유교 구신론을 주장하였다.", |
|
"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학회의 발기인으로 활동하였다.", |
|
"「5천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글을 동아일보에 연재하였다." |
|
], |
|
"answer":"진단학보를 발간한 진단학회의 발기인으로 활동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7_1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려시대 의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청천강변에 위치하며 도호부가 설치된 곳이다.", |
|
"강동 6주 가운데 하나인 흥화진이 있던 곳이다.", |
|
"요(遼)와 물품을 거래하던 각장이 설치된 곳이다.", |
|
"요(遼)와 금(金)의 분쟁을 이용하여 회복하려고 시도한 곳이다." |
|
], |
|
"answer":"청천강변에 위치하며 도호부가 설치된 곳이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시대별 지방 행정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통일신라-촌의 행정은 촌주가 담당하였다.", |
|
"발해-전국 330여 개의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였다.", |
|
"고려-촌락 지배 방식으로 면리제가 확립되었다.", |
|
"조선-향리 통제를 위하여 사심관을 파견하였다." |
|
], |
|
"answer":"통일신라-촌의 행정은 촌주가 담당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갑)과 (을)의 담판 이후에 있었던 (을)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n(갑) 그대 나라는 신라 땅에서 일어났고 고구려 땅은 우리의 소유인데 그대들이 침범했다. \n(을) 아니다. 우리야말로 고구려를 이은 나라이다. 그래서 나라 이름도 고려라 했고, 평양에 도읍하였다. 만일 땅의 경계로 논한다면 그대 나라 동경도 모두 우리 강역에 들어 있는 것인데 어찌 침범이라 하겠는가.", |
|
"choices":[ |
|
"9성 설치", |
|
"귀주 대첩", |
|
"강동 6주 경략", |
|
"천리장성 축조" |
|
], |
|
"answer":"귀주 대첩" |
|
}, |
|
|
|
{ |
|
"id":"PSE_history_18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의 결과에 해당하는 사실로 옳은 것은? \n(영락) 6년 병신(丙申)에 왕이 직접 수군을 이끌고 백제를 토벌하였다. (백제왕이) 우리 왕에게 항복하면서 “지금 이후로는 영원히 노객(奴客)이 되겠습니다.”라고 맹세하였다. …(중략)… ㉠10년 경자(庚子)에 왕이 보병과 기병 5만 명을 보내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
|
"choices":[ |
|
"고구려가 신라 내정간섭을 강화하였다.", |
|
"백제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
|
"신라가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성왕을 살해하였다.", |
|
"금관가야가 가야 지역의 중심 세력으로 대두하였다." |
|
], |
|
"answer":"고구려가 신라 내정간섭을 강화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와 (나)를 주장한 각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가) 우리는 남방만이라도 임시 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도선 이북에서 소련이 철퇴하도록 세계 공론에 호소해야 할 것이다. \n(나) 나는 통일된 조국을 달성하려다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신의 구차한 안일을 위하여 단독 정부를 세우는 데는 협력하지 아니하겠다.", |
|
"choices":[ |
|
"(가) -5.10 총선거에 불참하였다.", |
|
"(가) -좌우 합작 7원칙을 지지하였다.", |
|
"(나) -탁치 반대 국민 총동원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
|
"(나) -남조선 과도 입법 의원의 의장을 역임하였다." |
|
], |
|
"answer":"(나) -탁치 반대 국민 총동원 위원회를 조직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예전에 성종이 (가) 시행에 따르는 잡기가 정도(正道)에 어긋나는데다가 번거롭고 요란스럽다 하여 이를 모두 폐지 하였다. …(중략)…이것을폐지한지가거의 30년이나되었는데, 이때에 와서 정당문학 최항이 청하여 이를 부활시켰다.", |
|
"choices":[ |
|
"국제 교류의 장이었다.", |
|
"정월 보름에 개최되었다.", |
|
"토속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
|
"훈요 10조에서 시행할 것을 강조하였다." |
|
], |
|
"answer":"토속 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과 같이 주장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달은 하나이나 냇물의 갈래는 만 개가 된다. …(중략) … 나는 그 냇물이 세상 사람들이라는 것을 안다. 빛을 받아 비추어서 드러나는 것은 사람들의 상이다. 달이라는 것은 태극이요, 태극은 나이다.", |
|
"choices":[ |
|
"해동농서를 편찬하도록 하였다.", |
|
"갑인예송에서 왕권을 강조하며 기년복을 주장하였다.", |
|
"이순신에게 현충이라는 시호를 내리고강감찬 사당을 건립하였다.", |
|
"민간의 광산개발 참여를 허용하는설점수세제를 처음 실시하였다." |
|
], |
|
"answer":"해동농서를 편찬하도록 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국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n지금 '국왕'께서 풍속을 바꾸려는 데에 뜻이 있으므로 신은 지극하신 뜻을 받들어 완악한 풍속을 고치고자 합니다. …(중략) … 이륜행실(二倫行實)로 말하면 신이 전에 승지가 되었을 때에 간행할 것을 청했습니다. 삼강이 중한 것은 아무리 어리석은 부부라도 모두 알고 있으나, 붕우. 형제의 이륜에 이르러서는 평범한 사람들이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
|
"choices":[ |
|
"주세붕이 백운동 서원을 세웠다.", |
|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저술하였다.", |
|
"국조오례의가 편찬되고 동국여지승람이 만들어졌다.", |
|
"문화와 제도를 유교식으로 갖추기 위해 집현전을 창설하였다." |
|
], |
|
"answer":"주세붕이 백운동 서원을 세웠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의 법률에 근거하여 실시된 식민지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제4조 정부는 전시에 국가총동원상 필요하다고 인정될 때에는 칙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서 제국 신민을 징용하여 총동원 업무에 종사하도록 할 수 있다. 제7조 정부는 칙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노동 쟁의의 예방 혹은 해결에 관한 명령, 작업소 폐쇄, 작업 혹은 노무의 중지 …(중략) … 등을 명할 수 있다.", |
|
"choices":[ |
|
"물자통제령을 공포하여 배급제를 확대하였다.", |
|
"육군특별지원병령을 제정하여 지원병을 선발하였다.", |
|
"금속류회수령을 제정하여 주요 군수 물자를 공출하였다.", |
|
"국민징용령을 공포하여 강제적인 노무 동원을 실시하였다." |
|
], |
|
"answer":"금속류회수령을 제정하여 주요 군수 물자를 공출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기구가 존속한 시기의 사람들이 볼 수 있었던 사실로 적절한 것은? \n지주는 조선 총독이 정하는 기간 내에 (가) 혹은 그것의 출장소 직원에게 신고해야 한다. 만약 제출을 태만히 하거나 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을 시에는 당국에서 해당 토지에 대해 소유권의 유무 등을 조사하다가 소유자를 알지 못하는 경우에 지주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국유지로 편입할 수 있다.", |
|
"choices":[ |
|
"조선청년연합회에 출입하는 일본인 고문", |
|
"신문에 연재 중인 소설 무정을 읽는 학생", |
|
"연초 전매 제도에 따라 조합에 수매되는 담배", |
|
"의열단에 가입하는 신흥 무관 학교 출신 청년" |
|
], |
|
"answer":"신문에 연재 중인 소설 무정을 읽는 학생" |
|
}, |
|
|
|
{ |
|
"id":"PSE_history_18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1402년 제작된 '이 지도'는 조선 학자들에 의해 제작된 세계 지도이다. 권근의 글에 의하면 중국에서 수입한 ‘성교광피도’와 ‘혼일강리도’를 기초로 하고, 우리나라와 일본의 지도를 합해서 제작하였다고 한다.", |
|
"choices":[ |
|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까지 묘사하였다.", |
|
"중국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중화사상이 반영되었다.", |
|
"이 지도의 작성에는 이슬람 지도학의 영향이 있었다.", |
|
"우리나라에 해당하는 부분은 백리척을 사용하여 과학화에" |
|
], |
|
"answer":"우리나라에 해당하는 부분은 백리척을 사용하여 과학화에" |
|
}, |
|
|
|
{ |
|
"id":"PSE_history_18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n○ 왕 원년: 소판 김흠돌, 파진찬 흥원, 대아찬 진공 등이 반역을 도모하다가 사형을 당하였다. \n○ 왕 9년: 달구벌로 서울을 옮기려다 실현하지 못하였다. -삼국사기-", |
|
"choices":[ |
|
"사방에 우역을 설치하였다.", |
|
"수도에 서시와 남시를 설치하였다.", |
|
"국학을 설치하여 유학을 교육하였다.", |
|
"관료에게 지급하는 녹읍을 부활하였다." |
|
], |
|
"answer":"수도에 서시와 남시를 설치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발해사에 대한 중국과 러시아 입장이다. 한국사의 입장에서 이를 반박하는 증거로 적절한 것은? \n○ 중국: 소수 민족 지역의 분리 독립 의식을 약화시키려고, 국가라기보다는 당 왕조에 예속된 지방 민족 정권 차원에서 본다. \n○ 러시아: 중국 문화보다는 중앙 아시아나 남부 시베리아의 영향을 강조하여 러시아의 역사에 편입시키려 한다.", |
|
"choices":[ |
|
"신라와의 교통로", |
|
"상경성 출토 온돌 장치", |
|
"유학 교육 기관인 주자감", |
|
"3성 6부의 중앙 행정 조직" |
|
], |
|
"answer":"상경성 출토 온돌 장치" |
|
}, |
|
|
|
{ |
|
"id":"PSE_history_18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신라 문무왕의 유언이다. 다음 글의 ㉠~㉣의 내용과 부합하지 않는 것은? \n과인은 운수가 어지럽고 전쟁을 하여야 하는 때를 만나서 ㉠ 서쪽을 정벌하고 ㉡북쪽을 토벌하여 영토를 안정시켰고, ㉢배반하는 무리를 토벌하고 ㉣협조하는 무리를 불러들여 멀고 가까운 곳을 모두 안정시켰다. -삼국사기-", |
|
"choices":[ |
|
"㉠-태자로서 참전하여 백제를 멸망시켰다.", |
|
"㉡-당나라 군대와 함께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
|
"㉢-백제 부흥 운동을 주도한 복신을 공격하였다.", |
|
"㉣-임존성에서 저항하던 지수신의 투항을 받아주었다." |
|
], |
|
"answer":"㉣-임존성에서 저항하던 지수신의 투항을 받아주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대한제국 시기에 설립된 어느 회사에 관한 내용이다. 다음 글의 ‘이 회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 이 회사의 고금(股金, 주권)은 액면 50원씩이고, 총 1천만 원을 발행하고, 주당 불입금은 5년간 총 10회 5원씩 나눠서 낸다. \n○ 이 회사는 국내 진황지 개간, 관개 사무와 산림천택 (山林川澤), 식양채벌(殖養採伐) 등의 사무 이외에 금. 은.동.철.석유 등의 각종 채굴 사무에 종사한다.", |
|
"choices":[ |
|
"종로의 백목전 상인이 주도가 된 직조 회사였다.", |
|
"역둔토나 국유 미간지를 약탈하려는 국책 회사였다.", |
|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대응하여 설립된 특허 회사였다.", |
|
"외국 상인과의 상권 경쟁을 위해 시전 상인이 만든 척식" |
|
], |
|
"answer":"역둔토나 국유 미간지를 약탈하려는 국책 회사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성리학의 학설이나 동향을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nㄱ. 현실세계를구성하는기를중시하여경장(更張)을주장하였다. \nㄴ. 우주를 무한하고 영원한 기로 보는 ‘태허(太虛)설’을 제기하였다. \nㄷ. 정지운의 천명도 해석을 둘러싸고 사단칠정 논쟁이 시작되었다. \nㄹ. 향약 보급 운동과 함께 일상에서의 실천 윤리가 담긴 소학을 중시하였다.", |
|
"choices":[ |
|
"ㄴ→ㄱ→ㄹ→ㄷ", |
|
"ㄴ→ㄹ→ㄱ→ㄷ", |
|
"ㄹ→ㄴ→ㄷ→ㄱ", |
|
"ㄹ→ㄷ→ㄴ→ㄱ" |
|
], |
|
"answer":"ㄹ→ㄴ→ㄷ→ㄱ" |
|
}, |
|
|
|
{ |
|
"id":"PSE_history_18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일제강점기 조선인의 생활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도시 외곽의 토막촌에는 빈민이 살았다.", |
|
"번화가에서 최신 유행의 모던걸과 모던보이가 활동하였다.", |
|
"몸뻬를 입은 여성들이 근로보국대에서 강제 노동을 하였다.", |
|
"상류층이 한식 주택을 2층으로 개량한 영단 주택에 모여" |
|
], |
|
"answer":"상류층이 한식 주택을 2층으로 개량한 영단 주택에 모여" |
|
}, |
|
|
|
{ |
|
"id":"PSE_history_18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와 (나)는 외국과 맺은 각서이다. 두 각서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n(가) 일본 측은 한국 측에 무상원조 3억 달러, 유상원조 (해외경제협력기금) 2억 달러, 그리고 수출입은행 차관 1억 달러 이상을 제공한다. \n(나) 미국 정부가 한국과 약속했던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차관 공여와 더불어 …(중략) … 한국의 경제 발전을 돕기 위한 추가 AID차관을 제공한다.", |
|
"choices":[ |
|
"경부 고속 국도가 개통되었다.", |
|
"마산에 수출 자유 지역이 건설되었다.", |
|
"국가 기간 산업인 울산 정유 공장이 가동되었다.", |
|
"유엔의 지원으로 충주에 비료 공장을 설립하였다." |
|
], |
|
"answer":"마산에 수출 자유 지역이 건설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8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고려시대 진화의 시이다. 이 시인과 교류를 통해 자부심을 공유한 인물의 작품은? \n서쪽 송나라는 이미 기울고 북쪽 오랑캐는 아직 잠자고 있네. 앉아서 문명의 아침을 기다려라, 하늘의 동쪽에서 태양이 떠오르네.", |
|
"choices":[ |
|
"삼국사기", |
|
"동명왕편", |
|
"제왕운기", |
|
"삼국유사" |
|
], |
|
"answer":"동명왕편" |
|
}, |
|
|
|
{ |
|
"id":"PSE_history_18_1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해외 견문 기록을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nㄱ. 표해록 \nㄴ. \n열하일기 \nㄷ. 서유견문 \nㄹ. 해동제국기", |
|
"choices":[ |
|
"ㄱ→ㄴ→ㄹ→ㄷ", |
|
"ㄱ→ㄹ→ㄷ→ㄴ", |
|
"ㄹ→ㄱ→ㄴ→ㄷ", |
|
"ㄹ→ㄷ→ㄱ→ㄴ" |
|
], |
|
"answer":"ㄹ→ㄱ→ㄴ→ㄷ" |
|
}, |
|
|
|
{ |
|
"id":"PSE_history_19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연천 전곡리에서는 사냥도구인 주먹도끼가 출토되었다.", |
|
"창원 다호리에서는 문자를 적는 붓이 출토되었다.", |
|
"강화 부근리에서는 탁자식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
|
"서울 암사동에서는 곡물을 담는 빗살무늬토기가 나왔다." |
|
], |
|
"answer":"강화 부근리에서는 탁자식 고인돌이 발견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나)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가) 음력 12월에 지내는 제천행사가 있는데, 이를 영고라고 한다. 이때에는 형옥을 중단하고 죄수를 풀어 주었다. \n(나) 해마다 10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술마시며 노래부르고 춤추니 이를 무천이라고 한다. - 삼국지 -", |
|
"choices":[ |
|
"(가) - 5부가 있었으며, 계루부에서 왕위를 차지하였다.", |
|
"(가) - 정치적 지배자로 신지, 읍차 등이 있었다.", |
|
"(나) - 죄를 지은 사람이 소도에 들어가면 잡아가지 못하였다.", |
|
"(나) -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책화라 하여 노비나 소, 말로 변상하였다." |
|
], |
|
"answer":"(나) - 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책화라 하여 노비나 소, 말로 변상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왕의 시기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n이자겸, 척준경이 말하기를 “금이 예전에는 작은 나라여서 요와 우리나라를 섬겼으나, 지금은 갑자기 흥성하여 요와 송을 멸망시켰다. … (중략) … 작은 나라로서 큰 나라를 섬기는 것은 선왕의 도이니, 마땅히 우선 사절을 보내야 합니다.”라고 하니 (가) \/가 그 의견을 따랐다. - 고려사 -", |
|
"choices":[ |
|
"도평의사사를 중심으로 정치를 주도하였다.", |
|
"성리학을 수용하면서 주자가례를 보급하였다.", |
|
"서경에 대화궁을 짓게 하고 칭제건원을 주장하였다.", |
|
"몽골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해 강화도로 도읍을 옮겼다." |
|
], |
|
"answer":"서경에 대화궁을 짓게 하고 칭제건원을 주장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n상쾌한 아침의 나라라는 뜻을 지닌 조선은 일본의 총칼 아래 민족정신을 무참하게 유린당했다. … (중략) … 조선민족은 독립항쟁을 줄기차게 계속하였다. 그 중에서도 중요한 것은 ㉠ 1919년의 독립만세운동이었다. - 네루, 세계사 편력 -", |
|
"choices":[ |
|
"‘암태도 소작쟁의’가 일어났다.", |
|
"‘정우회 선언’이 발표되었다.", |
|
"임병찬이 독립의군부를 조직하였다.", |
|
"조선 민립대학 기성회가 창립되었다." |
|
], |
|
"answer":"임병찬이 독립의군부를 조직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성상(聖上)’대에 편찬된 서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세조가 신하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법의 과목(科目)이 너무 번잡하고 앞뒤가 맞지 않았기 때문에 상세히 살펴 다듬어 자손만대의 성법(成法)을 만들고자 한다.”라고 하셨다. 「형전(刑典)」과 「호전(戶典)」은 이미 반포되어 시행하고 있으나 나머지 네 법전은 미처 교정을 마치지 못했다. 이에 성상(聖上)께서 세조의 뜻을 받들어 여섯 권의 법전을 완성하게 하여 중외에 반포하셨다.", |
|
"choices":[ |
|
"동국병감은 고조선에서 고려말까지의 전쟁을 정리한 병서이다.", |
|
"동몽선습은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담은 아동교육서이다.", |
|
"삼강행실도는 모범적인 효자.충신.열녀를 다룬 윤리서이다.", |
|
"국조오례의는 국가의 여러 행사에 필요한 의례를 정비한 의례서이다." |
|
], |
|
"answer":"국조오례의는 국가의 여러 행사에 필요한 의례를 정비한 의례서이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비로소 직관(職官).산관(散官) 각 품(品)의 (가) \/를 제정하였는데, 관품의 높고 낮은 것은 논하지 않고 다만 인품만 가지고 그 등급을 결정하였다. - 고려사 -", |
|
"choices":[ |
|
"4색 공복을 기준으로 문반, 무반, 잡업으로 나누어 지급 결수를 정하였다.", |
|
"산관이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었으며 무반의 차별 대우가 개선되었다.", |
|
"전임 관료와 현임 관료를 대상으로 경기지방에 한하여 지급하였다.", |
|
"고려의 건국과정에서 충성도와 공로에 따라 차등 지급되었다." |
|
], |
|
"answer":"4색 공복을 기준으로 문반, 무반, 잡업으로 나누어 지급 결수를 정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역사적 사건이 연도 순으로 배열된 것이다. (가), (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을미사변 발발 ->(가) -> 을사조약 강제 체결 -> (나)-> 13도 창의군 서울진공작전 전개", |
|
"choices":[ |
|
"(가) - 시전상인을 중심으로 황국중앙총상회가 조직되었다.", |
|
"(가) - 신민회는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으로 와해되었다.", |
|
"(나) - 함경도 관찰사 조병식이 곡물 수출을 막는 방곡령을 내렸다.", |
|
"(나) -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를 반대하기 위해 보안회가 창설되었다." |
|
], |
|
"answer":"(가) - 시전상인을 중심으로 황국중앙총상회가 조직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왕대의 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가) 은\/는 흑수말갈이 당과 통하려고 하자 군사를 동원하여 흑수말갈을 치게 하였다. 또한 일본에 사신 고제덕 등을 보내 “여러 나라를 관장하고 여러 번(蕃)을 거느리며,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고 부여의 옛 습속을 지니고 있다.”라고 하여 강국임을 자부하였다.", |
|
"choices":[ |
|
"국호를 진국에서 발해로 바꾸었다.", |
|
"신라는 급찬 숭정을 발해에 사신으로 보냈다.", |
|
"대흥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
|
"장문휴가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
|
], |
|
"answer":"장문휴가 당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전투를 이끈 한국인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아군은 사도하자에 주둔 병력을 증강시키면서 훈련에 여념이 없었다. 새벽에 적군은 황가둔에서 이도하 방면을 거쳐 사도하로 진격하여 왔다. 그런데 적군은 아군이 세운 작전대로 함정에 들어왔고, 이에 일제히 포문을 열어 급습함으로써 적군은 응전할 사이도 없이 격파되었다.", |
|
"choices":[ |
|
"양세봉이 총사령관이었다.", |
|
"미쓰야 협정이 체결되기 직전까지 활약하였다.", |
|
"한국독립당의 산하부대로 동경성 전투도 수행하였다.", |
|
"조선민족전선연맹이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창설하였다." |
|
], |
|
"answer":"한국독립당의 산하부대로 동경성 전투도 수행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의 ㉠ ~ ㉣과 관련된 임란 이후 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 ㉠ 서울 안팎과 번화한 큰 도시에 파.마늘.배추.오이 밭 따위는 10묘의 땅에서 얻은 수확이 돈 수만을 헤아리게 된다. \n서도 지방의 ㉡ 담배 밭, 북도 지방의 삼밭, 한산의 모시밭, 전주의 생강 밭, 강진의 ㉢ 고구마 밭, 황주의 지황 밭에서의 수확은 모두 상상등전(上上等田)의 논에서 나는 수확보다 그 이익이 10배에 이른다. \n○ 작은 보습으로 이랑에다 고랑을 내는데, 너비 1척, 깊이 1척이다. 이렇게 한 이랑, 즉 1묘 마다 고랑 3개와 두둑 3개를 만들면, 두둑의 높이와 너비는 고랑의 깊이와 너비와 같아진다. \n그 뒤 ㉣ 고랑에 거름 재를 두껍게 펴고, 구멍 뚫린 박에 조를 담고서 파종한다.", |
|
"choices":[ |
|
"㉠ - 신해통공을 반포하여 육의전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
|
"㉡ - 인삼과 더불어 대표적인 상업작물로 재배되었다.", |
|
"㉢ - 감저보, 감저신보에서 재배법을 기술하였다.", |
|
"㉣ - 밭농사에서 농업 생산력의 발전을 가져온 농법이었다." |
|
], |
|
"answer":"㉠ - 신해통공을 반포하여 육의전의 금난전권을 폐지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단군에 대한 인식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이승휴의 제왕운기에서는 우리 역사를 단군부터 서술하였다.", |
|
"홍만종의 동국역대총목은 단군 정통론의 입장에서 기술하였다.", |
|
"이규보의 「동명왕편」은 단군의 건국 과정을 다루고 있다.", |
|
"「기미독립선언서」에는 ‘조선건국 4252년’으로 연도를 표기하였다." |
|
], |
|
"answer":"이규보의 「동명왕편」은 단군의 건국 과정을 다루고 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내용이 실린 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제왕이 장차 일어날 때는 하늘의 명령과 상서로운 기운을 받아서 반드시 보통 사람과는 다른 점이 있으니, 그런 뒤에야 능히 큰 변화를 타서 제왕의 지위를 얻고 대업을 이루었다. … (중략) … 삼국의 시조들이 모두 신이(神異)한 일로 탄생했음이 어찌 괴이하겠는가. 이것이 책 첫머리에 「기이(紀異)」편이 실린 까닭이며, 그 의도도 여기에 있는 것이다.", |
|
"choices":[ |
|
"불교 승려의 전기를 수록한 고승전이다.", |
|
"불교 중심의 고대 민간 설화를 수록하였다.", |
|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
|
"유교적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서술하였다." |
|
], |
|
"answer":"불교 중심의 고대 민간 설화를 수록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의 체결 이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n청군과 일본군의 개입으로 사태가 악화되자 농민군은 폐정개혁을 제시하며 정부와 (가) 을\/를 맺었다. 이에 따라 농민군은 해산하였다.", |
|
"choices":[ |
|
"농민군이 황토현에서 감영군을 격파하였다.", |
|
"고부군수 조병갑이 만석보를 쌓아 수세를 강제로 거두었다.", |
|
"안핵사 이용태가 농민을 동학도로 몰아 처벌하였다.", |
|
"남접군과 북접군이 논산에서 합류하여 연합군을 형성하였다." |
|
], |
|
"answer":"남접군과 북접군이 논산에서 합류하여 연합군을 형성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역사적 사건이 연도 순으로 배열된 것이다.(가) 시기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국호 '신라'확정,\n9주 5소경 설치,\n(가),\n대공의 난 발발,\n독서 삼품과 실시", |
|
"choices":[ |
|
"백성에게 정전을 처음으로 지급하였다.", |
|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인 동시전을 신설하였다.", |
|
"백성의 구휼을 위하여 진대법을 제정하였다.", |
|
"청주(菁州)의 거로현을 국학생의 녹읍으로 삼았다." |
|
], |
|
"answer":"백성에게 정전을 처음으로 지급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우리나라 문화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개성 경천사지 10층 석탑은 원의 석탑을 본떠 만들어졌다.", |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은 주심포식 목조 건물이다.", |
|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에서는 백제 무왕의 왕후가 넣은 사리기가 발견되었다.", |
|
"김제 금산사 미륵전은 다층 건물이나 내부가 하나로 통한다." |
|
], |
|
"answer":"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에서는 백제 무왕의 왕후가 넣은 사리기가 발견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교육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주세붕이 비로소 (가) 을\/를 창건할 적에 세상에서 자못 의심했으나, 그의 뜻은 더욱 독실해져 무리들의 비웃음을 무릅쓰고 비방을 극복하여 전례 없던 장한 일을 이루었습니다. … (중략) … 최충, 우탁, 정몽주, 길재, 김종직, 김굉필 같은 이가 살던 곳에 (가) 을\/를 건립하게 될 것입니다. - 퇴계집 -", |
|
"choices":[ |
|
"지방의 군현에 있던 유일한 관학이다.", |
|
"선비와 평민의 자제에게 천자문 등을 가르쳤다.", |
|
"성적 우수자는 문과의 초시를 면제해 주었다.", |
|
"학문 연구와 선현의 제사를 위해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이다." |
|
], |
|
"answer":"학문 연구와 선현의 제사를 위해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이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나)가 설명하는 조약을 옳게 짝 지은 것은? \n(가) 강화도 조약에 이어 몇 달 뒤 체결되었다. 양곡의 무제한 유출을 가능하게 한 규정과 일본정부에 소속된 선박은 항세를 납부하지 않는다는 규정이 들어 있었다. \n(나) 김홍집이 일본에서 황준헌의 조선책략을 가져 오면서 그 내용의 영향으로 체결되었으며, 청의 적극적인 알선이 있었다. 거중조정 조항과 최혜국 대우의 규정이 포함되어 있었다.", |
|
"choices":[ |
|
"(가)조.일무역규칙, (나)조.미수호통상조약", |
|
"(가)조.일무역규칙, (나)조.러수호통상조약", |
|
"(가)조.일수호조규부록, (나)조.미수호통상조약", |
|
"(가)조.일수호조규부록, (나)조.러수호통상조약" |
|
], |
|
"answer":"(가)조.일무역규칙, (나)조.미수호통상조약" |
|
}, |
|
|
|
{ |
|
"id":"PSE_history_19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어떤 인물에 대한 연보이다. ㉠ ~ ㉣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n1566년(31세) ㉠ 사간원 정언에 제수되다. \n1568년(33세 ㉡ 이조좌랑이 되었으나 외할머니 이씨의 병환 소식을 듣고 사퇴하다. \n1569년(34세) 동호독서당에 머물면서 동호문답을 찬진하다. \n1574년(39세) ㉢ 승정원 우부승지에 제수되어 「만언봉사」를 올리다. \n1575년(40세) ㉣ 홍문관 부제학에서 사퇴하고 성학집요를 편찬하다.", |
|
"choices":[ |
|
"㉠ - 왕명을 출납하면서 왕의 비서기관의 업무를 하였다.", |
|
"㉡ - 삼사의 관리를 추천하는 권한이 있었다.", |
|
"㉢ - 왕의 정책을 간쟁하고 관원의 비행을 감찰하였다.", |
|
"㉣ - 서적 출판 및 간행의 업무를 전담하였다." |
|
], |
|
"answer":"㉡ - 삼사의 관리를 추천하는 권한이 있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1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저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무릇 동양의 수천 년 교화계(敎化界)에서 바르고 순수하며 광대 정밀하여 많은 성현들이 전해주고 밝혀 준 유교가 끝내 인도의 불교와 서양의 기독교와 같이 세계에 큰 발전을 하지 못함은 어째서이며 … (중략) … 유교계에 3대 문제가 있는지라. 그 3대 문제에 대하여 개량하고 구신(求新)을 하지 않으면 우리 유교는 흥왕할 수가 없을 것이다.", |
|
"choices":[ |
|
"‘조선얼’을 강조하며 ‘조선학 운동’을 펼쳤다.", |
|
"‘나라는 형(形)이고 역사는 신(神)’이라고 주장하였다.", |
|
"주석.부주석 체제하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주석을 역임하였다.", |
|
"「독사신론」에서 민족을 역사서술의 주체로 설정하고 사대주의를 비판하였다." |
|
], |
|
"answer":"‘나라는 형(形)이고 역사는 신(神)’이라고 주장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19_2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 (라)를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n(가) 좌우합작 7원칙이 발표되었다. \n(나)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가 결성되었다. \n(다)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가 개최되었다. \n(라) 김구와 김규식이 남북협상을 제의하였다.", |
|
"choices":[ |
|
"(나) → (가) → (라) → (다)", |
|
"(나) → (다) → (가) → (라)", |
|
"(다) → (가) → (나) → (라)", |
|
"(다) → (나) → (가) → (라)" |
|
], |
|
"answer":"(나) → (다) → (가) → (라)" |
|
}, |
|
|
|
{ |
|
"id":"PSE_history_20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시기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1935년 두만강 가의 함경북도 종성군 동관진에서 한반도 최초로 (가) 시대 유물인 석기와 골각기 등이 발견되었다. 발견 당시 일본에서는 (가) 시대 유물이 출토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
|
"choices":[ |
|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벼를 수확하였다.", |
|
"넓적한 돌 갈판에 옥수수를 갈아서 먹었다.", |
|
"사냥이나 물고기잡이 등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
|
"영혼 숭배 사상이 있어 사람이 죽으면 흙 그릇 안에 매장하였다." |
|
], |
|
"answer":"사냥이나 물고기잡이 등을 통해 식량을 얻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신종 원년 사노비 만적 등이 북산에서 땔나무를 하다가 공사의 노비들을 모아 모의하기를, \"우리가 성 안에서 봉기하여 먼저 (가) 등을 죽인다. 이어서 각각 자신의 주인을 죽이고 천적을 불태워 삼한에서 천민을 없게 하자. 그러면 공경장상이라도 우리가 모두 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
|
"choices":[ |
|
"정방을 설치하여 인사권을 장악하였다.", |
|
"치안유지를 위해 야별초를 설립하였다.", |
|
"이의방을 제거하고 권력을 장악하였다.", |
|
"봉사십조를 올려 사회개혁안을 제시하였다." |
|
], |
|
"answer":"봉사십조를 올려 사회개혁안을 제시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전기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어우야담」을 비롯한 야담 잡기류가 성행하였다.", |
|
"유서( 촘촘)로 불리는 백과사전이 널리 편찬되었다.", |
|
"「동문선」이 편찬되어 우리 문학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
"중인층을 중심으로 시사가 결성되어 문학 활동을 벌였다." |
|
], |
|
"answer":"「동문선」이 편찬되어 우리 문학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자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군신, 부자, 부부, 붕우, 장유의 윤리는 인간의 본성에 부여된 것으로서 천지를 통하는 만고불변의 이치이고,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도가 됩니다. 이에 대해 배, 수레, 군사, 농사, 기계가 국민에게 편리하고 나라에 이롭게 하는 것은 외형적인 것으로서 기가 됩니다. 신이 변혁을 꾀하고자 하는 것은 기 도가 아닙니다.", |
|
"choices":[ |
|
"왜양일체론을 주장하였다.", |
|
"근대 문물 수용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
"갑신정변 주도 세력의 견해를 대변하였다.", |
|
"우등한 사회가 열등한 사회를 지배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았다." |
|
], |
|
"answer":"근대 문물 수용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에 들어갈 기관으로 옳은 것은? \n5월에 조서를 내리기를 \"개경 내의 사람들이 역질에 걸렸으니 마땅히 (가) 을\/를 설치하여 이들을 치료하고, 또한 시신과 유골은 거두어 묻어서 비바람에 드러나지 않게 할 것이며, 신하를 보내어 동북도와 서남도의 굶주린 백성을 진휼하라.\"라고 하였다. - 「고려사」 -", |
|
"choices":[ |
|
"의창", |
|
"제위보", |
|
"혜민국", |
|
"구제도감" |
|
], |
|
"answer":"구제도감" |
|
}, |
|
|
|
{ |
|
"id":"PSE_history_20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장수왕은 군사 3만을 거느리고 백제를 침공하여 왕도인 '이 지역'을 함락시켜, 개로왕을 살해하고 남녀 8천 명을 사로잡아 갔다.", |
|
"choices":[ |
|
"망이, 망소이가 반란을 일으켰다.", |
|
"고려 문종 대에 남경이 설치되었다.", |
|
"보조국사 지눌이 수선사 결사를 주도하였다.", |
|
"고려 태조가 북진 정책의 전진 기지로 삼았다." |
|
], |
|
"answer":"고려 문종 대에 남경이 설치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사건이 일어난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n그들 조선군은 비상한 용기를 가지고 응전하면서 성벽에 올라 미군에게 돌을 던졌다. 창칼로 상대하는데 창칼이 없는 병사들은 맨손으로 흙을 쥐어 적군 눈에 뿌렸다. 모든 것을 각오하고 한 걸음 한 걸음 다가드는 적군에게 죽기로 싸우다 마침내 총애 맞아 죽거나 물에 빠져 죽었다.", |
|
"choices":[ |
|
"군포에 대한 양반들의 면세특권이 폐지되었다.", |
|
"금난전권을 제한하려는 통공정책이 시작되었다.", |
|
"결작세가 신설되면서 지주들의 부담이 증가하였다.", |
|
"영정법이 제정되어 복잡한 전세 방식이 일원화되었다." |
|
], |
|
"answer":"군포에 대한 양반들의 면세특권이 폐지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역사전 사건이 시대순으로 배열된 것이다. (가) ~ (라)에 해당하는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n낙랑군 축출,\n(가),\n광개토대왕릉비 건립,\n(나),\n살수 대첩 승리,\n(다)\n안시성전투 승리,\n(라),\n고구려 멸망", |
|
"choices":[ |
|
"(가) - 백제 침류왕이 불교를 받아들였다.", |
|
"(나) - 고구려 영양왕이 요서 지방을 선제공격하였다.", |
|
"(다) - 백제가 신라 대야성을 공격하여 함락시켰다.", |
|
"(라) - 신라가 매소성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
|
], |
|
"answer":"(라) - 신라가 매소성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신(토)이 '이 책'을 편수하여 바치는 것은 (중략)··· 중국은 반고부터 금국에 이르기까지, 동국은 단군으로부터 본조(조행)에 이르기까지 처음 일어나게 된 근원을 간책에서 다 찾아보아 같고 다른 것을 비교하여 요점을 취하고 읊조림에 따라 장을 이루었습니다.", |
|
"choices":[ |
|
"성리학적 유교 사관이 반영되어 대의명분을 강조하였다.", |
|
"국왕, 훈신, 사림이 서로 합의하여 동사체계를 구성하였다.", |
|
"원 간섭기에 중국과 구별되는 우리 역사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
"왕명으로 단군조선에서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노래 형식으로" |
|
], |
|
"answer":"원 간섭기에 중국과 구별되는 우리 역사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n나라 안의 여러 군현에서 공부를 바치지 않으니 창고가 비어 버리고 나라의 쓰임이 궁핍해졌다. '왕'이 사신을 보내어 독촉하자, 이로 말미암아 곳곳에서 도적이 벌떼처럼 일어났다. 이때 원종과 애노 등이 사벌주에 웅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
|
"choices":[ |
|
"발해가 멸망하였다.", |
|
"국학을 설치하였다.", |
|
"최치원이 시무책 10여 조를 건의하였다.", |
|
"장보고의 건의에 따라 청해진이 설치되었다." |
|
], |
|
"answer":"최치원이 시무책 10여 조를 건의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알 수 있는 자료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nㄱ. 일본의 은주시청합기(1667년) \nㄴ. 일본의 삼국접양지도(1785년) \nㄷ. 일본의 태정관 지령문(1877년) \nㄹ. 일본의 시마네현 고시(1905년)", |
|
"choices":[ |
|
"ㄱ,ㄴ,ㄷ,", |
|
"ㄱ,ㄴ,ㄹ", |
|
"ㄱ,ㄷ,ㄹ", |
|
"ㄴ,ㄷ,ㄹ" |
|
], |
|
"answer":"ㄱ,ㄴ,ㄷ," |
|
}, |
|
|
|
{ |
|
"id":"PSE_history_20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문화통치의 일환으로 한글 신문의 발행이 허용되었다. 이에 따라 (가) 이\/가 창간되었다. (가) 은\/는 자치운동을 모색하던 이광수의 「민족적 경륜」을 실어 비판받기도 하였으나,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일제로부터 정간 처분을 받기도 하였다.", |
|
"choices":[ |
|
"한글 보급 운동에 앞장서 「한글원본」을 만들었다.", |
|
"브나로드 운동이라는 농촌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
|
"「개벽」, 「신여성」, 「어린이」 등의 잡지를 발행하였다.", |
|
"신간회가 결성되자 신간회 본부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었다." |
|
], |
|
"answer":"브나로드 운동이라는 농촌 계몽 운동을 전개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김춘추가 당나라에 들어가 군사 20만을 요청해 얻고 돌아와서 (가) 을\/를 보며 말하기를, \"죽고 사는 것이 하늘의 뜻에 달렸는데, 살아 돌아와 다시 공과 만나게 되니 얼마나 다행한 일입니까?\"라고 하였다. 이에 (가) 이\/가 대답하기를, \"저는 나라의 위엄과 신령함에 의지하여 두 차례 백제와 크게 싸워 20 성을 빼앗고 3만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습니다. 그리고 품석 부부의 유골이 고향으로 되돌아왔으니 천행입니다.\"라고 하였다. 「삼국사기」 -", |
|
"choices":[ |
|
"황산벌에서 백제군을 물리쳤다.", |
|
"화랑이 지켜야 할 세속오계를 제시하였다.", |
|
"진덕여왕의 뒤를 이어 신라왕으로 즉위하였다.", |
|
"당에서 숙위 활동을 하다가 부대총관이 되어 신라로 돌아왔다." |
|
], |
|
"answer":"황산벌에서 백제군을 물리쳤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나) 신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오래도록 막혀 있으면 반드시 터놓아야 하고, 원한은 쌓이면 반드시 풀어야 하는 것이 하늘의 이치다. (가) 와\/과 (나) 에게 벼슬길이 막히게 된 것은 우리나라의 편벽된 일로 이제 몇백 년이 되었다. (가) 은\/는 다행히 조정의 큰 성덕을 입어 문관은 승문원, 무관은 선전관에 임명되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들 (나) 은\/는 홀로 이 은혜를 함께 입지 못하니 어찌 탄식조차 없겠는가?", |
|
"choices":[ |
|
"(가)의 신분 상승 운동은 (나)에게 자극을 주었다.", |
|
"(가)는 수차례에 걸친 집단 상소를 통해 관직 진출의 제한을", |
|
"(나)에 해당하는 인물로는 정조 때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된", |
|
"(나)는 주로 기술직에 종사하며 축적한 재산과 탄탄한 실무" |
|
], |
|
"answer":"(나)에 해당하는 인물로는 정조 때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된" |
|
}, |
|
|
|
{ |
|
"id":"PSE_history_20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자료에 나타난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사람이 곧 하늘이라. 그러므로 사람은 평등하며 차별이 없나니, 사람이 마음대로 귀천을 나눔은 하늘을 거스르는 것이다. 우리 도인은 차별을 없애고 선사의 뜻을 받들어 생활하기를 바라노라.", |
|
"choices":[ |
|
"이 사상에 대해 순조 즉위 이후 대탄압이 가해졌다.", |
|
"이 사상을 바탕으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가 편찬되었다.", |
|
"이 사상을 근거로 몰락한 양반의 지휘 아래 평안도에서 난이", |
|
"이 사상을 근거로 단성에서 시작된 농민봉기는 진주로" |
|
], |
|
"answer":"이 사상을 바탕으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가 편찬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우리나라 경제성장 과정을 시간순으로 나열한 것이다. \n(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수출액 100억 달러를 돌파하다. -> 제2차 석유파동으로 경제가 침체에 빠지다. -> (가) -> 경제 협력 개발 기구에 가입하다.", |
|
"choices":[ |
|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실시되다.", |
|
"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 호황을 경험하다.", |
|
"베트남 파병을 시작하고 「브라운 각서 를 체결하다.", |
|
"일본과 대일 청구권 문제에 합의하고 「한일 기본 조약」을" |
|
], |
|
"answer":"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의 3저 호황을 경험하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법령이 실시된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n제1조 국체를 변혁 또는 사유재산제를 부인할 목적으로 결사를 조직하거나 그 정을 알고 이에 가입하는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에 처함 제2조 전조의 제1항의 목적으로 그 목적한 사항의 실행에 관하여 협의한 자는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고에 처함", |
|
"choices":[ |
|
"「조선 태형령」이 공포되었다.", |
|
"경성 제국 대학이 설립되었다.", |
|
"물산 장려 운동이 시작되었다.", |
|
"학도 지원병 제도가 실시되었다." |
|
], |
|
"answer":"학도 지원병 제도가 실시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사실이 있었던 시기의 향촌사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황해도 봉산 사람 이극천이 향전 때문에 투서하여 그와 알력이 있는 사람들을 무고하였는데, 내용이 감히 말할 수 없는 문제에 저촉되었다.", |
|
"choices":[ |
|
"향전의 전개 속에서 수령의 권한이 강화되었다.", |
|
"신향층은 수령과 그를 보좌하는 향리층과 결탁하였다.", |
|
"수령은 경재소와 유향소를 연결하여 지방통치를 강화하였다.", |
|
"재지사족은 동계와 동약을 통해 향촌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
|
], |
|
"answer":"수령은 경재소와 유향소를 연결하여 지방통치를 강화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0_1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자료가 발표된 이후의 사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n우리는 3천만 한국 인민과 정부를 대표하여 삼가 중. 영 미 . 소· 캐나다 기타 제국의 대일 선전이 일본을 격패케 하고 동아를 재건하는 가장 유효한 수단이 됨을 축하하여 이에 특히 다음과 같이 성명한다. 1. 한국 전 인민은 현재 이미 반침략 전선에 참가하였으니 한 개의 전투 단위로서 추축국에 선전한다. 2. 1910년의 합방 조약과 일체의 불평등 조약의 무효를 거듭 선포하며 아울러 반(듯) 침략 국가인 한국에 있어서의 합리적 기득권익을 존중한다. ···(중략) ... 5. 루스벨트· 처어칠 선언의 각조를 견결히 주장하며 한국 독립을 실현키 위하여 이것을 적용하여 민주 진영의 최후 승리를 축원한다.", |
|
"choices":[ |
|
"한국광복군은 김원봉이 이끌던 조선의용대의 병력을 통합하였다.", |
|
"영국군의 요청에 따라 인도, 미얀마 전선에 한국광복군이", |
|
"조선독립동맹은 조선의용대 화북지대를 기반으로 조선의용군을", |
|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김구를 주석으로 하는 단일 지도 체제를" |
|
], |
|
"answer":"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김구를 주석으로 하는 단일 지도 체제를" |
|
}, |
|
|
|
{ |
|
"id":"PSE_history_21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시가를 지은 왕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은? \n펄펄 나는 저 꾀꼬리 암수 서로 정답구나 외로울사 이 내 몸은 뉘와 더불어 돌아가랴", |
|
"choices":[ |
|
"진대법을 시행하였다.", |
|
"낙랑군을 축출하였다.", |
|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
|
"율령을 반포하여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였다." |
|
], |
|
"answer":"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유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풍기군수 주세붕은 고려시대 ‘유학자’의 고향인 경상도 순흥면 백운동에 회헌사(晦軒祠)를 세우고, 1543년에 교육시설을 더해서 백운동 서원을 건립하였다.", |
|
"choices":[ |
|
"해주향약을 보급하였다.", |
|
"원 간섭기에 성리학을 국내로 소개하였다.", |
|
"성학십도를 저술하여 경연에서 강의하였다.", |
|
"일본의 동정을 담은 해동제국기를 저술하였다." |
|
], |
|
"answer":"원 간섭기에 성리학을 국내로 소개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1919년 3월 1일 탑골 공원에서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한 독립선언서가 낭독되었다. 이 공원에 있는 탑은 ‘왕’이 세운 것으로 경천사 10층 석탑의 영향을 받았다.", |
|
"choices":[ |
|
"우리나라 전쟁사를 정리한 동국병감을 편찬하였다.", |
|
"우리나라 역대 문장의 정수를 모은 동문선을 편찬하였다.", |
|
"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국왕 중심의 정치체제를 구축하였다.", |
|
"한양으로 다시 천도하면서 이궁인 창덕궁을 창건하였다." |
|
], |
|
"answer":"6조 직계제를 실시하여 국왕 중심의 정치체제를 구축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가) 이\/가 올립니다. “지방의 경우에는 관찰사와 수령, 서울의 경우에는 홍문관과 육경(六卿), 그리고 대간(臺諫)들이 모두 능력 있는 사람을 천거하게 하십시오. 그 후 대궐에 모아 놓고 친히 여러 정책과 관련된 대책 시험을 치르게 한다면 인물을 많이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역대 선왕께서 하지 않으셨던 일이요, 한나라의 현량과와 방정과의 뜻을 이은 것입니다. 덕행은 여러 사람이 천거하는 바이므로 반드시 헛되거나 그릇되는 일이 없을 것입니다.”", |
|
"choices":[ |
|
"기묘사화로 탄압받았다.", |
|
"조의제문을 사초에 실었다.", |
|
"문정왕후의 수렴청정을 지지하였다.", |
|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폐비하는 데 동조하였다." |
|
], |
|
"answer":"기묘사화로 탄압받았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신석기시대 유적과 유물을 바르게 연결한 것만을 모두 고르면? \nㄱ.양양 오산리 유적-덧무늬토기 \nㄴ.서울 암사동 유적-빗살무늬토기 \nㄷ.공주 석장리 유적-미송리식토기 \nㄹ.부산 동삼동 유적-아슐리안형 주먹도끼", |
|
"choices":[ |
|
"ㄱ, ㄴ", |
|
"ㄱ, ㄹ", |
|
"ㄴ, ㄷ", |
|
"ㄷ, ㄹ" |
|
], |
|
"answer":"ㄱ, ㄴ" |
|
}, |
|
|
|
{ |
|
"id":"PSE_history_21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역사적 사건이 시대순으로 배열된 것이다. (가) 시기에 신라에서 있었던 사실은? \n고구려의 침입으로 한성이 함락되자, 수도를 웅진으로 옮겼다. \n(가)\n성왕은 사비로 도읍을 옮겼다.", |
|
"choices":[ |
|
"대가야를 정복하였다.", |
|
"황초령순수비를 세웠다.", |
|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
|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
|
], |
|
"answer":"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가 공인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시기별 대외 교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백제: 노리사치계가 일본에 불경과 불상을 전하였다.", |
|
"통일신라: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상권을 장악하였다.", |
|
"고려: 예성강 하구의 벽란도가 국제항으로 번성하였다.", |
|
"조선: 명과의 교류에서 중강개시와 책문후시가 전개되었다." |
|
], |
|
"answer":"조선: 명과의 교류에서 중강개시와 책문후시가 전개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우리나라 세계유산과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nㄱ.공주 송산리 고분군에는 전축분인 6호분과 무령왕릉이 있다. \nㄴ.양산 통도사는 금강계단 불사리탑이 있는 삼보 사찰이다. \nㄷ.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난했던 산성이다. \nㄹ.승정원일기는 역대 왕의 훌륭한 언행을 실록에서 뽑아 만든 사서이다.", |
|
"choices":[ |
|
"ㄱ, ㄴ", |
|
"ㄴ, ㄷ", |
|
"ㄱ, ㄴ, ㄷ", |
|
"ㄱ, ㄷ, ㄹ" |
|
], |
|
"answer":"ㄱ, ㄴ, ㄷ" |
|
}, |
|
|
|
{ |
|
"id":"PSE_history_21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상소문을 올린 왕대에 있었던 사실은? \n석교(釋敎)를 행하는 것은 수신(修身)의 근본이요, 유교를 행하는 것은 이국(理國)의 근원입니다. 수신은 내생의 자(資)요, 이국은 금일의 요무(要務)로서, 금일은 지극히 가깝고 내생은 지극히 먼 것인데도 가까움을 버리고 먼 것을 구함은 또한 잘못이 아니겠습니까.", |
|
"choices":[ |
|
"양경과 12목에 상평창을 설치하였다.", |
|
"균여를 귀법사 주지로 삼아 불교를 정비하였다.", |
|
"국자감에 7재를 두어 관학을 부흥하고자 하였다.", |
|
"전지(田地)와 시지(柴地)를 지급하는 경정 전시과를 실시하였다." |
|
], |
|
"answer":"양경과 12목에 상평창을 설치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이승만 정부의 경제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한미 원조 협정을 체결하였다.", |
|
"농지개혁에 따른 지가증권을 발행하였다.", |
|
"제분, 제당, 면방직 등 삼백 산업을 적극 지원하였다.", |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다." |
|
], |
|
"answer":"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중일전쟁 이후 조선총독부가 시행한 민족 말살 정책이 아닌 것은?", |
|
"choices":[ |
|
"아침마다 궁성요배를 강요하였다.", |
|
"일본에 충성하자는 황국 신민 서사를 암송하게 하였다.", |
|
"공업 자원의 확보를 위하여 남면북양 정책을 시행하였다.", |
|
"황국 신민 의식을 강화하고자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하였다." |
|
], |
|
"answer":"공업 자원의 확보를 위하여 남면북양 정책을 시행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에 나오는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1905년 8월 4일 오후 3시, 우리가 앉아있는 곳은 새거모어 힐의 대기실. 루스벨트의 저택이다. 새거모어 힐은 루스벨트의 여름용 대통령 관저로 3층짜리 저택이다. …(중략)… 대통령과 마주하자 나는 말했다. “감사합니다. 각하. 저는 대한제국 황제의 친필 밀서를 품고 지난 2월에 헤이 장관을 만난 사람입니다. 그 밀서에서 우리 황제는 1882년에 맺은 조약의 거중조정 조항에 따른 귀국의 지원을 간곡히 부탁했습니다.”", |
|
"choices":[ |
|
"영사재판권이 인정되었다.", |
|
"임오군란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
|
"최혜국 대우 조항이 포함되었다.", |
|
"조선책략의 영향을 받았다." |
|
], |
|
"answer":"임오군란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고려시대 향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nㄱ. 부호장 이하의 향리는 사심관의 감독을 받았다. \nㄴ.상층 향리는 과거로 중앙 관직에 진출할 수 있었다. \nㄷ.일부향리의 자제들은 기인으로 선발되어 개경으로 보내졌다. \nㄹ.속현의 행정 실무는 향리가 담당하였다.", |
|
"choices":[ |
|
"ㄱ", |
|
"ㄱ, ㄴ", |
|
"ㄴ, ㄷ, ㄹ", |
|
"ㄱ, ㄴ, ㄷ, ㄹ" |
|
], |
|
"answer":"ㄱ, ㄴ, ㄷ, ㄹ" |
|
}, |
|
|
|
{ |
|
"id":"PSE_history_21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농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n대개 ‘이 농법’을 귀중하게 여기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두 땅의 힘으로 하나의 모를 서로 기르는 것이고, …(중략)… 옛 흙을 떠나 새 흙으로 가서 고갱이를 씻어 내어 더러운 것을 제거하는 것이다. 무릇 벼를 심는 논에는 물을 끌어들일 수 있는 하천이나 물을 댈 수 있는 저수지가 꼭 필요하다. 이러한 것이 없다면 볏논이 아니다. -임원경제지- ㄱ.세종 때 편찬된 농사직설에도 등장한다. ㄴ.고랑에 작물을 심도록 하였다. ㄷ.경국대전의 수령칠사 항목에서도 강조되었다. ㄹ.직파법보다 풀 뽑는 노동력을 절약할 수 있었다.", |
|
"choices":[ |
|
"ㄱ, ㄴ", |
|
"ㄱ, ㄹ", |
|
"ㄴ, ㄷ", |
|
"ㄷ, ㄹ" |
|
], |
|
"answer":"ㄱ, ㄹ" |
|
}, |
|
|
|
{ |
|
"id":"PSE_history_21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헌법’이 시행 중인 시기에 일어난 사건은? \n이 ‘헌법’은 한 사람의 집권자가 긴급조치라는 형식적인 법 절차와 권력 남용으로 양보할 수 없는 국민의 기본 인권과 존엄성을 억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권력 남용에 형식적인 합법성을 부여하고자 …(중략)… 입법, 사법, 행정 3권을 한 사람의 집권자에게 집중시키고 있다.", |
|
"choices":[ |
|
"부‧마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
|
"국민교육헌장을 선포하였다.", |
|
"7‧4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되었다.", |
|
"한일 협정 체결을 반대하는 6‧3 시위가 있었다." |
|
], |
|
"answer":"부‧마 민주 항쟁이 일어났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회의’에서 있었던 사실은? \n본 ‘회의’는 2천만 민중의 공정한 뜻에 바탕을 둔 국민적 대화합으로 최고의 권위를 가지고 국민의 완전한 통일을 공고하게 하며, 광복 대업의 근본 방침을 수립하여 우리 민족의 자유를 만회하며 독립을 완성하기를 기도하고 이에 선언하노라. …(중략)… 본 대표 등은 국민이 위탁한 사명을 받들어 국민적 대단결에 힘쓰며 독립운동이 나아갈 방향을 확립하여 통일적 기관 아래에서 대업을 완성하고자 하노라.", |
|
"choices":[ |
|
"대한민국 건국 강령이 상정되었다.", |
|
"박은식이 임시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
|
"민족유일당운동 차원에서 조선혁명당이 참가하였다.", |
|
"임시정부를 대체할 새로운 조직을 만들자는 주장이 나왔다." |
|
], |
|
"answer":"임시정부를 대체할 새로운 조직을 만들자는 주장이 나왔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법령에 따라 시행된 사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제1조 토지의 조사 및 측량은 본령에 따른다. 제4조 토지 소유자는 조선 총독이 정한 기간 내에 주소, 성명 또는 명칭 및 소유지의 소재, 지목, 자 번호, 사표, 등급, 지적, 결수를 임시토지조사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단 국유지는 보관 관청이 임시토지 조사국장에게 통지해야 한다.", |
|
"choices":[ |
|
"농상공부를 주무 기관으로 하였다.", |
|
"역둔토, 궁장토를 총독부 소유로 만들었다.", |
|
"토지약탈을 위해 동양척식회사를 설립하였다.", |
|
"춘궁 퇴치, 농가 부채 근절을 목표로 내세웠다." |
|
], |
|
"answer":"역둔토, 궁장토를 총독부 소유로 만들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개항기 무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개항장에서 조선인 객주가 중개 활동을 하였다.", |
|
"조.청 무역장정으로 청국에서의 수입액이 일본을 앞질렀다.", |
|
"일본 상인은 면제품을 팔고, 쇠가죽.쌀.콩 등을 구입하였다.", |
|
"조.일 통상장정의 개정으로 곡물 수출이 금지되기도 하였다." |
|
], |
|
"answer":"조.청 무역장정으로 청국에서의 수입액이 일본을 앞질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1_1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군역에 뽑힌 장정에게 군포를 거두었는데, 그 폐단이 많아서 백성들이 뼈를 깎는 원한을 가졌다. 그런데 사족들은 한평생 한가하게 놀며 신역(身役)이 없었다. …(중략)… 그러나 유속(流俗)에 끌려 이행되지 못하였으나 갑자년 초에 ‘그’가 강력히 나서서 귀천이 동일하게 장정 한 사람마다 세납전(歲納錢) 2민(緡)을 바치게 하니, 이를 동포전(洞布錢)이라고 하였다. -매천야록-", |
|
"choices":[ |
|
"만동묘 건립을 주도하였다.", |
|
"군국기무처 총재를 역임하였다.", |
|
"통리기무아문을 폐지하고 5군영을 부활하였다.", |
|
"탕평 정치를 정리한 만기요람을 편찬하였다." |
|
], |
|
"answer":"통리기무아문을 폐지하고 5군영을 부활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풍습이 있었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다.\n○목곽 입구에는 죽은 자가 먹을 양식으로 쌀을 담은 항아리를 매달아 놓기도 하였다. -삼국지 위서 동이전-", |
|
"choices":[ |
|
"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
"제가가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 |
|
"소도라는 신성 구역이 존재하였다.", |
|
"무천이라는 제천행사를 열었다." |
|
], |
|
"answer":"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
"choices":[ |
|
"미륵사지에는 목탑 양식의 석탑이 있다.", |
|
"정림사지에는 백제의 5층 석탑이 남아 있다.", |
|
"능산리 고분군에는 계단식 돌무지무덤이 있다.", |
|
"무령왕릉에는 무덤 주인공을 알려주는 지석이 있었다." |
|
], |
|
"answer":"능산리 고분군에는 계단식 돌무지무덤이 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조선 시대의 관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사간원-교지를 작성하였다.", |
|
"한성부-시정기를 편찬하였다.", |
|
"춘추관-외교문서를 작성하였다.", |
|
"승정원-국왕의 명령을 출납하였다." |
|
], |
|
"answer":"승정원-국왕의 명령을 출납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3.1 운동 직후에 만들어진 (가) 은\/는 연통제라는 비밀 행정 조직을 만들었으며, 국내 인사와의 연락과 이동을 위해 교통국을 두었다. 또 외교 선전물을 간행하여 일제 침략의 부당성을 널리 알리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은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가) 의 활동 방향을 두고 외교 운동 노선과 무장투쟁 노선 사이에서 갈등이 빚어지기도 하였다.", |
|
"choices":[ |
|
"외교 운동을 위해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 |
|
"비밀결사 운동을 추진하고자 독립 의군부를 만들었다.", |
|
"이인영, 허위 등을 중심으로 서울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 |
|
"영국인 베델을 발행인으로 한 「대한매일신보」를 창간하였다." |
|
], |
|
"answer":"외교 운동을 위해 미국에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가), (나)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가)중국 유학에서 돌아와 부석사를 비롯한 여러 사원을 건립하였으며, 문무왕이 경주에 성곽을 쌓으려 할 때 만류한 일화로 유명하다. \n(나)진골 귀족 출신으로 대국통을 역임하였으며, 선덕여왕에게 황룡사 9층탑의 건립을 건의하였다.", |
|
"choices":[ |
|
"(가)는 모든 것이 한마음에서 나온다는 일심사상을 제시하였다.", |
|
"(가)는 「화엄일승법계도」를 만들었다.", |
|
"(나)는 왕오천축국전이라는 여행기를 남겼다.", |
|
"(나)는 이론과 실천을 같이 강조하는 교관겸수를 제시하였다." |
|
], |
|
"answer":"(가)는 「화엄일승법계도」를 만들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당 현종 개원 7년에 대조영이 죽으니, 그 나라에서 사사로이 시호를 올려 고왕(高王)이라 하였다. 아들 (가) 이\/가 뒤이어 왕위에 올라 영토를 크게 개척하니, 동북의 모든 오랑캐가 겁을 먹고 그를 섬겼으며, 또 연호를 인안(仁安)으로 고쳤다. -신당서-", |
|
"choices":[ |
|
"수도를 상경성으로 옮겼다.", |
|
"‘해동성국’이라고 불릴 만큼 전성기를 이루었다.", |
|
"장문휴를 시켜 당의 등주(산둥성)를 공격하였다.", |
|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동모산에 도읍을 정하였다." |
|
], |
|
"answer":"장문휴를 시켜 당의 등주(산둥성)를 공격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라) 국왕 대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n조선 시대 국가를 운영하는 핵심 법전인 경국대전은 세조 대에 그 편찬이 시작되어 (가) 대에 완성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전쟁으로 혼란에 빠진 국가 체제를 수습하고 새로운 정치.사회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법전 정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나) 대에 속대전을 편찬하였으며, (다) 대에 대전통편을, 그리고 (라) 대에는 대전회통을 편찬하였다.", |
|
"choices":[ |
|
"(가)-홍문관을 두어 집현전을 계승하였다.", |
|
"(나)-서원을 붕당의 근거지로 인식하여 대폭 정리하였다.", |
|
"(다)-사도세자의 무덤을 옮기고 화성을 축조하였다.", |
|
"(라)-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했다." |
|
], |
|
"answer":"(라)-삼정의 문란을 바로잡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사건’의 명칭은? \n중종에 의해 등용된 조광조는 현량과를 통해 사림을 대거 등용하였다. 그는 3사의 언관직을 통해 개혁을 추진해 나갔고, 위훈삭제를 주장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중종도 급진적인 개혁 조치에 부담을 느껴 조광조 등을 제거하였다. 이 ‘사건’으로 사림은 큰 피해를 입었다.", |
|
"choices":[ |
|
"갑자사화", |
|
"기묘사화", |
|
"무오사화", |
|
"을사사화" |
|
], |
|
"answer":"기묘사화" |
|
}, |
|
|
|
{ |
|
"id":"PSE_history_22_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가) 역사서의 저자는 다음과 같은 글을 지어 왕에게 바쳤다. “성상 전하께서 옛 사서를 널리 열람하시고, ‘지금의 학사 대부는 모두 오경과 제자의 책과 진한(秦漢) 역대의 사서에는 널리 통하여 상세히 말하는 이는 있으나, 도리어 우리나라의 사실에 대하여서는 망연하고 그 시말(始末)을 알지 못하니 심히 통탄할 일이다. 하물며 신라.고구려.백제가 나라를 세우고 정립하여 능히 예의로써 중국과 통교한 까닭으로 범엽의 한서나 송기의 당서에는 모두 열전이 있으나 국내는 상세하고 국외는 소략하게 써서 자세히 실리지 않았다. …(중략)… 일관된 역사를 완성하고 만대에 물려주어 해와 별처럼 빛나게 해야 하겠다.’라고 하셨다.” \n(나) 역사서에는 다음과 같은 서문이 실려 있다. “부여씨와 고씨가 망한 다음에 김씨의 신라가 남에 있고, 대씨의 발해가 북에 있으니 이것이 남북국이다. 여기에는 마땅히 남북국사가 있어야 할 터인데, 고려가 그것을 편찬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다.”", |
|
"choices":[ |
|
"(가)는 동명왕의 업적을 칭송한 영웅 서사시이다.", |
|
"(가)는 불교를 중심으로 고대 설화를 수록하였다.", |
|
"(나)는 만주 지역까지 우리 역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
|
"(나)는 고조선부터 고려에 이르는 역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
|
], |
|
"answer":"(나)는 만주 지역까지 우리 역사의 범위를 확장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주장을 한 실학자가 쓴 책은? \n토지를 겸병하는 자라고 해서 어찌 진정으로 빈민을 못살게 굴고 나라의 정치를 해치려고 했겠습니까? 근본을 다스리고자 하는 자라면 역시 부호를 심하게 책망할 것이 아니라 관련 법제가 세워지지 않은 것을 걱정해야 할 것입니다. …(중략)… 진실로 토지의 소유를 제한하는 법령을 세워, “어느 해 어느 달 이후로는 제한된 면적을 초과해 소유한 자는 더는 토지를 점하지 못한다. 이 법령이 시행되기 이전부터 소유한 것에 대해서는 아무리 광대한 면적이라 해도 불문에 부친다. 자손에게 분급해 주는 것은 허락한다. 만약에 사실대로 고하지 않고 숨기거나 법령을 공포한 이후에 제한을 넘어 더 점한 자는 백성이 적발하면 백성에게 주고, 관(官)에서 적발하면 몰수한다.”라고 하면, 수십 년이 못 가서 전국의 토지 소유는 균등하게 될 것입니다.", |
|
"choices":[ |
|
"반계수록", |
|
"성호사설", |
|
"열하일기", |
|
"목민심서" |
|
], |
|
"answer":"열하일기" |
|
}, |
|
|
|
{ |
|
"id":"PSE_history_22_11",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n한국을 식민지로 삼은 일제는 헌병에게 경찰 업무를 부여한 헌병 경찰제를 시행했다. 헌병 경찰은 정식 재판 없이 한국인에게 벌금 등의 처벌을 가하거나 태형에 처할 수도 있었다. 한국인은 이처럼 강압적인 지배에 저항해 3.1 운동을 일으켰으며, 일제는 이를 계기로 지배 정책을 전환했다. 일제가 한국을 병합한 직후부터 3.1 운동이 벌어진 때까지를 (가) 시기라고 부른다.", |
|
"choices":[ |
|
"토지 조사령이 공포되었다.", |
|
"창씨개명 조치가 시행되었다.", |
|
"초등 교육 기관의 명칭이 국민학교로 변경되었다.", |
|
"전쟁 물자 동원을 내용으로 한 국가총동원법이 적용되었다." |
|
], |
|
"answer":"토지 조사령이 공포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2",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한국 국민당을 이끌던 ‘그’는 독립운동 세력을 통합하고자 한국 독립당을 결성해 항일 운동을 주도하였다. 광복 직후 귀국한 그는 정부 수립을 위한 활동을 이어나갔으며, 남한 단독 선거가 결정되자 김규식과 더불어 남북 협상을 위해 평양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
|
"choices":[ |
|
"좌우 합작 위원회를 구성해 좌우 합작 7원칙을 발표하였다.", |
|
"광복 직후 안재홍 등과 함께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만들었다.", |
|
"무장 항일투쟁을 위해 하와이로 건너가 대조선 국민 군단을 결성하였다.", |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이 알려지자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펼쳤다." |
|
], |
|
"answer":"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이 알려지자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펼쳤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3",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제헌 국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
|
"한.일 기본 조약 체결에 반대하는 성명을 내놓았다.", |
|
"통일 3대 원칙이 언급된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였다.", |
|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대통령을 뽑는다는 내용의 개헌안을 통과시켰다." |
|
], |
|
"answer":"반민족 행위 특별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4",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고종이 즉위한 직후에 실권을 장악한 ‘그’는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천주교 선교사를 통해 프랑스와 교섭하려 했다. 하지만 천주교를 금지해야 한다는 유생의 주장이 높아지자 다수의 천주교도와 선교사를 잡아들여 처형한 병인박해를 일으켰다. 이후 고종의 친정이 시작됨에 따라 물러난 그는 임오군란이 일어났을 때 잠시 권력을 장악했지만, 청군의 개입으로 곧 물러났다.", |
|
"choices":[ |
|
"미국에 보빙사라는 사절단을 파견하였다.", |
|
"전국 여러 곳에 척화비를 세우도록 했다.", |
|
"국경을 획정하고자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
|
"통리기무아문을 설치하고 그 아래에 12사를 두었다." |
|
], |
|
"answer":"전국 여러 곳에 척화비를 세우도록 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5",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백제 개로왕은 장기와 바둑을 좋아하였는데, 도림이 고하기를 “제가 젊어서부터 바둑을 배워 꽤 묘한 수를 알게 되었으니 개로왕께 알려드리기를 원합니다.”라고 하였다. …(중략)… 개로왕이 (도림의 말을 듣고) 나라 사람을 징발하여 흙을 쪄서 성(城)을 쌓고 그 안에는 궁실, 누각, 정자를 지으니 모두가 웅장하고 화려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창고가 비고 백성이 곤궁하니, 나라의 위태로움이 알을 쌓아 놓은 것보다 더 심하게 되었다. 그제야 도림이 도망을 쳐 와서 그 실정을 고하니 ‘이 왕’이 기뻐하여 백제를 치려고 장수에게 군사를 나누어 주었다. -삼국사기-", |
|
"choices":[ |
|
"평양으로 도읍을 천도하였다.", |
|
"진대법을 처음으로 시행하였다.", |
|
"낙랑군을 점령하고 한 군현 세력을 몰아내었다.", |
|
"신라에 침입한 왜군을 낙동강 유역에서 물리쳤다." |
|
], |
|
"answer":"평양으로 도읍을 천도하였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6",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문화유산은? \n이 건물은 주심포 양식에 맞배지붕 건물로 기둥은 배흘림 양식이다. 1972년 보수 공사 중에 공민왕 때 중창하였다는 상량문이 나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건물로 보고 있다.", |
|
"choices":[ |
|
"서울 흥인지문", |
|
"안동 봉정사 극락전", |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
|
], |
|
"answer":"안동 봉정사 극락전" |
|
}, |
|
|
|
{ |
|
"id":"PSE_history_22_17",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가)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n아관파천 이후 러시아의 영향력이 강화되고 열강의 이권 침탈이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서재필 등은 (가) 을\/를 만들었다. (가) 은\/는 고종에게 자주독립을 굳건히 하고 내정 개혁을 단행하라는 내용이 담긴 상소문을 제출하였으며,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여 외국의 간섭과 일부 관리의 부정부패를 비판하였다.", |
|
"choices":[ |
|
"「교육 입국 조서」를 작성해 공포하였다.", |
|
"영은문이 있던 자리 부근에 독립문을 세웠다.", |
|
"개혁의 기본 강령인 「홍범 14조」를 발표하였다.", |
|
"일본에 진 빚을 갚자는 국채 보상 운동을 일으켰다." |
|
], |
|
"answer":"영은문이 있던 자리 부근에 독립문을 세웠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8",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은 역사적 사건이 시대 순으로 배열된 것이다. (가) 시기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n무신정권 몰락 \n(가)\n공민왕 즉위", |
|
"choices":[ |
|
"만권당이 만들어졌다.", |
|
"정동행성이 설치되었다.", |
|
"쌍성총관부가 수복되었다.", |
|
"제왕운기가 저술되었다." |
|
], |
|
"answer":"쌍성총관부가 수복되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19",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다음 글의 ‘이 나라’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n‘이 나라’에는 관리에게 정해진 면적의 토지에서 조세를 거둘 수 있는 권리를 나누어주는 전시과라는 제도가 있었다. 농민은 소를 이용해 깊이갈이를 하기도 했으며, 시비법의 발달로 휴경지가 점차 줄어들었다. 밭농사는 2년 3작의 윤작법이 점차 보급되었다. 이 나라의 말기에는 직파법 대신 이앙법이 남부 지방 일부에 보급될 정도로 논농사에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이암에 의해 중국 농서인 농상집요도 소개되었다.", |
|
"choices":[ |
|
"재정을 운영하는 관청으로 삼사를 두었다.", |
|
"공물 부과 기준이 가호에서 토지로 바뀌었다.", |
|
"생산량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조세를 거두었다.", |
|
"‘소’라는 행정구역의 주민이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생산하였다." |
|
], |
|
"answer":"공물 부과 기준이 가호에서 토지로 바뀌었다." |
|
}, |
|
|
|
{ |
|
"id":"PSE_history_22_20", |
|
"paragraph":"", |
|
"question":"다음은 한국의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n신미양요와 갑오개혁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 |
|
"choices":[ |
|
"을사늑약 체결", |
|
"정미 의병 발생", |
|
"오페르트 도굴 미수 사건", |
|
"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
|
], |
|
"answer":"조.미 수호 통상 조약 체결" |
|
} |
|
] |